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질지왕 Jilji of Geumgwan Gaya, 銍知王
    위해 수로왕과 허왕옥이 처음 만난 자리에 왕후사(王后寺)란 절을 짓고 밭 10결을 바쳤다. 왕후사는 김해시 보배산에 있었던 절로 임강사 또는 태장사라고도 했는데 터만 남아 있다. 463년 왜구가 황산하(黃山河)를 건너 침략해오자 병사를 보내 방어했다. 481년 고구려와 말갈이 신라를 공격하여 미질부성(彌秩夫城...
    도서 위키백과
  • 로맨틱 헤븐 Romantic Heaven
    4 역 이태규 : 천국사람 5 역 한인규 : 천국사람 6 역 최영주 : 아나운서 역 장은아 : 환자 1 역 채건 : 꼬마 역 김종갑 : 회장 역 이주현 : 수로 비서 역 하미숙 : 맨홀 사내 부인 역 서지원 : 정하연 여동생 역 이경재 : 김종갑 회장 역 김윤섭 : 맨홀 사내아이 1 역 정다영 : 맨홀 사내아이 2 역 이재순 : 화장터...
    도서 위키백과
  • 석우로 昔于老, 昔于老
    각간 수로(水老)의 아들이라 한다. 230년 내해 이사금이 죽고, 석우로의 삼촌 혹은 친족인 조분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 이듬해 이찬, 대장군이 되어 현재 김천시 개령군에 해당하는 감문국(甘文國)을 병합하였다. 233년 7월에는 왜인이 쳐들어오자, 사도(沙道)로 나아가 화공으로 이를 물리쳤다. 242년 정월에는 서...
    도서 위키백과
  • 거질미왕 Geojilmi of Geumgwan Gaya, 居叱弥王
    거질미왕이다. 시호는 덕왕(德王)이다. 왕비는 아지부인(阿志夫人)이며 아간(阿干) 아궁(我躬)의 손녀이다. 아궁(我躬)의 본명은 아도(我刀)이며 수로왕이 탄강할 때 맞이한 구간(九干) 중 한명이다. 즉위 6년 297년(신라 유례왕 14) 이서고국(伊西古國)이 금성에 쳐들어 왔을 때 신라가 패하자 거질미왕이 구원병을...
    도서 위키백과
  • 경주 김씨 慶州 金氏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경주 김씨 외에도 동래에 입향한 김씨는 금산 김씨, 부안 김씨, 의성 김씨 등이 있다. [연원] 경주 김씨(慶州金氏)는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를 총망라한 신라 김씨의 대종으로 그 파계가 복잡하여 전모를...
    분야 :
    성씨·인물
    지역 :
    부산광역시
  • 김무력 Kim Mu-ryeok
    시조인 수로왕은 나에게는 15대 조가 된다 그 나라는 이미 없어졌지만 그 묘가 아직 남아 있으니 종묘에 합사하여 제사를 계속하도록 하라.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 실린 문무왕의 특별 교서, 가락국 태조 태조 김수로왕을 신라 왕실의 종묘에 합사하도록 하라는 명령에 의하면 구형왕 - 세종 - 솔우공(무력) - 김서현...
    도서 위키백과
  • 김해 허씨 Gimhae Heo clan, 金海許氏
    가락국 수로왕비인 허황옥(許黃玉)의 35세손으로 전하며, 둘째 왕자인 거칠군(居漆君)의 후손이다. 그는 고려 중엽 삼중대광(三重大匡)이며,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의 아들 허군언(許君彦)은 병부시랑(兵部侍郞)이고, 손자 허자(許資)는 병부상서(兵部尙書)이며, 허자가 세 아들을 두었으니 장자는...
    도서 위키백과
  • 이학규 李學逵
    이다. 부인의 할아버지는 정약용(丁若鏞)의 10촌으로, 진천 현감을 지냈다. [활동 사항] 이학규(李學逵)[1770~1835]는 외가에서 유복자로 태어나 외할아버지 이용휴에게 글을 배웠다. 약관의 나이에 글재주로 이름을 떨쳐 정조(正祖)의 부름을 받아 『규장전운(奎章全韻)』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왕명에 의하여 원자궁...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96각간의 난
    일어난 신라 귀족들의 난이다. 각간은 신라의 17관등 중 최고직인 이벌찬(伊伐飡)으로, 96각간은 96명의 각간들이 아닌 난에 참여하거나 진압한 이들을 합한 수로 추정된다. 혜공왕이 8살에 왕이 되자 만월부인이 대신 정사에 참여했으며, 이때 불만을 품은 일길찬 대공(大恭)과 그의 동생 대렴(大廉) 등의 여러 귀족들...
    도서 위키백과
  • 민치구 閔致久
    부유수로 재직 중 숭정대부(崇政大夫)로 특별 승진했으며, 1866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 때는 가례 정사(嘉禮正使) 이경재(李景在)와 함께 가례를 주관하는 가례부사(嘉禮副使)에 임명되었다. 1866년 2월에는 익종의 옥책문 제작에 금보 전문 서사관으로 참여하고, 그해 3월 숭록대부로 가자되었다. 다시 그해 보국...
    도서 위키백과
  • 광성군
    공의 부인상을 당하여 장례 관계로 안산에 있어서 어가를 호종하지 못하였다. 인조가 남한산성에 청나라 군대에게 포위되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복형 영가군 이효길(永嘉君 李孝吉)과 논의하여 말하기를 "주상이 남한산성에 포위되어 계시니 우리들은 종실(宗室)의 신하로서 국난에 마땅히 함께 죽어야지 구차히 초야...
    도서 위키백과
  • 대저2동 본맥도 당산제 大渚二洞 本麥島 堂山祭
    오른쪽에 수로, 뒤쪽에 세죽이 있다. [절차] 예전에는 마을의 최고령자를 제주로 삼았으나, 현재는 인근의 약소암 스님이 제를 맡아 하고 있다. 제물 종류와 진설 및 제의 절차는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같다. 제의 전 과정은 과거에는 당산 할배제·당산 할매제로 지낸 다음 용왕제를 지냈으나, 2005년 무렵에는 분리...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삼국유사(권2) / 헌화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