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짧은 패킷 short packet데이터 패킷의 하나로, 사용자 데이터부가 256옥텟(octet) 이하의 것. ITU-T 권고 X.25 규정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부가 128옥텟 이하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때는 특히 망과의 패킷 길이에 대한 교섭 절차를 밟지 않고 호 설정이 완료되면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행한다.
-
패킷 디스어셈블리 packet disassembly비패킷형(nonpacket-mode) 터미널로 보내진 패킷(packet)이 적절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설비. 예를 들면, 받아들일 수 있는 속도의 문자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다.
- 분야 :
- 정보통신
-
패킷 공중 데이터 교환망 PSPDN, -公衆-交換網패킷 교환 방식에 의한 공중 데이터 교환망.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공중 가입형의 망을 지칭하며, 회선 교환 공중 데이터 통신망(CSPDN) 및 패킷 데이터 교환망(PSDN)과 같은 계열의 용어이다. 패킷 데이터 교환망(PSDN)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패킷 케이블 멀티미디어 PCMM, Packet Cable Multimedia케이블망을 통해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및 규격. 인터넷 전화, 영상 회의, 온라인 게임 등 각종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해 주며 유무선망을 연동하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
비 패킷형 단말기 非-型端末機, non-packet mode terminal정보의 송수신을 패킷 형태로 하지 않는 단말기. 종래의 일반 단말기나 음향 커플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등을 말한다. 이 단말기를 패킷 교환 서비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를 패킷에 조립하고 분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패킷 조립/분해(PAD)가 요구된다.
-
긴 패킷 long packet데이터 패킷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그 사용자 데이터부가 256옥텟(octet) 초과하고 있는 것. ITU-T 권고 X.25 규정에 의하면 긴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호 설정 시에 단말과 망 간 패킷 길이에 대하여 교섭 절차를 밟아야 한다.
-
패킷 처리 모듈 PHM, -處理-I 인터페이스 가입자계 모듈(ISM)을 접속하여 ISDN 서비스의 B채널 및 D채널의 패킷 교환을 제공하는 모듈. I 인터페이스 가입자계 모듈(ISM)과의 접속 기능, 패킷의 전달 순서 결정 기능, 패킷 관련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갖는다.
-
패킷 전송 방식 PTM, -傳送方式비동기나 동기식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패킷 교환망에서 데이터의 전송에 주로 이용되고, 전송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일정한 크기 및 프로토콜을 갖는 셀을 구성하며 여러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매우 복잡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
패킷 표준 프로토콜 PLP, -標準-ITU-T 권고 X.25의 레벨 3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호를 설정, 해방하기 위하여 제어를 하는 접속 제어 순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순서 제어, 오류 제어(틀림을 고치는) 및 플로 제어를 하는 데이터 전송 순서 등으로 구성된다.
-
심층 패킷 정보 감시 DPI, 深層-情報監視네트워크를 오가는 패킷 정보를 감시하는 기술. 인터넷상에서 작은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되는 정보를 감시하여 유해 트래픽을 차단하고, 중요한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망을 한층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중계 패킷 교환기 TPS, 中繼-交換機구내 정보 통신망(LAN)에서 중계 패킷 교환망의 교환기. 상호 접속 처리 장치(GWP)와 국내(局內) 패킷 처리 장치(LPS) 사이 또는 LPS끼리를 중계한다. 이것은 X.75 패킷 교환 신호 방식에 따른다.
-
대기 패킷과 동기 교환 QPSX, 待機-同期交換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제안된 매체 접근 제어 알고리듬. 망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발생 순서대로 전송하는, IEEE 802.6 도시 지역 통신망의 분산 큐(queue) 이중 버스의 근원이 된 프로토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