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흥부골남원추어탕
    흥부골 남원 추어탕은 자체적으로 양식한 100% 국내산 미꾸라지를 사용하고 있다. 주메뉴인 추어탕을 비롯해 보양식으로도 훌륭한 산양 산삼 추어탕, 바삭바삭한 미꾸리 깻잎튀김이 있고 미꾸라지를 갈아서 당면과 같이 만든 추어군만두는 어린이들에게도 인기 만점이다. 인근에 광한루, 흥부 마을 등의 관광지가 있다.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면 천왕봉로 62-8
  • 바보여뀌 유모료, Nonspicy smartweed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 며느리배꼽 :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 미꾸리낚시 :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 쪽 :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꽃색 :
    백색, 주황색
    학명 :
    Persicaria pubescens (Blume) H. Hara
    꽃말 :
    학업의 마침
    개화기 :
    8월
  • 새이삭여뀌 New spike smartweed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 며느리배꼽 :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 미꾸리낚시 :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 쪽 :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Persicaria neofiliformis (Nakai) Ohki
    개화기 :
    7월, 8월
  • 물여뀌 Water smartweed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 며느리배꼽 :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 미꾸리낚시 :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 쪽 :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꽃색 :
    분홍색
    학명 :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개화기 :
    9월, 8월
  •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 며느리배꼽 :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 미꾸리낚시 :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특징 거의 털이 없고 짙은 남색의 잎은 염색용으로 이용...
    분류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Persicaria tinctoria (Aiton) H.Gross
    개화기 :
    10월, 5월, 6월, 7월, 8월, 9월
  • 부산집
    프로그램에 소개된 추어탕 전문점으로 남원 추어탕 거리에 있다. 추어탕으로 유명한 남원에서도 맛집으로 소문날 정도여서 문전성시를 이룬다. 건물 뒤편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메뉴는 추어탕과 미꾸리 튀김 두 가지가 전부다. 시래기가 넉넉하게 들어간 추어탕은 국물이 깔끔하며 푸짐하다.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요천로 1411 부산집
  • 곤드레말
    곤드레말은 세종시 장군면에 있다. 대표 메뉴는 곤드레를 넣은 곤드레추어탕이다. 이 밖에 통추어탕, 우렁추어탕, 전복추어탕, 돈가스, 미꾸리튀김, 새우튀김, 모둠튀김 등도 판매한다. 서세종 IC와 가까운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가게 내부나 주차 공간 모두 넓어서 각종 모임 장소로도 적합하다. 주변에 세종...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월현윗길 47
  • 종개과 Hillstream loach, タニノボリ科
    분류 종개과(Nemacheilidae)는 잉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물고기과의 하나이다. 유라시아의 시냇가 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며, 한국에는 종개, 대륙종개, 쌀미꾸리 3종이 분포하고, 아프로메마케일루스속(Afronemacheilus)은 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col-1-of-3 Acanthocobitis Afronemacheilus Barbatula Claea...
    도서 위키백과
  • 미꾸리과 loaches
    있다. → 3번 항목으로 2번 항목a. 몸은 원통형으로, 꼬리지느러미 기부 상단에 1개의 뚜렷한 흑점이 있고, 입수염의 길이는 눈 지름의 2.5배 이하이다. →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2번 항목b. 몸은 옆으로 약간 납작하고, 꼬리지느러미 기부 상단의 흑점은 불분명하며, 입수염의 길이는 눈 지름의 4배 이상...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잉어목(Cypriniformes)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생선국 Fish soup, 魚湯
    잉어 등으로 만든다. 위츠탕 style="text-align: center;" 중국 상어 지느러미를 끓여 만든 탕이다. 추어탕 style="text-align: center;" 한국 미꾸리나 미꾸라지, 쌀미꾸리 등을 넣어 끓인 탕이다. 헐라슬레 style="text-align: center;" 헝가리 파프리카가루를 넣어 끓인 매운 생선 수프이다. 황태해장국 style="text...
    도서 위키백과
  • 좀수수치속 Kichulchoia
    생물 분류 좀수수치속은 한반도의 고유 속이다. 이 속에 속한 두 종 모두 처음엔 수수미꾸리속(Niwaella)이었다가 후에 좀수수치속(Kichulchoia)으로 바뀌었다. ' Kichulchoia '라는 속명은 미호종개처럼 최기철 박사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김익수교수가 붙였다. 수수미꾸리 좀수수치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지방도 제512호선
    간 도로(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호정리 ~ 관정리) 2.3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호정리 총 0.51km 구간 폐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미꾸리삼거리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 - 태성리 - 태성사거리 - 궁현리 - 연정리 강서동 현암동 - 구암삼거리 - 신전동 - 석곡사거리 가경동 충북예술고등학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미꾸리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