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본숙 本宿, Bonsook및 활동사항 가계 미상. 출신지는 칠중성(七重城) 부근. 본숙(本宿)은 신라의 삼국통일기에 상간(上干: 外位 제6위)이라는 관직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 백제부흥운동으로 신라의 서쪽 국경이 혼란스러워지자 이 틈을 노려 고구려는 660년 10월 신라 한강 북방의 요충지인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의 현령(縣令)이자...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660년
- 경력 :
- 상간(上干)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칠중성전투
- 직업 :
- 관리, 지방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부여융 묘지명 扶餘隆 墓誌銘기개가 삼한을 덮을 정도라 명성이 양맥(兩貊)에 전해졌다고 하였다. 양맥은 고구려와 백제를 통칭하는 말이다. 성품은 효성스럽고 신중하여 선행을 행하고 의를...하였다고 하여 백제 멸망 당시 투항한 사실을 미화하였다. 또한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났을 때 웅진도독 백제군공에 봉해져 백제 유민들을 안무하는데 종사...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삼국 시대 인물 목록장안성(長安城)의 축성 책임자) 가서일:고구려의 화공 김알지:경주 김씨의 시조 강이식 : 고구려 영양왕 때 수나라와의 전쟁을 지휘한 고구려의 장군. 검모잠 : 고구려 부흥운동의 지도자. 계백: 황산벌 전투의 장군 고공의 고구 고국양왕 고국원왕 고국천왕 고노자 고덕무 고량 고련 고무 고문 고문간 고보원 고복남...도서 위키백과
-
-
대방주 帶方州백제부흥운동이 종식된 직후 유인궤는 정직(正職)의 대방주자사가 되었다. 하지만 검교웅진도독으로서 백제의 옛 땅에 주둔한 당나라군의 총사령관이었던 관계로 대방주가 제 기능을 발휘했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대방주는 웅진도독부 산하 다른 여섯 개의 주들과 마찬가지로 664년에야 실질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부여풍 扶餘豊백제부흥운동을 일으켰다. 이 때 백제부흥군은 일본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풍은 일본의 원군을 태운 선박 170척을 거느리고 661년 9월 귀국하였다. 이에 복신 등은 풍을 왕으로 추대한 뒤 신라와 당나라를 상대로 싸워 한때 나당연합군을 위기에 빠지게 하였다. 그러나 복신과 도침 사이에...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백제 멸망, 백제부흥운동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백제역사문화관 百濟歷史文化館백제부흥운동으로 나누어 전시되고 있다. 백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고 망했으며, 다시 나라를 세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제2전시실은 백제의 문화를 테마로 백제의 성곽, 생활, 사비도성 등 백제의 삶과 문화를 보여준다. 금동대향로 극장에서는 영상과 음향을 통해 금동대향로의 사상과...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