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충 해동공자(海東孔子), 崔沖侍郎平章事)에 올랐다. 1043년(정종 9)에는 수사도(守司徒)·수국사(修國史)·상주국(上柱國)을 더하였다가 곧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옮겼다. 문종(文宗)이 즉위하자 문하시중에 올라 율령서산(律令書算)을 정하고 곧 수태보(守太保)를 더하였다. 1050년(문종 4)에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수태부...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인진사 引進使2인이다. 합문은 1275년(충렬왕 1) 10월통례문(通禮門)으로 고친 뒤 합문·중문(中門)·통례문 등으로 개변(改變)을 되풀이하였는데, 1356년(공민왕 5) 문종구제(文宗舊制)인 합문으로 고칠 때에는 인진사가 정4품으로 승격하기도 하였다. 인진사에 대하여 특히 주목을 끄는 것은『고려사』형법지(刑法志) 덕종 2년의 피...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선휘사 宣徽使설치되어 주로 교사(郊祀)·조회(朝會)·연향(宴饗)·공장(供帳) 등의 의식을 관장하였던 것으로 보아 고려에서도 이와 유사하였으리라 본다. 문종 관제나 1076년(문종 30)에 갱정된 전시과의 지급규정에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그런데 문종관제에서는 고려 초기의 남반관직 가운데 인진사(引進...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전기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개성 대운사 開城 大雲寺내용 대운사(大雲寺)의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전기인 1048년(문종 2) 3월 어사대(御史臺)에서는 문종에게 “일체의 토목 공사는 3년 동안 정지하라고 하셔서, 온 나라가 기뻐하며 모두 덕음(德音)에 감격하였는데 끝내 시행되지 않았습니다. 신의는 나라의 큰 보배로서 버릴 수...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덕적산 흥왕사 德積山 興王寺내용 고려시대의 대표적 사찰이며, 고려 문종의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 사치스럽고 장엄하다 하여 신하들의 반대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10년이 넘는 역사(役事)를 진행시켜 1067년(문종 21) 정월에 낙성하였다. 총 2,800칸의 규모로 지어진 이 절에는 수많은 승려들이 모여 들었지만, 계행(戒行)이 청정한 자만을 가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문정 정헌(貞獻), 文正가계 및 인적사항 문정(文正)의 본관은 장연(長淵)이다. 주요 활동 문종(文宗) 초 과거에 급제하여 병부시랑(兵部侍郎)·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역임하고 형부상서(刑部尙書)·참지정사(叅知政事)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승진하였다. 1078년(문종 32) 3월 참지정사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진사시...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봉거서 奉車署내용 목종(穆宗) 때의 상승국(尙乘局)이 문종(文宗) 때 정비되어 1310년(충선왕 2)에 봉거서(奉車署)로 바뀌었다. 그러나 1356년(공민왕 5)에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실시하면서 단행된 관제개혁(官制改革) 때에 문종의 구제(舊制)로 환원되었다가 1362년에 다시 봉거서로, 1369년에 문종구제로, 1372년에 다시 봉거서로...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10년(충선왕 2)
- 폐지일 :
- 1391년(공양왕 3)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정이품 正二品관련하여 이미 도입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문산계라는 정의에는 맞지 않게 고려 후기까지 산계는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였다. 문산계와 무산계는 성종과 문종(文宗) 대에 크게 정비되어 있다. 995년(성종 14)과 1076년(문종 30)의 문산계에서 정2품은 특진(特進)이고, 문종 대의 무산계 정2품은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1004년(목종 7)에 왕륜사(王輪寺)의 대선장(大選場)에서 급제하고 대덕(大德)의 법계를 받았다. 이후 대사(大師), 삼중대사(三重大師)를 거쳐 73세인 1056년(문종 9) 왕사(王師)에 추대되었다. 1058년(문종 12)에는 봉은사(奉恩寺)에서 국사(國師)에 올라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1067년(문종 21) 법천사로 돌아왔고...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부여공 왕수(王燧), 扶餘公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수(王燧)이다. 아버지는 문종(文宗)이고 어머니는 인경현비(仁敬賢妃) 이씨(李氏)이다. 순종(順宗)·선종(宣宗)·숙종(肅宗)의 아우이다. 주요 활동 1080년(문종 34)에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사공(檢校司空) 수상서령(守尙書令) 상주국(上柱國) 부여후(扶餘侯...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