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특징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날개 아랫면의 바탕색이 진하고 윗면의 파랑색 부분의 면적이 좁고 날개모양이 둥그스름하다. 사는 지역에 따라 크기, 무늬, 색채 등에 많은 변이가 있다. 생태 알은 부화하여 오이풀의 꽃을 먹고 자라다가 중령애벌레가 되면 개미에 의해 개미집으로 운반되어 개미 애벌레를 먹는다고 알려져...
    분류 :
    나비목 > 부전나비과
    학명 :
    Maculinea teleius (Bergsträsser, 1779)
    출현시기 :
    8월, 9월
  •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
    분포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의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국외에는 유라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다. 근래에 개체 수가 감소하여, 현재는 멸종 위기종이다. 생태 야산이나 밭, 묘소 주변의 초지에 서식한다. 채광이 좋을 때 주로 활동하며, 오이풀, 엉겅퀴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식초의 꽃에 한 ...
    분류 :
    부전나비과(Lycaenidae) > 부전나비아과(Polyommatinae)
    학명 :
    Maculinea teleius (Bergsträsser, 1779)
    분포지역 :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유라시아
    출현시기 :
    8월 초순~9월 〈연 1회 발생〉
  •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Sc..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부전나비과의 나비이다. 이름과는 달리 여러 가지 색깔이 있다.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체코, 프랑스, 조지아,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카자흐스탄, 몽골, 네덜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북부 세르비아, 스페인, 스위스, 우크라이나, 구북구에서 동쪽으로 일본에 ...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보호 대상 나비 (관련어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보호 대상 나비의 선정과 보호 정책 우리 나라는 환경부, 자연보호협회, 나비 동호인들에 의해 나비의 생태가 조사되고 보호 대책이 모색되고 있다. 근래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나비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서식 환경이 변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나비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몇 종...
  • 부전나비과 (관련어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숫돌나비과, <일>シジミチョウ科
    광택을 띤 녹색, 황색, 붉은색 날개를 가진 소형 나비들이다. 대부분 미상 돌기가 있지만 없는 종류도 있다. 방화성(訪花性)을 나타내며, 수컷은 습기 있는 땅바닥에 잘 앉는다. 전세계에 9아과의 6000여 종이 분포한다. 남한에는 바둑돌부전나비아과(Miletinae)가 1종, 녹색부전나비아과(Theclinae)가 35종, 주홍부전나...
    분류 :
    호랑나비상과(Papilionoidea) > 부전나비과(Lycaenidae)
    학명 :
    Lycaenidae
  • Scarce large blue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ゴマシジミ
    The scarce large blue (Phengaris teleius) is a species of butterfly in the Lycaenidae family. It is found in Austria, Slovenia, Croatia, Czech Republic, France, Georgia, Germany, Hungary, Italy, Japan, Kazakhstan, Mongolia, Netherlands, Poland, Romania, Russia, Northern Serbia, Spain, Switzerland...
  •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
    한 낮부터 활발히 날아다니며 솔체꽃, 엉겅퀴, 오이풀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이 나비의 생활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식초 오이풀(장미과) 변이 특별한 변이는 없다. 암수 구별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고 앞날개 윗면 중실의 청람색 부위가 좁다.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의 동정
    분류 :
    부전나비과(Lycaenidae) > 부전나비아과(Polyommatinae)
    학명 :
    Maculinea kurentzovi Sibatani, Saigusa & Hirowatari, 1994
    분포지역 :
    강원도, 극동 아시아
    출현시기 :
    8월 초~9월 〈연 1회 발생〉
  • 나비 호접, 蝶
    이중에서도 산굴뚝나비(Eumenis autonoe)는 2005년 천연기념물 제458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외에도, 상제나비, 고운점박이 푸른부전나비, 북방점박이 푸른부전나비, 큰수리팔랑나비, 산부전나비 등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고,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홍줄나비, 갈구리긴선나비, 신선나비, 공작나비...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크기 :
    약 4.5cm ~ 6.5cm
    학명 :
    Lepidoptera
    식성 :
    초식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부전나비과 Lycaenidae, シジミチョウ科
    부전나비는 굴참나무를 먹고 산다. 종류가 다양한 만큼 생태도 개성이 넘친다. 대한민국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는 부전나비는 2종이다. 쌍꼬리부전나비(Spindasis takanonis)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Maculinea arionides)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큰주홍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분류군 식별자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부전나비아과 Polyommatinae, ヒメシジミ亜科
    대부분이 이 아과에 포함된다. 세계에 광역 분포하며, 1,000종 이상이 알려졌다. 한반도에서는 Niphanda 등 18속 34종이 알려졌으며, 이 중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는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및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종이며, 극남부전나비, 회령푸른부전나비,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북방...
    도서 위키백과
  • 긴 한국어 낱말
    read only memory) 13글자의 낱말들로 긴 낱말의 대부분이 학술 전문 용어들이다. 동식물의 이름 중에는 얼룩보금자리산세비에리아가 12자,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모시금자라남생이잎벌레, 송곳벌레살이납작맵시벌, 어리등에살이뭉툭맵시벌이 각각 11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지 않은 것 중에는 작은홍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1건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분포지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