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03년 > 사회 > 언론 > 출판 > 출판계 동향 > 조선노래대전집 출판 조선노래대전집’을 출판했다. 이 책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도를 받아 창작됐다는 노래를 비롯해 3천600여 곡의 가요와 가극, 영화노래, 아동가요 4천 여곡, 민요 100여 곡이 수록됐다. 또 명가사와 명곡을 많이 창작해 북한 주민에게 널리 알려진 시인과 작곡가의 사진과 명곡 CD 및 음악도서의 사진도 들어 있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ㅎ > 황진영 직책 경력 활동사항 보천보전자악단 작곡가 1991.11 인민예술가 칭호 1992.2 김일성상 수상 1994년 ‘당신만 있으면 우리는 이긴다’, ‘우리는 맹세한다’, ‘우리 앞날 밝다’, ‘해빛같은 미소 그립습니다’, ‘우리의 김정일동지’, ‘조국이여 말해다오’, ‘추억’(가요) 작곡 1995년 ‘우리는 수령님의 제자...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덕수 직책 출생 연ㆍ월ㆍ일 활동사항 작곡가, 공훈예술가 서울 1985년 기쁨과 슬픔을 넘어서(예술영화) 영화음악 담당 1986년 가야금에 깃든 사연(예술영화,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대홍단창작단 제작) 영화음악담당 1989년 심장에 남는 사람 제1부 언약, 제2부 생명(예술영화,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삼지 연창작단) 영화음악 담당...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영신 > 프로필 다른 나라와 문화교류 확대에 노력해 왔다. 남북회담에 등장한 것은 2000년 7월 제1차 남북장관급 회담이 처음이다. 북한 음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로서 작곡가로도 활동했는데 대표작은 ‘밝은 해빛 우러러’, ‘수령님의 혁명일가 길이 받드세’, ‘힘을 합쳐 통일의 길을 열자’, ‘남녘 땅에 넘치는 어버이 사랑...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10년 > 문화 > 음악 > 클래식 ㆍ 국악 > 개요 2010년은 클래식 음악계는 물론 전통 음악계도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린 한 해였다. 진은숙 서울시향 상임 작곡가의 현대음악 연주 프로그램인 ‘아르스 노바’가 영국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오늘의 음악’으로 수출된 것을 비롯해 서울시향의 유럽 투어, 국악 연주단체의 워멕스(WOMEX) 개막 공연 등...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광숙 정일봉’, ‘아버지의 축복’, ‘생이란 무엇인가’, ‘새별’, ‘장군별’등의 곡을 불렀다. 92년 인민배우가 된 그는 “맑고 은구슬같은 목청의 고음가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평양청년예술단에서 활동하다가 1986년 보천보전자악단에 입단했다. 그의 남편은 역시 보천보전자악단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인 전권이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문화ㆍ체육 > 음악 및 공연 > 음악 > 보천보전자악단 받았으며 신시사이저 등 전자악기를 주축으로 해서 음악적 특성에 따라 피아노 등의 양악기와 새납 꽹과리 같은 전통악기를 혼용하고 있다. 15명 정도의 작곡가 연주가 가수 등이 이곳에 소속돼 있는데 대표적인 작곡가는 리종오이며 가수로는 전혜영, 김광숙, 리분희, 조금화 등이 특히 유명하다. 지난 90년 평양...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사회 > 교육 > 교육계 동향 > 김원균평양음악대학 준공 북한 국가를 작곡한 김원균의 이름을 딴 ‘김원균평양음악대학’이 6월 29일 준공됐다. 2002년 사망한 작곡가 김원균은 강원도 원산에서 출생해 일제 때 노동생활을 하다가 해방 후 ‘김일성장군의 노래’(1946)와 ‘국가’(1947)를 잇따라 작곡, ‘김일성상’을 받고 ‘노력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는 음악가이다. 앞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0년 > 조총련 > 조총련 동포사회 변화 바람 > 사회문회ㆍ체육활동 > 남한 문학작품ㆍ연예인 인기 노래를 부른 ‘휘파람’(조기천 작사, 리종호 작곡)은 8위를 각각 차지했다. 좋아하는 음악가로는 이면상이 1위에 뽑혔고 전혜영이 3위, 사망한 재독 작곡가 윤이상이 5위, 남한 가수 김민기가 9위에 각각 올랐다. 북한 작품들의 경우, 음악 부문에서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등이, 문학부문...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문화ㆍ체육 > 음악 > 평양음대 ‘김원균 음악대학’으로 개명 상임위원회는 6월 27일 정령을 발표하고 평양음악대학을 북한 국가를 작곡한 김원균의 이름을 따 ‘김원균 평양음악대학’으로 개명했다. 2002년 사망한 작곡가 김원균은 강원도 원산에서 출생했으며 일제 때 노동생활을 하다가 해방 후 ‘김일성장군의 노래’(1946)와 ‘국가’(1947)를 잇따라 작곡, 주목받는 음악가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10년 > 세계 > 세계 문화 > 음악 > 프랑스 샹송계 거목 장 페라 별세 프랑스의 대표적인 사회참여 가수 겸 작곡가인 장 페라가 3월 13일 79세로 숨졌다. 좌파 성향의 페라는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드러낸 200곡의 노래를 직접 쓰거나 불렀다. 특히 2차대전 당시 나치의 프랑스 점령 하에서 자신을 구한 공산당계 레지스탕스에 강한 동질감을 느끼는 등 공산주의에 대한 선호로 1960...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3년 > 문화 > 음악 > 양악 > 신예연주자 국제콩쿠르입상 신예연주자들이 국제콩쿠르에 입상, 한국음악실력을 국제무대에 널리 떨쳤다. 성악부문에서는 테너 최승원이 뉴욕메트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작곡가 진은숙이 동경국제작곡 콩쿠르에서 1위, 바이올리니스트 이경선이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동상을 받았다. 이밖에 소프라노 문혜옥이 헝가리국립오페라단 국제콩쿠르 1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