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무꺽정이 고무망챙이, spinyhead sculpin
    4개의 가시가 있다. 측선공비늘 수는 13~16개이다. 피부는 부드럽거나 점액으로 싸여 있어서 미끄럽다. 몸은 연한 회색을 띠고,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전장 약 35cm. 생태 수심 20~800m의 바닥에 서식한다. 수심 200m 아래의 깊은 곳 대륙붕 주변에 많이 산다. 비교적 찬물을 좋아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는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물수배기과(Psychrolutidae)
    학명 :
    Dasycottus japonicus Tanaka
    북한명칭 :
    고무망챙이
    분포지역 :
    동해 중부 이북(속초, 원산), 일본 북부, 알래스카 해역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제주쏠치 whitetail goblinfish
    연조 1개는 분리되었다. 몸에 비늘이 없고, 몸 색깔은 변화가 심하다. 각 지느러미에 무늬가 없으며,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어두운 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는 연한 색으로, 검은 점이 없어서 말락쏠치와 구분된다. 전장 10~15cm. 생태 대륙붕 주변의 모래 또는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볼락과(Scorpaenidae)
    학명 :
    Minous quincarinatus (Fowler)
    분포지역 :
    제주도, 일본 남부, 타이완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가시베도라치 검바두치, longsnout prickleback
    기부까지 이어진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극조는 날카롭고,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약간 둥글다. 측선은 없다. 몸은 어두운 회갈색이며, 모든 지느러미는 몸보다 진한 색을 띠고, 꼬리지느러미는 검은색을 띤다. 전장 약 40cm. 생태 심해성 어류로, 수심 100~850m의 대륙붕이나 대륙 사면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장갱이과(Stichaeidae)
    학명 :
    Lumpenella longirostris (Evermann and Gold-sborough)
    북한명칭 :
    검바두치
    분포지역 :
    동해 중부 이북, 일본 북부, 북태평양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붉은가라지 red mackerel scad
    1개씩의 토막지느러미가 있다. 측선의 전반부는 등의 외곽선과 평행을 이루다가 제2등지느러미의 전반부에서 휘어져 내려와 미병부까지 직선을 이룬다. 미병부의 측선 전체에 32~35개의 모비늘이 있다. 등은 암청색, 배는 은백색, 꼬리지느러미는 붉은색을 띤다. 전장 약 30cm. 생태 대륙붕 주변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전갱이과(Carangidae)
    학명 :
    Decapterus akaadsi Abe
    분포지역 :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 남부~남중국해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감성돔 남정바리(강원), Black Sea Bream
    한국은 감성돔낚시 문화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바다낚시를 대표하는 최고의 대상어종이다. '바다의 왕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당찬 손맛, 짜릿한 눈맛, 차진...회, 초밥, 소금구이, 탕 보호어종 25cm 이하 특징 수심 50m 이하의 대륙붕 내지는 수중 암초가 산재해 있는 곳에 서식하며 갯바위낚시 어종으로 인기가 높다...
    분류 :
    농어목 도미과
    크기 :
    65cm
    제철 정보 :
    10~2월(늦가을부터 겨울까지)
    분포지역 :
    한국의 전 연안, 일본 홋카이도 이남, 타이완, 동중국해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 꽃감펭 flowery scorpion fish
    극조는 2개인데, 제1극조는 길이가 짧다. 몸은 붉은색과 연한 색이 섞여 나타나고, 측선 위쪽에 6개의 윤곽이 불분명한 갈색 가로무늬가 있으며, 가장 앞의 것은 머리에, 뒤의 것은 미병부에 나타난다. 눈 아래에 3~4개의 갈색 줄무늬가 방사상으로 나타난다. 전장 약 20cm. 생태 대륙붕 주변의 바닥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볼락과(Scorpaenidae)
    학명 :
    Hoplosebastes armatus Schmidt
    분포지역 :
    제주도, 일본 중부 이남, 동중국해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홍기가라지 Roughear scad
    이른다. 측선의 전반부는 등의 외곽선과 평행을 이루다가 제2등지느러미의 전반부에서 휘어져 내려와 미병부까지 직선을 이룬다. 미병부의 측선 전체에 30~40개의 모비늘이 덮여 있다. 등은 파란색, 배는 은백색, 꼬리지느러미는 홍적색을 띤다. 전장 약 40cm. 생태 수심 200~360m의 대륙붕 근처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전갱이과(Carangidae)
    학명 :
    Decapterus tabl Berry
    분포지역 :
    제주도, 일본 남부~인도양, 태평양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삼치 망에, Japanese Spanish mackerel
    깊게 패었다. 측선은 제2등지느러미 극조부의 후반부에서 아래쪽으로 휘어져 내려온다. 등은 푸른색, 배는 은백색을 띠며, 체측 중앙과 뒷부분에는 회청색 반점이 세로줄 무늬를 이룬다. 등지느러미는 약간 검고 뒷지느러미는 흰색이다. 전장 약 1m. 생태 대륙붕과 연안의 표층에 서식하며, 산란기는 4~5월이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고등어과(Scombridae)
    학명 :
    Scomberomorus niphonius (Cuvier)
    북한명칭 :
    삼치
    분포지역 :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과 중국의 아열대 해역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에보시감펭 cockscomb firefish
    골질 벼슬이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위쪽 기조 일부는 분지되었다. 측선공비늘 수는 26개, 새파 수는 5~6+11~12개, 척추골 수는 24개이다. 머리에 3개의 줄무늬가 있고 체측에도 약하게 있다. 가슴지느러미에는 검은 점으로 된 5개의 십자형 줄무늬가 배열되어 있다. 전장 약 25cm. 생태 대륙붕 지역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볼락과(Scorpaenidae)
    학명 :
    Ebosia bleekeri (Döderlein)
    분포지역 :
    제주도, 동중국해, 남중국해, 일본 남부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도자감펭 blackfoot firefish
    잔 가시돌기가 많이 나 있다. 등지느러미의 가시는 현저히 길고, 제1등지느러미막은 길게 갈라졌다. 새파 수는 5+13개이다. 가슴지느러미 기조의 위쪽 반은 분지되었다. 꼬리지느러미는 절단형이며, 위쪽 1~2개의 기조는 길다. 몸은 적갈색을 띤다. 전장 약 12cm. 생태 대륙붕 지역의 모래땅 지대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볼락과(Scorpaenidae)
    학명 :
    Parapterois heterura (Bleeker)
    분포지역 :
    남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일본 남부, 인도~서부 태평양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흰붕장어
    지느러미의 기부 바로 위쪽이나 약간 앞쪽에서 시작된다. 턱에는 앞쪽으로 4~5줄의 이가 불규칙하게 나 있고, 뒤쪽은 2줄로 나 있으며, 서골치는 무디고, 앞쪽이 약 4줄, 뒤쪽이 2~3줄이다. 입을 다물었을 때 입 앞쪽으로 이가 약간 노출된다. 전장 약 45cm. 생태 대륙붕 지역의 모래 · 개펄 지역에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뱀장어목(Anguilliformes) > 붕장어과(Congridae)
    학명 :
    Ariosoma shiroanago (Asano)
    분포지역 :
    남해, 일본 중부 이남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남방돛양태 Kai Island deepwater dragonet
    2개의 연조는 분지되지 않았다. 몸은 연갈색 바탕에 검은 반점이 있고, 배 쪽은 흰색을 띤다. 제1등지느러미의 제3,4극조 사이에 반달 모양의 검은 반점이 있고, 제2등지느러미에는 벌레 무늬가 있다. 수컷의 뒷지느러미는 약간 어둡고, 암컷은 가장자리가 검다. 전장 약 18cm. 생태 대륙붕 근처에서 서식한다. 참고내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돛양태과(Callionymidae)
    학명 :
    Bathycallionymus kaianus (Günther)
    분포지역 :
    남해, 동중국해, 일본 남부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