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닭의장풀 벽죽초(碧竹草), 닭의欌풀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신진 대사와 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염, 감기, 결막염, 곽란(건곽란), 당뇨병, 당뇨지갈, 적면, 볼거리, 붕루, 소갈증, 소변불통, 수종, 신경쇠약, 심장병, 악창, 옹종, 요혈, 이뇨, 인후염·인후통, 종독, 중독, 창종, 천식, 토혈, 협심증, 황달
    학명 :
    Commelina commun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 길가, 냇가의 습지
    번식 :
    분근·씨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번루(蘩蔞)
    키 :
    12~50cm
    과 :
    닭의장풀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개화기 전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고 약간 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6~12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제비꽃 오랑캐꽃
    나력(나력루), 노후종, 농종독, 대상포진, 두풍, 목적동통, 방광염, 번조, 변비, 보간·청간, 부인병, 부종, 불면증, 사하, 상기, 선창,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수종, 습진, 안구통증, 안질(짓무른 눈, 피로한 눈), 옹저, 옹종, 완선, 월경불순, 음창, 음축, 임파선염, 잔뇨, 종독, 좌섬, 중독, 중풍, 지방간, 창종...
    학명 :
    Viola mandshuric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야산이나 들의 양지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지정(地丁)
    키 :
    10∼20cm
    과 :
    제비꽃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5∼7월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8∼15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흰제비꽃·금강제비꽃·삼색제비꽃·고깔제비꽃
  • 차풀 며느리감나무, 茶풀
    볶아서 차의 대용품으로 쓴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산편두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부종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건비위, 건위, 명목, 변비, 보간·청간, 소변불통, 소화불량, 수종, 신장병, 안질, 이뇨, 황달
    학명 :
    Cassia mimososides var. nomame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의 습한 곳, 냇가 근처의 양지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산편두(山扁豆)
    키 :
    30~60cm
    과 :
    콩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8~9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5~1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눈차풀
  • 등대풀 유초(乳草), 燈臺풀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효능 주로 이뇨기계를 다스리며, 대장경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건선, 골반염, 다뇨증, 담, 당뇨, 복중괴, 부종, 산결, 소변불통, 소종양, 수종, 음종(여성외음부부종),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뇨, 임질, 임파선염, 자한, 중독, 치통, 통경, 풍독, 풍습, 풍열, 해수, 행혈
    학명 :
    Euphorbia helioscopia
    분포지역 :
    경기도 이남
    자생지역 :
    논둑이나 밭둑, 들, 바닷가 모래땅
    번식 :
    분주·씨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택칠(澤漆)
    키 :
    25~35c
    과 :
    대극과
    생활사 :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
    5월(개화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4~6g
    주의사항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 댑싸리
    사용한다. 효능 주로 비뇨기·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개창, 난관염·난소염, 대하증, 방광결석, 방광염, 변비, 보신·보익, 복수, 부종, 산증, 소변불통, 수종, 습비, 습열, 식체(과일), 신장병, 심열, 악창, 유방염, 음낭습, 음위, 이뇨, 적백리, 전립선비대증, 종독, 중독(과일중독, 수은중독), 창종, 흉통
    학명 :
    Kochia scopari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인가 부근 식재
    번식 :
    약효 부위 :
    잎·씨
    생약명 :
    지부자(地膚子)
    키 :
    1~1.5m
    과 :
    명아줏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9~10월(잎), 11월(씨)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쓰거나(잎), 증기에 찐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씨).
    특징 :
    차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잎 5~10g, 씨 4~8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해바라기 향일규경수(向日葵莖髓)
    쓴다. 효능 주로 비뇨기과·순환계·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장보호, 고혈압, 골다공증, 구충, 금창, 대하증, 동통, 두통, 류머티즘, 방광결석, 복통, 빈혈증, 소변불통, 식체(개고기, 닭고기), 신장결석, 요도염, 월경불순, 유산·조산, 이뇨, 진통, 출혈, 치통, 햇볕에 탄 데, 해수, 해열 소아질환: 백일해
    학명 :
    Helianthus annuu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밭, 인가 부근의 양지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씨·꽃
    생약명 :
    향일규(向日葵)
    키 :
    2m 정도
    과 :
    국화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씨는 익어서 단단히 말랐을 때)
    취급요령 :
    날것(씨) 또는 말려서(뿌리· 씨·꽃) 쓴다.
    특징 :
    따뜻하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꽃 7∼8g, 씨 20∼30g, 뿌리 8∼12g
    주의사항 :
    뿌리와 꽃은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애기수영 sheep sorrel
    있고 과실은 quercetin과 hyper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尿(이뇨), 凉熱(양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熱痢(열리), 淋病(임병), 소변불통, 尿閉(뇨폐), 토혈, 惡瘡(악창), 疥癬(개선)을 다스린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소리쟁이속
    꽃색 :
    붉은색, 녹색
    학명 :
    Rumex acetosella L.
    개화기 :
    6월, 5월
  • 하눌타리 괄루자(栝蔞子)
    기울증, 농혈리, 늑막염, 당뇨병, 방광습열, 배농, 변비, 변혈증, 보폐·청폐, 복통, 부인병, 부종, 비열, 사지동통, 산욕열, 산후변혈, 서증, 소갈증, 소변불통, 소염제, 소화불량, 습담, 습진, 암(식도암, 자궁암), 야뇨증, 어혈, 열광, 오장보익, 오풍, 요도염, 월경불순, 유방염, 유종, 유즙분비부전, 이뇨, 자양...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기슭, 들, 밭둑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과육
    생약명 :
    괄루근(栝蔞根)
    키 :
    길이 3∼5m
    과 :
    박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10∼11월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달고 쓰고 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 6∼10g, 생과육 18g, 건과육 12∼15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꾸지나무 Paper Mulberry, <일>カジノキ
    ⑷楮莖(저경) - 약효 : 風疹(풍진), 目赤腫痛(목적종통), 小便不利(소변불리)를 치료한다. 짓찧어서 濃汁(농즙)을 내어 半升(반승)을 복용하면 小便不通(소변불통)을 치료한다. ⑸楮葉(저엽) - ①성분 : Flavonoid 配糖體(배당체), phenol 類(류), 유기산, 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凉血(양혈), 利水(이수...
    분류 :
    쐐기풀목 > 뽕나무과 > 닥나무속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
    개화기 :
    5월, 6월
  • 꿩의밥
    특징 및 사용 방법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덩이 모양의 뿌리줄기에서 뭉쳐나와 곧게 선다. 사방용·목초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심장과 간장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소변불통, 심번, 적백리, 황달 소아질환: 야제증
    학명 :
    Luzula capitat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평지의 풀밭, 산기슭
    번식 :
    실생·분주
    약효 부위 :
    씨·온포기
    생약명 :
    지양매(地楊梅)
    키 :
    10~30cm
    과 :
    골풀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5~6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고 담백하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8~1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삼백초 전삼백(田三白), 三白草
    관련질병: 각기, 간염, 감기, 갱년기장애, 건위, 견비통, 고혈압, 골수염, 냉병, 담석증, 동맥경화, 마비, 방광염, 변비, 복수, 비만증, 비염, 비창, 빈혈증, 소변불통, 수종, 습진, 암(암 예방/항암/악성종양 예방), 옹종, 완하, 외상소독, 요통, 유방염, 종독, 중독, 중이염, 중풍, 지방간, 충치, 치루, 치은염...
    학명 :
    Saururus chinensis
    분포지역 :
    제주도, 중부 이남
    자생지역 :
    습지
    번식 :
    분주·땅속줄기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삼백초(三白草)
    키 :
    50~100cm
    과 :
    삼백초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여름~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6~9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익모초 고저초(苦低草), 益母草
    보중익기, 보혈, 복냉, 복통, 부인병, 부종, 불임증, 붕루, 산증, 산후발열, 산후복통, 산후부종, 산후증, 산후풍, 삼눈, 색맹, 서리, 서증,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소화불량, 시력감퇴, 식욕부진, 식체(메밀 음식, 수수 음식), 신장병, 안질, 암(자궁암), 액취증, 야맹증, 양궐, 완선, 외이도염, 요혈, 위무력증...
    학명 :
    Leonurus sibiricu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 빈터, 밭둑, 길가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씨
    생약명 :
    익모초(益母草)
    키 :
    50∼150cm
    과 :
    꿀풀과
    생활사 :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
    6∼10월
    취급요령 :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
    약간 차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7∼8g, 씨 3∼5g
    주의사항 :
    적당량은 이로우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