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쇠력 damping force
    스프링의 움직임을 억제하려고 하는 쇼크 앱소버의 저항력을 말하고 쇼크 앱소버 내의 피스톤 속도와 그 때에 작용하는 저항력으로 감쇠력의 크기를 표시한다. 어느 물체의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의미한다. 감쇠력이 크면, 스프링 작용을 억제하고 딱딱한 승차감이 되고. 작으면 푹신푹신한 느낌이 든...
  • 감쇠력 가변식 쇼크 앱소버 adjustable shock absorber
    조절 밸브에 의한 감쇠력을 가변(可變)으로 한 쇼크 앱소버. 스카이 훅(skyhook)이론에 대응하여 실현한 기술로 스프링 밑·스프링 위의 상대속도에 근거하는 감쇠력 특성을 1종류의 곡선으로 정의하는 종래형과 다르고 복수 곡선으로 준다. 스카이 훅 이론에서 취급하는 스프링상 질량 절대 속도의 감쇠력은 상대속도와...
  • 트윈 튜브식 쇼크 앱소버 twin tube shock absorber
    이너와 아웃 2개의 튜브를 가지는, 가장 일반적인 쇼크 앱소버임. 신장 측의 감쇠력은 로드 선단의 피스톤 밸브부로, 축소 측의 감쇠력은 튜브 밑부분의 베이스 밸브 부에서 생김. 피스톤 및 베이스 밸브에는 오리피스(작은 구멍이)가 설치되어 있고, 그곳을 통과하는 오일의 유동 저항이 감쇠력이 된다. 이너 튜브 내의...
  • 로드 어저스트식 쇼크 앱소버 rod adjusted type shock absorber
    피스톤 로드를 관통하는 컨트롤 로드를 돌리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오리피스를 설치한 로터리 밸브를 회전시켜, 감쇠력특성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쇼크 앱소버를 말한다. 컨드롤 로드의 회전은 상단에 설치한 다이얼을 수동으로 돌리는 방식과, 스테핑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전자제어로 자동변환을 행하는 방식이...
  • 듀얼 모드 댐퍼 dual mode damper system
    감쇠력을 높게 하면 승차감은 손상하게 되지만 조종성, 안정성은 향상한다. 반대도 성립한다. 고르지 못하는 도로는 대개 저속주행으로 쇼크 앱소버의 진폭이 크다. 포장로는 보다 고속으로 주행하지만 조종성, 안전성의 요구도가 높고, 소 진폭으로도 높은 감쇠력이 바람직하다. 상반하는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 감쇠력...
  • 오리피스 쇼크 앱소버, orifice
    자동차에도 쇼크 앱소버, 파워 스티어링 유닛을 비롯하여, 각종 유압 유닛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쇼크 앱소버에서는 피스톤과 베이스 밸브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의 크기는 피스톤 속도의 2승에 비례함으로, 오리피스 면적이 일정하면, 피스톤 속도의 빠른 영역에 감쇠력이 너무 높아져 버린다. 그 대응으로서...
  • 인젝터 EMS
    전자 제어 현가장치 EMS의 센서와 액추에이터에 피에조 소자를 사용한 방식이다. 고주파의 노면 압력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고속 전환하는 쇼크업소버에 응답성이 빠른 피에조 소자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주행에서는 감쇠력을 하드(hard) 상태로 하고, 조종성 및 안정성 높은 것이 필요할 때는 감쇠력을 소프트(soft...
  • 암스트롱식 쇼크 앱소버 Armstrong type shock absorber
    트윈 튜브식 쇼크 앱소버로 아웃 튜브로 설치된 로터리 밸브의 다이얼을 교체해서 감쇠력특성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쇼크 앱소버를 말한다. 로터리 면적이 다른 오리피스(orifice)가 복수 설치되어져 있고, 다이얼로 교체함으로써, 오리피스 면적에 따른 감쇠력특성을 얻을 수 있다. 대형 로터리 밸브를 사용하면 8종류...
  • 미저속 밸브 붙이 댐퍼 微低速, damper with extra slow speed va..
    조종안정성에 영향 주는 댐퍼 피스톤의 미 저속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컨트롤 하는 미 저속 밸브와, 승차감에 영향 주는 통상 속도 영역의 감쇠력을 컨트롤 하는 메인 밸브로 구성되고 있는 댐퍼를 말한다. 미 저속 밸브를 가지는 것으로 미 저속 영역에 따른 감쇠력 특성을 독립하여 제어 가능하므로, 조종안정성과...
  • 부의 감쇠 負減衰, negative damping
    진동의 1주기에 대하여 감쇠력이 계에 이룩하는 작업을 생각한 경우, 통상 이 값은 부로 된다. 이 작업이 정으로 되는 것 같은 감쇠력을 부의 감쇠라 한다. 부의 감쇠를 갖는 계의 운동방정식의 예로서는 ẍ+f'(υ)ẋ+x=0(f'(υ) : 상대속도 υ의 함수인 마찰력 f의 υ에 관한 미계수이고, f'(υ)<0) 등이 있다. 부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듀얼 모드 서스펜션 dual mode suspension
    2개의 모드로 전환 가능한 시스템. 1987년, 미쓰비시 미라주(mirage)의 듀얼 모드 서스펜션은 계기판의 SPORT·TOURING 스위치조작으로, 전후륜 쇼크 앱소버 감쇠력과 전륜 스태빌라이저 특성을 전환하는 시스템을 채용했다. 스태빌라이저는 결합부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토션 바의 지름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한편...
  • 액티브 스태빌라이저 active stabilizer system
    있지만, 세미 액티브의 개념 자체는 자동차 메이커마다 생각이 다르고, 통일된 정의는 확립되어있지 않다. 세미 액티브 다이내믹 댐퍼는, 스프링이나 감쇠력의 계수를 가변하게 할 수 있다고 정의되지만, 실제 시스템에서는, 이 선택을 계기반상의 스위치로 선택하는 듀얼모드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토요타 고급세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감쇠력 특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