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서안 서상, 書案문목을 취한다는 것은 옻칠조차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인두로 지지거나 향유로 닦아 고담하게 만드는 문방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일치한다. 목재는 제주도의 산유자나무, 호남의 먹감나무, 황해도 대청도 일대의 해묵은 뽕나무를 꼽으며, 기록에 따라서는 비자나무 · 느릅나무 · 물푸레나무 등이 좋다고도 한다. 참고문헌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손죽열도 巽竹列島높이 326m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형의 섬으로 남쪽에 작은 만입부가 있다. 온화한 해양성기후로 겨울에도 눈을 거의 볼 수 없으며, 난대성식물인 비자나무·동백나무·팔손이 등이 자생한다. 연안에서는 자연산의 김과 미역의 채취가 활발하고 근해에서는 도미·감성돔·가자미 등이 잘 잡히나 판로 시장이 멀어 경제성이...
- 성격 :
- 섬, 열도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강진군의 유물·유적·관광제36호)가 있다. 천연기념물로 대구면 사당리에 푸조나무(천연기념물 제35호), 마량면 마량리 까막섬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72호), 병영면 삼인리의 비자나무(천연기념물 제39호), 도암면 만덕리 백련사의 동백림(천연기념물 제151호)이 있다. 주요관광자원인 많은 불교유적과, 유배되었던 유학자들의 유적지...
-
-
도양읍 道陽邑, Doyang-eup읍. 소록도·득량도를 비롯한 유인도 6개, 무인도 19개를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이 100~200m의 산지를 이루며, 동부에는 평야가 분포한다. 난대성식물인 비자나무·동백나무가 자라며, 마늘·참깨·유채 등이 생산된다. 연안에서는 쥐치·삼치·복어 등이 잡히며, 김·미역·꼬막·바지락 양식이 이루어진다. 소록도는...
- 인구 :
- 10,010 (2019)
- 면적 :
- 33.56㎢
- 행정구역 :
- 38개리 147개반 (법정리 7개리)
- 소재지 :
- 전라남도 고흥군
- 사이트 :
- https://www.goheung.go.kr/contentsView.do?pageId=www194
-
금자란 민금자란금자란과 민금자란은 경남 남해와 제주도에서 자라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으로, 착생란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지 않는 곳의 소나무 껍질이나 비자나무에 붙어 자란다. 키는 10~15㎝이고, 잎은 길이가 10~15㎝, 폭은 약 0.4㎝ 정도이고 뿌리에서 올라오며 2줄로 달리며 자줏빛 반점이 있고 어긋나며 긴 타원형...
- 학명 :
- Saccolabium matsuran (Makino) Schltr.
- 분포지역 :
- 경남 남해와 제주도
- 종류 :
- 착생란류
- 개화기 :
- 5~6월
-
귀사구 소매구댕이긴 작대기 끝에 바가지를 매단 ‘똥바가지’로 퍼서 밭에 주지만, 호남과 영남지방에서는 귀사구라는 독특한 용기를 따로 만들어 쓴다. 이것은 전나무나 비자나무의 쪽널을 둥글게 세우고(높이 30㎝ 정도), 테를 두른 것으로, 한쪽에는 귀때를 붙였다(귀사구라고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리고 지게 작대기처럼 끝이...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디-포레 카라반 파크숲을 보호 조성해 온 결실로 국립제주대학교 황칠사업단의 인증 받은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명소이다. 전 세계에서 오직 제주도에만 있는 황칠나무 보호숲과 비자나무, 편백나무 숲을 보유하고 있다. 12만평의 당오름 산책로, 9.8km 승마로, 산림욕장 및 체육운동시설 등 여유로운 휴식을 즐겨보자. 편리한 서비스로...
- 위치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6길 78-1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