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Kwangwoon Electronics Technical High S..
    학교(光云人工知能高等學校)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1934년 5월 20일 : 조선무선강습소 설립 1938년 11월 18일 : 조선무선공과학원으로 개칭 1946년 9월 2일 : 조선무선초급중학교 설립 인가 1948년 1월 7일 : 재단법인 조선무선중학교(6년제) 설립인가, 조광운 박사 초대 교장...
    도서 위키백과
  • 총각무 Chonggak radish
    총각무는 무의 일종이다. 알타리무로도 부른다. 뿌리가 잔 무로, 무청째로 김치를 담근다. 또한 총각무는 총각무의 뿌리줄기가 2~3 cm, 뿌리 길이가 8~9 cm, 무게 60~80 g 정도이다. 게걸무 보르도무 비트 래디시 사탕무 순무 열무 왜무 조선무 청피홍심무 초롱무 콜라비 두피디아
    도서 위키백과
  • 빈대떡 Bindae-tteok, ピンデトッ
    것이 아니고 전병(煎餠)의 일종이었다. 또 《규합총서》(1815)에서는 같은 방법이지만 위에 잣을 박고 대추를 사면에 박아 꽃전모양으로 만든다고 하였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24)에서는 기존의 조립법과 확연히 달라진 간 녹두에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등과 여러 가지 채소, 버섯, 달걀 그리고 해삼, 전복...
    도서 위키백과
  • 수정과 Sujeonggwa, スジョングァ
    한다. 수정과는 1765년 『수작의궤(受爵儀軌)』에 처음 등장한 이후, 1798년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1896년 『규곤요람(閨壼要覽)』, 1924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1939년 『조선요리법(朝鮮料理法)』 등 다양한 조리서에 등장했다.웹 인용 처음에는 배와 유자를 넣어 만들다가 곶감을...
    도서 위키백과
  • 열무 Yeolmu
    열무는 어린 무이다. 재배 기간이 짧아서 1년에 여러 번 재배할 수 있다. 무청 부분까지 통째로 사용한다. 주로 김치를 담가 먹으며, 물냉면이나 비빔밥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게걸무 조선무 총각무 흰무 두피디아
    도서 위키백과
  • 무청
    다른 뜻 무청은 무의 잎과 줄기이다. 한국 요리에는 주로 조선무의 무청이 쓰인다. 말려서 시래기로 쓰기도 한다. 무순 시래기 열무
    도서 위키백과
  • Kalguksu 칼국수, カルグクス
    was very expensive, being imported from China. A cooking description can be found in a later document, The Best New Cooking Methods of Joseon (hangul: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hanja: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written in 1924. In the 1934 book Simple Joseon Cooking (hangul:, hanja:), the recipe calls for...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출처1건

멀티미디어5건

조선무
조선무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