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는 문화 거점지로 대학로가 거듭날 수 있도록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대극장, 소극장, 전시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다. 뮤지컬 전용 극장으로 702석 규모의 대극장과 150석 규모의 블랙박스형 소극장, 자연채광의 대형 전시실 4개관을 갖추고 있다. 건물 1층에는 카페와 상점이 입점...
- 위치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부두연극단 埠頭演劇團중심으로 하여 연출가 이성규의 독창적인 해석과 관점, 실험적인 스타일로 연극 공연을 하고자 출범하였다. [변천] 1984년 10월에 중구 중앙동에서 부두 소극장을 개관하여 부두극장이라는 명칭으로 연극 공연 활동을 해 오다가, 1986년 7월에 중구 광복동의 가마골 소극장에 합류하여 이윤택과 공동 작업을 하면서 부두...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수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경학생예술좌 東京學生藝術座이 극단은 1935년 6월 창립 1년 만에 ‘조선의 신극수립을 창작극에서’라는 표어 아래 유치진(柳致眞) 작「소」와 주영섭 작「나루」를 스키지[築地]소극장(小劇場)에서 공연하였다. 1937년 6월에는 유치진 작품인「춘향전(春香傳)」으로 제 2회 공연을 하였다. 작품「춘향전」은 유치진이 특유의 극작술로 고전극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설립 :
- 1934년 6월 24일
- 성격 :
- 학생연극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0년 9월
- 설립자 :
- 주영섭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공주 민속극박물관 公州 民俗劇博物館송림 사이에 9,398㎡의 규모로 이루어진 돌모루 체험마을과 함께 있으며, 전시시설인 민속극자료관과 농기구자료관, 천연염색체험장, 염색작물체험장, 소극장, 놀이마당 등의 체험시설, 기념품매장, 전원카페 등의 편의시설, 그리고 연구실인 우리공예연구소로 이루어져 있다. 민속극 자료관에는 인형극으로 1964년 중요...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이광래 온재(溫齋), 李光來민족극의 기반을 다지는 데 한 몫을 하였다.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초대연극학과장을 맡아 연기자들을 길러냈고, 1957년 예술원회원이 되었다. 1958년 소극장 원각사(圓覺社)를 중심으로 극단 원방각(圓方角)을 창설하여 소극장운동을 잠시 펼치기도 하였다. 그의 작품세계는 그가 겪었던 식민지시대로부터 광복·동족...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8년
- 사망 :
- 1968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작가, 극작가, 연출가, 연극이론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권오일 權五鎰그의 연극 활동은 크게 극단, 연극협회, 연출 세 분야로 이루어진다. 1969년 극단 성좌를 창단하여 극단 운영과 연출을 거의 도맡았다. 1989년에는 동숭소극장(종로구 동숭동 1-54 백암빌딩 지하, 150석)을 개관하였는데, 이때 성좌 대표는 배우 전운이었다. 권오일은 한국연극협회 이사장 직을 마치고 성좌 대표로 복귀...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32년 3월 3일
- 사망 :
- 2008년 9월 8일
- 경력 :
- 서울시립대 교수, 한국연극협회 이사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연출가, 연극연출가
- 대표작 :
- 『교육원리』(교육출판사, 1990)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발레블랑 ─, Balletblanc변천 1980년 창단 이후 정기공연·대한민국 무용제·공간발레의 밤·해외연수 등에 참여하며 발레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매년 대극장 정기공연과 소극장 공연을 통해 창의적이고 선구적인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진 안무가들을 배출하고 있다. 1980년 9월 창단 이후, 각종 무용제에 참가하여...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535-3 선흥 BD B2F
- 설립 :
- 1980년 9월
- 성격 :
- 발레단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홍정희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