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의 일본 정벌 실패, 베트남 등 정벌 실패에 반감을 품은, 몽골 동부의 부족장 나얀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해 카이두는 만주와 동몽골을 영지로 하는 카사르의 후손 식투르, 카치운의 손자 카다안, 테무게 옷치긴의 후손인 나얀과 동맹을 맺고 다시 쿠빌라이와의 전쟁에 나섰다. 나얀은 비밀리에 사자를 보내 지원을...
페리 원정과 함께 미국과 가나가와 조약을 체결하면서 쇄국정책을 포기했는데 일본 국내외 금과 은의 환율이 달라 은이 계속 유출되면서 멕시코의 은화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그러다가 1871년 6월 27일(음력 1871년(메이지 4년) 5월 10일)에 태정관포고 제267호가 제정됨에 따라 엔(円)이 일본의 법정 통화가 되었다...
무쿠리코쿠리(むくりこくり)는 원나라의 일본원정에서 유래되어 몽골과 고려를 지칭하는 일본 민속 어휘로, 주로 무서운 것을 가리킬 때 비유해서 쓰인다. 원나라의 일본원정 당시 규슈를 침공한 몽골군과 고려군에 대한 공포에서 유래되어, 무서운 것을 가리키는 민속 어휘로 전래되었다.뉴스 인용뉴스 인용 이로부터...
도류는 훗날 교토 겐린지(建仁寺) ・ 슈후쿠지(寿福寺), 가마쿠라의 센코지(禅興寺) 등의 주지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분에이(文永) 11년(1274년) 몽골(원)의 제1차 일본원정(분에이의 역)이 벌어지고, 이를 전후해 원의 첩자로 의심받게 되어 참언으로 고슈(甲州)나 오슈(奥州)의 마쓰시마(松島), 이즈국(伊豆国)으로...
한 것, 「아스나로 이야기」처럼 자전적 색채가 강한 것 등의 서역을 소재로 다룬 것이 많다. 한국사에 대해서는 몽골의 압제에 놓인 고려의 두 차례에 걸친 일본원정을 배경으로 한 「풍도」(風濤)가 유명하며, 집필 당시인 1963년 4월 취재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여 강화도, 마산, 울산, 부산, 경주, 합천, 판문점...
달아서 적선과 충돌해 부술 수 있도록 했다. 13세기 몽골 제국의 공격을 피해 고려가 수도를 강화도(江華島)로 옮기고 수십년에 걸친 항쟁을 지속한 것도 북방...이루어지고 개경으로 환도한 뒤에는 다시 쿠빌라이 칸(원 세조)의 일본원정을 위한 선박 제조와 병력 징발이 모두 고려에 부담되어 상당한 손실을 입기도...
홍무제는 몽골, 일본, 고려, 여진, 티베트의 왕들에게 일종의 '조언' 내지 명령을 여러차례 써 보내어 그들이 명나라의 수도를 방문하여 경의를 표할 것을 종용하였다. 그는 10만 명에 달하는 몽골인들을 쫓아내지 않고 중국 내부에 그대로 남겨두었다. 1398년 홍무제가 죽자, 의문태자 주표의 아들인 황태손 건문제가...
1333년 일본에서 고다이고 천황이 가마쿠라 막부를 폐하고 왕정복고를 선언하다(겐무 신정). 겐무 신정은 불과 몇 년만에 뒤집어지고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진다. 1337년 백년전쟁이 시작되다. 정확한 전쟁 지속기간은 116년이며, 그 특징이 뚜렷이 구분되는 세 개의 전쟁(에드워드 전쟁, 캐롤라인 전쟁, 랭커스터 전쟁...
중국이나 일본에 있어서 예로부터 비상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이는 몽골 제국의 최초기에 있어 미처 국가의 체제도 정해지지 않은 유목민의 연합정권이었던 몽골 제국에 중국의 문인관료를 대표하여 출사하였고 중국 통치의 실무 담당자로써 활동하였다는 그의 이력에 기인한다. 그러나 여기서 더 나아가...
전투가 있고 이듬해 쇼니 가게스케와 그 노토들이 소유하던 영지가 요리쓰나측 무사들에게 멸망한 은상으로 하사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4년 전 제2차 일본원정(고안의 역)에서의 은상 명목으로 25명의 무사들에게도 똑같이 지급이 이루어졌다. 몽골과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무사들에게 은상으로 지급할 땅이 부족한...
칸이 몽골의 각 부족을 통합하고 서쪽을 향해 군사 원정에 나선다는 것으로 칭기즈 칸의 탄생부터 신축년(1241년) 우구데이 칸의 죽음까지의 시간대를 다루고 있다. 《성무친정록》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은, 서방의 훌라구 울루스(일 칸국)에서 편찬되었던 페르시아어 사료인 《집사》「칭기즈칸기」와 내용상 매우 흡사...
일본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가 원나라의 일본원정에 대처하고자 당시의 나가토국(長門国)에 설치했던 최전선 방어기관의 호칭으로 알려져 있다. 나가토 슈고...만이 「나가토 스오 단다이」(長門周防探題)라는 호칭으로 불렸던 것이 확인되고 있다. 1274년(분에이 11년) 10월, 몽골-고려 연합군이 규슈(九州) 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