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속하향 패킷 접속 HSDPA, hig..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3.5세대 이동통신방식.|HSDPA는 3세대 비동기식 이동통신기술 표준화 기구인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가 2002년 3월에 발표한 릴리스 5의 핵심 기술인 고속 데이터 패킷 접속 규격으로, W-CDMA 표준에서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기/전자
  • HSDPA (동의어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igh Speed Downlink Packet A..
    비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의 하향 링크에서 10 Mbps 수준의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규격. 인터넷 통신은 주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downlink) 데이터가 많아 하향 링크 고속화가 서비스의 필수 요소다. 이러한 조건을 최대한 수용하도록 하향 링크의 전송 규격을 개선한 ...
  • 고속 하향 패킷 접속 (관련어 고속하향패..)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
    고속 하향 패킷 접속은 WCDMA를 확장한 고속 패킷 통신규격이다. 3세대 비동기식 이동통신기술 표준화 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2002년 3월 발표한 Release 5의 핵심기술인 고속데이터패킷접속규격으로 W-CDMA 표준에서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리킨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W-CDMA보다...
    도서 위키백과
  •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SDPA, 高速..
    비동기식 3세대 이동 통신의 하향 링크에서 10Mbps 수준의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규격. 인터넷 통신은 주로 내려받기가 많아 하향 링크의 고속화가 서비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속 데이터는 주로 정지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조건을 최대한 수용하도록 하향 링크의 전송 규격을 개선하였다.
    분야 :
    지휘 ・ 통제 ・ 통신
  •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하향 패킷 접속, 高速..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s an enhanced 3G (third-generation) mobile-telephony communications protocol in the High-Speed Packet Access (HSPA) family, also dubbed 3.5G, 3G+, or Turbo 3G, which allows networks based o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o have highe...
  • 시분할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SDPA..
    중국형 3세대 이동 통신인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에서 진화한 3.5세대 기술. 유럽식 표준인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이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에서 발전한 진화 기술인 것처럼, 시분할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TDD)도 TD-SCDMA와 호환성을 갖추고 있어 중국에서는 TD-HCDMA로도...
  • 고속 패킷 접속 HSPA, 高速-接續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과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을 결합한 용어. 3GPP 진영에서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의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하향 링크를 14.4Mbps까지 향상시킨 HSDPA를 우선 개발한 뒤, 상향 링크도 5.76Mbps까지 향상시킨 HSUPA를 표준화하고 고속 패킷 접속(HSPA)이라는...
  • 고속 OFDM 패킷 접속 HSOPA, 高速-接續
    LTE)에 포함되는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기술. 3GPP의 릴리즈 7(R7)인 고속 패킷 접속 플러스(HSPA+)를 대처하는 기술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을 새로운...고속 직교 주파수 분할 패킷(HSOPA)이라 일컫고 릴리즈 8(R8)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LTE에서 요구하는 하향 100Mbps, 상향 50Mbps를 목표로 하고 있다.
  •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교환형(packet switching type)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는 어렵다. 이후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WCDMA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로 진화하였다. 2001년 일본의 NTT...
  • 모바일 브로드밴드 MBB, 廣大域移動通信
    말이다. 3세대(3G)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DMA) 기술은 음성과 짧은 데이터 위주의 통신으로 인터넷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다. 2005년 3GPP에서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표준(3GPP Release 5)이 공표되면서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초당...
  • 스리지피피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 표준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대표 3GPP 표준으로 초기의 릴리즈 98, 99를 거쳐 All-IP 핵심망의 릴리즈 4, IMS(IP Multimedia Subsystem)와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이 추가된 릴리즈 5, 무선 랜(WLAN) 연동과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 이동통신 移動通信, mobile communication
    중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기 위해 3GPP 표준을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 :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 Evolution(HSPA+로 불리기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