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향의 대나무를 그리워하는 척화신 김상헌오른다. 전쟁(임진왜란)이 끝난 지 23년, 태어나는 아이들 나날이 늘어나고 집들도 이처럼 많은데 …… 나라 힘은 더욱 약해지고 백성들은 더욱 사나워지며 변방이 소란해져 …… 경복궁 빈 정원에 있던 성은 무너지고 용과 봉을 새긴 전각들은 모두 무성한 잡초로 묻혔다. 경회루 앞 연못에 있는 연꽃만이 바람에...
- 관련 장소 :
- 인왕산
-
이필제의 반정부 봉기정벌하고자 하면 먼저 우리나라를 움직인 연후에 그 병사를 얻을 수 있다’며 북벌을 제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조선정부를 공격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고립적이었던 민중봉기를 조직화한 최초의 거사였다. 이필제의 반정부 투쟁은 동학농민전쟁으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농민항쟁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시대 :
- 19세기 중반
-
김상헌 숙도(叔度), 金尙憲1596년 전쟁 중에 실시한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에 임명되었다. 이후 부수찬(副修撰)·좌랑·부교리(副校理)를 거쳐 1601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길운절(吉雲節)의 역옥(逆獄)을 다스리기 위한 안무어사(安撫御史)로 파견되었다. 이듬해 왕에게 결과를 보고하고, 고산찰방(高山察訪...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0년(선조 3)
- 사망 :
- 1652년(효종 3)
- 경력 :
- 이조참의, 도승지, 부제학, 대사헌, 예조판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인조반정, 병자호란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동(安東)
-
김경여전 가장략(家狀略), 金慶餘傳정책을 상소하고 이에 응한 다음, 김자점(金自點) 등의 죄상을 통박·상소하다가 그 세력에 몰려 물러난다. 다시 동부승지로 나가 어사 활용 방안, 강병책, 북벌책 등을 임금에게 아뢰고 충청감사로 부임한다. 규계(規戒) 7조를 임금에게 아뢰면서, 이상 정치를 베풀며 북벌 준비에 전념할 것을 간하고, 처녀를 뽑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이자해 李慈海북경으로 이주하여 8월 경에 해전(海甸)에서 안창호(安昌浩) 등과 농장을 경영하며 아신의원(亞新醫院)을 열고 진료하였다. 1926년 경에는 남경 국민정부의 북벌군 풍옥상(馮玉祥) 부대에 참여하여 산서성 대동(大同)・태원(太原) 등지에 병원을 설립하였다. 1937년 7월에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내몽골로 이동하여 하투...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94년 10월 22일
- 사망 :
- 1967년 12월 20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대표작 :
- 이자해자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