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순흠 자유, 高順欽
    1923년 3월 최선명(崔善鳴)이 오사카(大阪)에서 조직한 남흥여명사(南興黎明社)에 참여하였으며, 같은 해 6월 최선명 ・ 김태엽(金泰燁) 등과 함께 조선무산자사회연맹(朝鮮無産者社會聯盟)을 결성하였다. 그해 7월에는 대판조선노동동맹회(大阪朝鮮勞動同盟會) ・ 관서조선3・1청년회(關西朝鮮三 ・ 一靑年會) ・ 대판...
    출생 :
    1893년 1월 14일, 전라남도 제주(齊州)
    사망 :
    1977년 11월 5일
    관련 사건 :
    제주해녀조합설립운동, 자주운항운동(일본)
    주요활동 :
    1909년 대동청년단 가입, 1920~22년 조선노동공제회 발기인 ・ 간사 ・ 집행위원, 1923년 남흥여명사 참여, 조선무산자사회연맹 결성, 오사카조선인여공보호연맹회 조직, 1928년 오사카제주항해조합 ・ 오사카기업동맹기선부 설립, 1946년 재일본조선거류민단 중앙총본부 의장, 1947년 재일본조선거류민단 부단장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대동청년단, 임시정부, 조선노동공제회, 남흥여명사, 조선무산자사회연맹, 대판조선인여공보호연맹회, 대판제주항해조합, 대판기업동맹기선부, 재일본조선거류민단
  • 닭볶음탕 Dak-bokkeum-tang, タットリタン
    湯)'이라는 음식이 나오는데, 고추장이나 고춧가루로 양념을 하지 않았고 감자가 없을 뿐 지금의 닭도리탕과 거의 일치한다.뉴스 인용 1924년에 초판이 발행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도 도리탕이 나오는데, "송도(松都)에서는 '도리탕'이라고 하고 양념으로 파와 후춧가루, 기름과 깨소금, 마늘 등을 넣고 만든다...
    도서 위키백과
  • 기장 석박지 機張 석박지
    법] 기장 석박지는 어린 갈치가 들어가 발효되며 독특한 쏘는 맛이 특징적인 김치이다. 과거부터 기장군 일대에서 생산되던 무[기장 바닷가에서 자라는 조선무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무보다 단단하고 물기가 없으며 동치미 무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임], 새갈치[어린 생 갈치를 이르는 기장 지역 방언]와 기장...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수단 (음식) Sudan (food)
    차에 넣고 잣을 띄운 화채이다. 단오에도 먹는다. 꿀물 등에 넣지 않고 먹는 것은 "건단"이라 부른다. 《경도잡지》, 《시의전서》, 《열양세시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등에 수단을 만드는 방법이 소개된다. 《동국세시기》에는 제사에도 사용하는 음식으로 소개되며, 《경도잡지》, 《규합총서》, 《시의전서...
    도서 위키백과
  • 떡수단
    유두 절식이며 단오 차례상에도 오르는 화채로, 흰떡을 꿀물 등에 띄워 낸다. 五色水𩜵)이라 부른다. 《경도잡지》, 《시의전서》, 《열양세시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등에 떡수단을 만드는 방법이 소개되는데, 기록마다 약간씩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흰떡을 잘게 썬 것에 녹말가루를 입혀 다시 삶고...
    도서 위키백과
  • 순댓국
    순댓국은 순대와 돼지 부산물 등을 넣고 끓인 국의 한 종류이다. 1924년의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는 순댓국이 돼지고기 삶은 물에 내장을 넣고 기호에 따라 우거지와 함께 끓인 국으로 되어 있다. 우거지, 콩나물, 소고기 등을 넣은 음식으로 나와 있다. 이들 순댓국에는 이름과 달리 순대가 들어가지 않았다...
    도서 위키백과
  • 한복려 Han Bok-ryeo
    한복려.최난화의 한식코스요리〉 중앙M&B. 2000 〈한복려의 국.찌개.전골〉중앙M&B. 2000 〈한복려의 우리음식 287가지〉중앙M&B. 2001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2001 〈황혜성, 한복려, 정길자의 대를 이은 조선왕조 궁중음식〉 궁중음식연구원. 2003 〈집에서 만드는 궁중음식...
    도서 위키백과
  • 한복진
    세계 3권 식생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궁중음식”, “향토음식”,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0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2001 <우리생활 100년․음식>,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 현암사.2001 <조선왕조궁중음식>, 화산문화.2002 <국역...
    도서 위키백과
  • 남대문중학교
    조광운 박사가 조국의 중흥은 공업 진흥에 있음을 확신하고 전자 공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인 양성을 위해 조선무선강습소 설립 1940년 5월 3일 : 조선무선공과학원으로 교명 개칭 1948년 1월 27일 : 재단 법인 조선무선중학교 인가, 조광운 선생 초대 교장 겸 이사장 취임 1952년 8월 25일 : 학제 변경으로...
    도서 위키백과
  • 명란젓 辛子明太子
    어란과 달리 명란젓은 겨울철이 아니면 실온 유통이 어려워 20세기 초반까지 겨울철에만 함경도에서 한반도 남부로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 1924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도 정월(1월)이 지나면 먹기를 덜 하는 음식으로, 1934년 《일일활용조선요리제법》에서도 명란젓을 겨울에 먹는 음식으로 소개했다. 남북...
    도서 위키백과
  • 게걸무 Gegeol radish
    위로 뻗지 않고 옆으로 퍼진다. 매운맛도 더 강하다. 2014년에 이천 게걸무가 슬로 푸드 선정 맛의 방주에 등재되었다. 경기도 여주와 이천등지에서만 나오는 토종무로 게걸스럽게 먹을만큼 맛있다고 하여 게걸무라고 불리었다. 보르도무 비트 래디시 사탕무 순무 열무 왜무 조선무 청피홍심무 초롱무 총각무 콜라비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너비아니 Neobiani
    연구'라는 학술지에서는 너비아니와 '너비하니'를 서울 방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너비아니에 대한 기록은 "시의전서(是議全書)"가 최초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도 너비아니 또는 쟁인고기로 소개되고 있다. 시의전서가 동남 방언으로 표기한 문장이 눈에 띄게 많은 것으로 보아 시의전서가 편찬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출처1건

멀티미디어5건

조선무
조선무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