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본숙 本宿, Bonsook
    및 활동사항 가계 미상. 출신지는 칠중성(七重城) 부근. 본숙(本宿)은 신라의 삼국통일기에 상간(上干: 外位 제6위)이라는 관직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 백제부흥운동으로 신라의 서쪽 국경이 혼란스러워지자 이 틈을 노려 고구려는 660년 10월 신라 한강 북방의 요충지인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의 현령(縣令)이자...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660년
    경력 :
    상간(上干)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칠중성전투
    직업 :
    관리, 지방관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부여융 묘지명 扶餘隆 墓誌銘
    기개가 삼한을 덮을 정도라 명성이 양맥(兩貊)에 전해졌다고 하였다. 양맥은 고구려와 백제를 통칭하는 말이다. 성품은 효성스럽고 신중하여 선행을 행하고 의를...하였다고 하여 백제 멸망 당시 투항한 사실을 미화하였다. 또한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났을 때 웅진도독 백제군공에 봉해져 백제 유민들을 안무하는데 종사...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고대사
  •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장안성(長安城)의 축성 책임자) 가서일:고구려의 화공 김알지:경주 김씨의 시조 강이식 : 고구려 영양왕 때 수나라와의 전쟁을 지휘한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 : 고구려 부흥운동의 지도자. 계백: 황산벌 전투의 장군 고공의 고구 고국양왕 고국원왕 고국천왕 고노자 고덕무 고량 고련 고무 고문 고문간 고보원 고복남...
    도서 위키백과
  • 옥보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으며 문혜(文惠)라는 시호를 받았다고 한다. 또한 옥보고의 집안은 신라 6두품 귀족이라 하였는데 신라는 전라북도 익산에서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하던 보덕국을 멸망시킨 뒤 보덕국의 고구려 귀족을 남원경(南原京) 지역의 신라 6두품 귀족으로 편입한 바 있다. 옥보고가 활동하던 시기에...
    도서 위키백과
  • 탈춤의 유래
    迎鼓), 고구려의 동맹과 같은 국중대회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신에 대한 공연적(供演的) 성격의 무용 요소와 탈을 쓴 군중의 가무희(歌舞戱)가 있었다. 백제의 기악, 신라의 황창무(黃昌舞)·처용무(處容舞), 최치원의 〈향악잡영 鄕樂雜詠〉 5수 중 대면·산예, 고려의 산대잡극 등이 탈춤의 바탕이 되었을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대방주 帶方州
    백제부흥운동이 종식된 직후 유인궤는 정직(正職)의 대방주자사가 되었다. 하지만 검교웅진도독으로서 백제의 옛 땅에 주둔한 당나라군의 총사령관이었던 관계로 대방주가 제 기능을 발휘했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대방주는 웅진도독부 산하 다른 여섯 개의 주들과 마찬가지로 664년에야 실질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지명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보원 高宝元
    걸걸중상, 대조영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당군에 합류한 이후의 삶은 전해지지 않는다. 증조부 : 고대양(高大陽) 증조모 : 미상 조부 : 보장왕 조모 : 미상 아버지 : 고복남(高福男, ?~?) 어머니 : 미상 보장왕 안동도호부 고구려 부흥운동 고려조선군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도서 위키백과
  • 부여풍 扶餘豊
    백제부흥운동을 일으켰다. 이 때 백제부흥군은 일본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풍은 일본의 원군을 태운 선박 170척을 거느리고 661년 9월 귀국하였다. 이에 복신 등은 풍을 왕으로 추대한 뒤 신라와 당나라를 상대로 싸워 한때 나당연합군을 위기에 빠지게 하였다. 그러나 복신과 도침 사이에...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백제 멸망, 백제부흥운동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백제역사문화관 百濟歷史文化館
    백제부흥운동으로 나누어 전시되고 있다. 백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고 망했으며, 다시 나라를 세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제2전시실은 백제의 문화를 테마로 백제의 성곽, 생활, 사비도성 등 백제의 삶과 문화를 보여준다. 금동대향로 극장에서는 영상과 음향을 통해 금동대향로의 사상과...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고연무
    군인 정보 고연무(高延武)는 고구려 말기의 군인으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전개했던 인물이다. 보덕국에서는 대장군(大將軍) 태대형(太大兄)을 지냈다. 668년 나·당연합군이 고구려를 정복하자, 670년 나당 전쟁에서 고연무는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신라의 사찬(沙飡) 설오유(薛烏儒)와 함께 압록강을 건너 말갈군을...
    도서 위키백과
  • 안시성 Ansi City, 安市城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이 싸움에서 당 태종은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고려 후기의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고구려 멸망(668) 후 안시성은 검모잠(劒牟岑)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부흥운동의 요동지역 중심지가 되었으나 671년 7월 당나라 군대에 함락되었다. 양만춘 고구려 당나라
    도서 위키백과
  • 안동도호부 Protectorate General to Pacify the East, 安東..
    멸했던 신라는 한반도를 통일하기 위해 두 나라의 옛 땅을 에워싸고 당과 여러 해를 두고 대전하였다. 신라는 당나라의 음모에 대비하여 검모잠의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하였다. 또한 사비성을 당나라 군에게서 탈환하고 그곳에 있던 웅진 도독부를 축출하였다. 이에 당나라는 문무왕의 동생 김인문을 신라의 왕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고구려 부흥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