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과 관련된 우리말, 개울
    뜻과 해설 기본 뜻 골짜기나 물에 흐르는 작은 물줄기. 숲 속 옹달샘이나 선샘에서 솟아난 샘물은 도랑으로 흐르고, 도랑이 모여 개울이 됩니다. 또 개울이 모여 강을 이루지요. 개울은 '내'와 비슷한 말입니다. 시내보다는 크지만 강보다는 작은 물줄기지요. 개울 가운데서 작고 가는 개울을 실개울이라고 합니다. 물줄...
  • 맑은개울캠핑장
    맑은개울 캠핑장은 경북 상주시 하송리에 있다. 상주시청을 기점으로 33㎞가량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당진영덕고속도로 남상주 IC로 진입해 화서 IC로 나오면 손쉽게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이곳은 산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모여 만들어진 개울을 끼고 있다. 캠핑장 명칭을 맑은...
    위치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3길 178-5
  • 오산생태하천길(은빛개울공원 ~ 맑음터공원)
    역사 문화 탐방로이다. 역사탐방과 하천의 자연생태를 함께 느낄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찾는 코스이다. 삼남길 중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은 총 6.3㎞로, 은빛개울공원에서 시작해 맑음터공원에 이르는 구간이다. 은빛개울공원의 끝자락에는 세교지구의 아파트단지가 나오는데 잠깐의 도심을 지나면 물향기수목원 뒤편의 숲...
    위치 :
    경기도 오산시 금암동 (금암동)
  • 물가양털이끼 개울푸른비단이끼
    발달하여 밑으로 처져 있는 것이 본 종의 특징으로 밑으로 처진 기부는 사각형의 세포들이 뚜렷한 구역을 만들고 있다. 북한에서는 생육지 특성을 고려하여 개울푸른비단이끼라고 부른다. 형태 식물체는 황록색 또는 녹갈색이며, 윤기가 난다. 줄기는 아치형으로 기울어 자라며 길이 80mm에 달하고 불규칙하게 분지한다...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털깃털이끼목 > 양털이끼과 > 양털이끼속
    서식지 :
    흙이 얇게 깔린 습한 바위 위
    학명 :
    Brachythecium rivulare Schimp.
    국내분포 :
    강원, 전북, 제주
    해외분포 :
    일본, 중국, 아시아, 코카서스, 유럽, 그린란드, 아메리카
  • 개울쉬파리
    특징 몸길이는 9~15mm이다. 수컷의 이마는 검정색이며, 볼은 검정색 바탕에 회색과 황색 가루가 덮여 있고 검정색 털이 많이 나 있다. 목덜미에는 황백색 털이 나 있고, 아래턱수염은 진한 갈색이다. 다리는 검정색, 앞다리의 넓적다리마디는 아래쪽에 황색 가루가 덮여 있다. 배는 검정과 회색 가루로 덮여 바둑판 모양...
    분류 :
    파리목 > 쉬파리과 > 감자풍뎅이속
    학명 :
    Bercaea haemorrhoidalis (Fallén, 1817)
    출현시기 :
    5월, 6월, 7월
  • 숲과 개울 오토캠핑장&펜션
    숲과 개울 오토캠핑장&펜션은 강원 평창군 방림면에 위치하고 있다. 캠핑장 바로 앞에 계곡이 흐르고, 사방이 멋진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을 그대로 만끽할 수 있다. 사이트가 크고 간격이 넓어 조용하게 캠핑할 수 있고 장비가 없는 고객들은 펜션에서 숙박이 가능하다. 또한 반려동물 출입 가능하고 수영장과...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방림면 고원로 1505-8
  • 독산성길(세마교 ~ 은빛개울공원)
    세마교를 지나면 독산성에 오르게 된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물리친 권율 장군의 이야기가 내려오는 독산성에서는 주변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독산성의 또 다른 자랑, 백제고찰 보적사와 삼림욕장을 지나서 계속 길을 가다 보면 금암동 고인돌 공원에 도착할 수 있다. 금암동 고인돌은 한강 이남에서 처음 발견된...
    위치 :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안녕동)
  • 개울테라스
    개울테라스는 남한산성 인근에 위치한 이국적인 분위기의 신상 카페로, 개울테라스라는 이름답게 손을 뻗으면 닿을 만큼 가까운 곳에 계곡이 있다. 선착순 이용 가능한 테라스에는 발리풍 파라솔, 원두막, 해먹 등 다양한 시설이 있고, 좌석이 없을 시 돗자리, 튜브 같은 물놀이용품을 챙겨 따로 자리를 잡아도 된다...
    위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로 212-5
  • 솔밭개울펜션
    답답한 공간을 떠나 대자연의 품속으로 떠나길 원한다면 소나무 아름다운 자연이 살아있는 곳, 솔밭개울펜션으로 가볼 수 있다. 근처 계곡에서 물놀이도 가능하다. 또한 연계 관광지로 휘닉스파크가 있다.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선애1길 38-5
  • 무당개울
    약수동에서 발원하여 신당동 중심부를 지나 청계천으로 들어가는 물줄기로서, 좌우 부근에 무당들이 많이 살았던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매년 대보름이 되면 청년들이 이곳에 모이어 돌로 편쌈을 하였으므로 남대문 밖 우수재, 종로의 비파정, 동대문 밖 안감내와 함께 편쌈터로 유명하였다.
    유형 :
    자연물
  • (관련어 개울) Brook (small stream), 溪
    개울, 개천, 천(川)은 골짜기나 들에 흐르는 작은 물줄기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내는 강보다 작은 물줄기를 가리킨다. 강 지류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모텡이개울다리
    서초구 서초동에 있던 다리이다. 산아래마을 모퉁이를 흘러가는 개울에 있던 다리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이전에 방앗간이 있어 방앗간다리라고도 불렀다. 1966년 발간된 ≪한국지명총람≫에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
    유형 :
    시설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개울
한지 제조과정 / (3)개울에 담금
외암마을 개울 왼쪽에 있는 섶다리
외암마을 개울 왼쪽에 있는 석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