항목

  • 관내도 關內道
    고려시대의 지방행정구역인 10도(道)의 하나.|내용 995년(성종 14)에 당제(唐制)를 본받아 10도제를 실시하면서 양주(楊州)·광주(廣州)·황주(黃州)·해주(海州) 등의 적기현(赤畿縣)을 둘러싼 29주(州) 82현(縣)으로 관내도를 만들었다. 그러나 『고려사』 지리지 등에 의해 확인되는 주는 도호부사(都護府使)가 설...
    시대 :
    고려
    성격 :
    행정제도, 행정구역
    유형 :
    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황해남도 (동의어 관내도) 黃海南道
    한반도 중서부에 있는 도.|동쪽은 황해북도, 남동쪽은 개성직할시, 서쪽과 남쪽은 서해와 접해 있으며, 북쪽은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남포직할시와 면해 있다. 행정구역은 해주시 1개시와 강령군·과일군·용연군·배천군·벽성군·봉천군·삼천군·송화군·신원군·신천군·안악군·연안군·옹진군·은률군·은천군·...
    위치 :
    한반도 중서부
    인구 :
    2,310,485 (2008)
    면적 :
    8,450.3㎢
    행정구역 :
    1개시 19개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관내도 (고려) 關內道 (高麗)
    관내도(關內道)는 고려 시대에 존재했던 한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다. 지금의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 있었으며, 수도 인근 지역을 관할한다 하여 관내도(關內道)라고 불렀다. 995년(고려 성종 14년)에 당나라의 제도를 본받아 10도를 만들때 설치된 고려의 도 가운데 하나로서, 경기 및 황해 지역의 29주 82현...
    도서 위키백과
  • 관내도 (당) 关内道
    관내도(關內道)는 당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중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수도 인근 지역을 관할하였다. 장안 일대의 산시성 지역의 주와 안북도호부, 선우도호부를 관할했다. 동쪽으로는 하동도, 서쪽으로는 농우도, 남쪽으로는 산남도와 접했다. 경조부(京兆府)·화주(華州)·동주(同州)·방주(坊州)·단주(丹州...
    도서 위키백과
  • 관내도 關內道
    경기도의 고려시대 이름.→ 경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관내도
    관내도(關內道)는 다음을 가리킨다. 관내도(關內道)는 당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중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다. 관내도(關內道)는 고려 시대에 존재했던 한국의 옛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다.
    도서 위키백과
  • 충청북도 忠淸北道
    경덕왕 16)에 웅주도독부(熊州都督府)가 설치되었다. 고려에 들어 995년(성종 14)에 충주·청주 및 주변지역에 하남도(河南道)를 두었다. 1106년(예종 1)에 관내도와 중원도·하남도를 합하여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로 고쳤다가 1172년(명종 2)에 다시 분리하여 충청도(忠淸道)라 했다. 조선의 건국으로 수도를...
    위치 :
    대한민국 중앙부
    인구 :
    1,592,155 (2024)
    면적 :
    7,407.1㎢
    행정구역 :
    3개시 8개군 15개읍 87개면
    사이트 :
    http://www.cb21.ne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방어사 防禦使
    을 개편해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군(州·郡)에 도단련사(都團練使)·단련사·자사(刺史)·방어사를 설치한 것이 처음이다. 방어사가 설치된 지역은 관내도(關內道)에 염주(塩州 : 황해도 연안)·안주(安州 : 지금의 재령)·봉주(鳳州 : 지금의 봉산)·신주(信州 : 지금의 신천)·평주(平州 : 지금의 평산...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995년(성종 1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우신책군 右神策軍
    방어사·자사(刺史) 등의 군사적인 절도사체제로 개편할 때 이전의 12목(牧)을 12주(州) 절도사로 바꾸고 각 주에 하나의 군(軍)을 두었다. 우신책군은 관내도(關內道)에 속하는 해주에 설치된 것으로서 같은 관내도의 양주(楊州)에 설치된 좌신책군(左神策軍)과 함께 2보(輔)로 불렸다. 이후 거란의 2차침입을 물리칠...
    시대 :
    고려
    성격 :
    군사조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995년(성종 14)
    폐지일 :
    1012년(현종 3)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관서지방 평안도, 關西地方
    명칭 유래 ‘관서’는 고려 때 관내도(關內道)라고 불리던 서울·경기 지방의 서쪽지방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는 고려시대에 설치된 철령관이라는 관문의 서쪽지방이라는 데에서 관서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철령관은 함경도로부터 서울로 들어오는 길목이어서 한강유역을 지키는 한편 변방에...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관북지방 영길도(永吉道), 關北地方
    명칭 유래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0도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오늘의 서울·경기 일원을 관내도(關內道)라고 하였고, 관북이라는 명칭은 관내도의 북쪽에 위치한 땅이라는 데서 명명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는 고려시대에 설치된 철령관이라는 관문의 북쪽지방이라는 유래도 있다. 철령관은 함경도로부터 서울로 들어오는...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관동지방 강원도, 關東地方
    명칭 유래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0도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오늘의 서울·경기 일원을 관내도(關內道)라고 하였다. 관동이라는 명칭은 관내도의 동쪽에 위치한 땅이라는 데서 명명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관동지방은 태백 산지를 횡단하는 길목인 대관령의 동쪽, 즉 오늘의 영동지방에 한정 짓는 경우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