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고 迎鼓
    넓고 평탄한 곳이며, 오곡이 자라기에 적당하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또 옛 부여 풍속으로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이 제대로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국왕에게 돌려 왕을 바꾸거나 죽이자는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부여는 기본적으로 농경을 주된 산업으로 삼고 있었던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여
  • 매미 책선, cicada
    울음소리는 동요 등 음악의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매미는 책선(蚱蟬)이란 이름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한약재로 흔히 활용되었다. 또, 매미의 허물은 선태(蟬蛻), 선각(蟬殼), 선탈(蟬脫)이라고 하여 해열(解熱), 항과민(抗過敏), 파상풍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매미 유충이 탈피하기 직전인 굼벵이...
    분류 :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매미목(Homoptera) 매미과(Cicadidae)
    성격 :
    동물, 곤충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카스트루 Eugénio de Castro
    상징파와 데카당파에 속한다. 그의 유명한 시집 〈허물없는 잡담 Oaristos〉(1890)은 포르투갈에 상징주의를 도입한 책으로, 나중에 미국의 시인 에즈라 파운드와 에이미 로웰이 발전시킨 것과 비슷한 자유시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의 상징주의는 당시 포르투갈 시의 특징이었던 향수어린 민족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출생 :
    1869. 3. 4, 포르투갈 쿠임브라
    사망 :
    1944. 8. 17, 쿠임브라
    국적 :
    포르투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논어 자장편,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원문 〈자장(子張)〉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허물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서 잘못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고, 잘못을 고쳤을 때에는 사람들이 우러러본다.” 해설 잘못의 인정 스승과 지도자가 자기의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면 학생과 국민들이 그들을 무시할까? 오히려 잘못을 인정하는 것을 보고 그...
  • 내훈 內訓
    며느리이며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는 아버지 한확(韓確) 밑에서 유교적 부덕을 닦고 언행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었다. 왕손 양육에 있어서도 작은 실수나 허물도 비호하지 않고 훈계하여, 세조로부터 폭빈(暴嬪)이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였다. 소혜왕후는 내훈 서(序)에서 "천지의 영(靈)을 타고나 5상(常)의 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초석 礎石, cornerstone
    때때로 날짜 혹은 다른 비문을 새기기도 한다. 좀더 일반적으로는 훗날 건물을 개축하거나 허물 때 역사적 유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의 관습을 반영하는 신문·사진·통화·책·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해 초석의 안을 비웠다. 현대적 건축기술의 개발 전까지는 그 돌은 아마도 첫번째 주춧돌로서 보통 구석에 위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고종 황제 칙서
    칠로(七路)에 권송(勸送)하니 각기 의병에 나서라. 슬프다. 나의 죄가 크고 허물이 많은지라 하늘의 도움을 받지 못하여 강악(强惡)한 이웃 나라가 넘보게 되고 역신(逆臣)이 국권을 농단하여 마침내 4천 년 종사와 삼천리 강토가 하루아침에 오랑캐의 땅이 되려 하니 나의 이 실낱 같은 목숨이야 아까울 것 없지만 오직...
    시기 :
    1907년
  • 191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총독 데라우치에게 보내는 글
    우리 한국은 최근에 간신이 권력을 희롱하여 정명(正命)이 행해지지 않아 병합을 당함에 이르렀으니 죄는 사실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요, 남에게 허물을 돌릴 수 없습니다. 일본의 행위 또한 타당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청일전쟁의 선전 문서와 마관의 강화 조약에서 명백히 대한의 독립을 보존해서 당당히 의롭게...
    시기 :
    1913년
  • 출가 出家, pabbajja
    허락해줄 것을 청한다. 그러면 계사는 사미로서 지켜야 할 십계(十戒)를 일일이 말하며 반드시 지킬 것을 다짐받는다. 출가의식은 사미가 된 사람이 자신의 옛 허물을 용서해줄 것을 청하고 스승의 지도에 충실히 따르겠다고 다짐하면서 종결된다. 사미는 여러 날 또는 여러 달에 걸쳐 지도를 받으며, 비구들이 탁발나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권철 경유(景由), 權轍
    1567년(선조 즉위년)에는 좌의정, 1571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작은 관직에 있을 때부터 몸가짐이 신중하여 일찍부터 재상의 중망(衆望)이 있었다고 하며, 비록 출중한 재기는 없었으나 청신하게 법을 지켜 감히 허물하지 못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복상(福相)이라고 칭송하였다. 시호는 강정(康定)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03년(연산군 9)
    사망 :
    1578년(선조 11)
    경력 :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금방울전 금령전
    나가자 방울은 위급할 때마다 해룡을 구한다. 한편 백발노인이 장원의 부인과 막씨의 꿈에 나타나 아들과 딸을 볼 것이라고 일러준다. 깨어보니 방울의 허물을 벗은 선녀가 누워 있었다. 황제는 이 이야기를 듣고 해룡과 방울을 혼인시킨다. 해룡은 두 부인과 더불어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신선이 되어 승천한다. 전기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김속명 충간(忠簡), 金續命
    監察執義)가 되어 감찰대부(監察大夫) 원의(元顗)와 감찰지평(監察持平) 홍원로(洪元老)와 함께 부정을 규탄하고 법을 집행하였다. 새로 임명되는 관리도 허물이 있으면 서명을 거부했으므로 나인과 환자(宦者)들의 미움을 사 파면되었다가 다시 복직되어 좌부대언(左副代言)이 되었다.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의...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386년(우왕 12)
    경력 :
    첨의평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화평(化平)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9건

무당벌레 허물
뱀허물대모벌
뱀허물쌍살벌
뱀허물대모벌
뱀허물쌍살벌
뱀허물쌍살벌
뱀허물대모벌
뱀허물쌍살벌
뱀허물대모벌
뱀허물대모벌
뱀허물쌍살벌
허물 벗은 매미 껍데기
큰뱀허물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