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복수 高福壽내용 경상남도 울산 출생. 호적상으로는 1912년생이나 실제 생년은 1911년이다. 그의 아내 황금심(黃琴心)도 광복 전후 최고의 인기여가수 중의 하나였다. 1933∼1934년 콜럼비아레코드사 주최 조선일보사 후원의 전국남녀가수신인선발대회에서 2등으로 입상, 가요계에 등장하였다. 1934년 손목인(孫牧人) 작곡의 「타향...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1년, 호적 기재일은 1912년 11월 29일
- 사망 :
- 1972년 2월 10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가수
- 대표작 :
- 타향살이, 짝사랑, 사막의 한, 휘파람, 풍년송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이인권 임영일(林榮一), 李寅權협조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톈진에서 1년 동안 옥중생활을 하고 1946년 귀국하였다. 가수생활 중에 기타 연주를 익혔고 독학으로 음악이론을 공부하였다. 1947년부터 무대공연물의 음악을 담당하여 작곡·편곡에 남다른 솜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949년 김해송(金海松) 작곡의 「선죽교」, 이재호(李在鎬) 작곡의...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9년 11월 5일
- 사망 :
- 1973년 9월 29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가수, 작곡가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네잎클로버내용 여류작곡가인 김순애가 1938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재학시절에 만든 처녀작이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저녁놀 빛나는 하늘 젊음의 하늘은 부드런 미소 흐르는 희망의 젊은 날. 푸르른 숲에 누워서 헤치는 나의 두 손길 행복의 네잎클로버 반기며 맞아준다. 가사에는 소녀 취향적인 낭만과 순정이 담겨 있으면 곡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순애
- 창작/발표시기 :
- 1938년
- 성격 :
- 가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만고강산 萬古江山내용 조선조 말기에 생긴 것으로 보이는 곡으로 민족항일기에 가장 많이 불린 곡 중 하나이다. ‘만고강산’이라는 곡명은 첫머리의 “만고강산 유람할제”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노랫말의 처음은 다음과 같다. 만고강산 유람할제 삼신산(三神山)이 어디메뇨. 일봉래(一蓬萊) 이방장(二方丈)과 삼영주(三瀛州)이...
- 시대 :
- 조선
- 성격 :
- 단가(短歌)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근·현대의 중국음악전통적인 희곡 유산을 계승·발전시키고 현대적인 주제를 연출한 신가극의 창작공연활동이 활발해졌다. 이러한 활동은 루쉰[魯迅] 예술학원 등에서 양악과 민족음악 교육을 받고 민중 속으로 들어가 공연하면서 창작해나간 문학예술사업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들은 민중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서로 의견을 교환하면서...
-
부채춤나라 민족무용 가운데도 많은 종류가 있으나, 그 모든 춤들이 한결같이 부채를 지품(持品)이나 장식물로 취급하고 있는 데 비하여, 이 부채춤의 경우는 그 이름이 가리키는 바 그대로 부채를 펴고 접고 돌리고 뿌리는 기교 자체가 춤사위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한편, 모든 신체운동을 유도해내는 이른바 기동인(起動因...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백봉
- 창작/발표시기 :
- 1954년 11월 26일∼28일
- 성격 :
- 창작무용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고향의봄 故鄕─내용 가사는 이원수의 초기 동요작품으로 월간 아동문학지 『어린이』에 수록되었던 것이다. 이것을 보고 홍난파가 작곡하여 그의 작곡집 『조선동요100곡집』에 수록하였다. 가사는 모두 2절로 되어 있는데, 1절은 다음과 같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대궐 차리인 동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원수(작사), 홍난파(작곡)
- 성격 :
- 동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이화자 李花子내용 인천 출생. 가요작곡가 김용환(金龍煥)에게 발굴되어 1936년 뉴코리아레코드사에서 신민요풍의 노래 「섬시악시」와 「새봄맞이」 두 곡을 녹음하였다. 당시 인기 절정이던 민요가수 왕수복(王壽福)·선우일선(鮮于一扇)을 능가하는 민요가수로 주목을 끌었다. 계속해서 「왜그렁타령」·「남원의 봄빛...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8(?)년
- 사망 :
- 1950(?)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가수, 민요가수
- 성별 :
- 여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과수원길 果樹園─내용 1972년 한국동요동인회를 통하여 발표되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동구밖 과수원길 아카시아꽃이 활짝 폈네 하아얀 꽃 이파리 눈송이처럼 날리네 향긋한 꽃냄새가 실바람 타고 솔 솔 둘이서 말이 없네 얼굴 마주보며 쌩긋 아카시아꽃 하얗게 핀 먼 옛날의 과수원길. 8분의 6박자 바장조의 서정동요(抒情童謠)인데...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박화목(작사), 김공선(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72년
- 성격 :
- 동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고향땅 故鄕─내용 1956년 국정음악 교과서를 통하여 발표되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고향땅이 여기서 얼마나 되나 푸른하늘 끝닿은 저기가 거긴가 아카시아 흰꽃이 바람에 날리니 고향에도 지금쯤 뻐꾹새 울겠네. 4분의 4박자 다장조의 서정동요(抒情童謠)인데, 노랫말과 가락에서 정감을 주며 망향(望鄕)의 노래로서 남녀노소가...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윤석중(작사), 한용희(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56년
- 성격 :
- 동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이별의노래 離別─내용 1952년 피난지인 대구에서 작곡하였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 불어 가을은 깊었네 아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김성태의 「산유화」등은 예술가곡의 범주에 속하나 「이별의 노래」·「동심초」·「꿈」 등은 서정가곡에 속하는 작품으로, 가곡이라는 이름으로 1950년대...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목월, 김성태
- 창작/발표시기 :
- 1952년
- 성격 :
- 가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