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매미 책선, cicada울음소리는 동요 등 음악의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매미는 책선(蚱蟬)이란 이름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한약재로 흔히 활용되었다. 또, 매미의 허물은 선태(蟬蛻), 선각(蟬殼), 선탈(蟬脫)이라고 하여 해열(解熱), 항과민(抗過敏), 파상풍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매미 유충이 탈피하기 직전인 굼벵이...
- 분류 :
-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매미목(Homoptera) 매미과(Cicadidae)
- 성격 :
- 동물, 곤충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동물
-
논어 자장편,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원문 〈자장(子張)〉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허물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서 잘못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고, 잘못을 고쳤을 때에는 사람들이 우러러본다.” 해설 잘못의 인정 스승과 지도자가 자기의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면 학생과 국민들이 그들을 무시할까? 오히려 잘못을 인정하는 것을 보고 그...
-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고종 황제 칙서칠로(七路)에 권송(勸送)하니 각기 의병에 나서라. 슬프다. 나의 죄가 크고 허물이 많은지라 하늘의 도움을 받지 못하여 강악(强惡)한 이웃 나라가 넘보게 되고 역신(逆臣)이 국권을 농단하여 마침내 4천 년 종사와 삼천리 강토가 하루아침에 오랑캐의 땅이 되려 하니 나의 이 실낱 같은 목숨이야 아까울 것 없지만 오직...
- 시기 :
- 1907년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총독 데라우치에게 보내는 글우리 한국은 최근에 간신이 권력을 희롱하여 정명(正命)이 행해지지 않아 병합을 당함에 이르렀으니 죄는 사실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요, 남에게 허물을 돌릴 수 없습니다. 일본의 행위 또한 타당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청일전쟁의 선전 문서와 마관의 강화 조약에서 명백히 대한의 독립을 보존해서 당당히 의롭게...
- 시기 :
- 1913년
-
권철 경유(景由), 權轍1567년(선조 즉위년)에는 좌의정, 1571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작은 관직에 있을 때부터 몸가짐이 신중하여 일찍부터 재상의 중망(衆望)이 있었다고 하며, 비록 출중한 재기는 없었으나 청신하게 법을 지켜 감히 허물하지 못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복상(福相)이라고 칭송하였다. 시호는 강정(康定)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03년(연산군 9)
- 사망 :
- 1578년(선조 11)
- 경력 :
- 영의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김속명 충간(忠簡), 金續命監察執義)가 되어 감찰대부(監察大夫) 원의(元顗)와 감찰지평(監察持平) 홍원로(洪元老)와 함께 부정을 규탄하고 법을 집행하였다. 새로 임명되는 관리도 허물이 있으면 서명을 거부했으므로 나인과 환자(宦者)들의 미움을 사 파면되었다가 다시 복직되어 좌부대언(左副代言)이 되었다.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의...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86년(우왕 12)
- 경력 :
- 첨의평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화평(化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