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릉 남산공원
    강릉 남산공원은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며 녹지와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사계절 아름다운 공원으로서 공원 내 전망공간을 비롯해 남대천 등 시가지 전경을 조망할 수 있으며, 숲속 산책로와 휴게공간, 잔디광장이 조성되어 운동, 여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열린 문화공간이다. 남대천을 걷다가 창포다리를 건너면 남산...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노암동 740-1
  • 태백산맥 太白山脈
    개석이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졌다. 태백산맥의 동쪽 사면을 흘러내리는 하천들은 대개 짧고 경사가 급하다. 고성의 남강, 양양의 남대천·연곡천, 강릉의 남대천, 삼척의 오십천·가곡천, 울진의 왕피천, 포항의 형산강 하류에는 좁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있다. 지질학적 특징 지질은 선캄브리아시대의 편마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고산군 풍고산, 高山郡
    산들이 솟아 험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주요 기반암은 화강암과 현무암이고, 토양의 대부분은 갈색산림토이며, 하천 유역에는 충적토가 있다. 하천은 안변남대천이 용지원천 · 금리원천 등의 지류와 합류하여 군의 중심부를 남북방향으로 흘러 안변군을 지나 동해에 유입하고 있으며, 유역에는 충적평야와 현무암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영동지방 嶺東地方
    傾動地形)을 이루고 있다. 해안은 융기해안(隆起海岸)으로 해안선이 단조롭고, 좁고 긴 해안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고성의 남강, 양양의 남대천, 강릉의 남대천 유역에는 깊은 골짜기가 이루어졌으며, 하류 지역에는 평탄한 소규모 충적지가 형성되어 생활무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강릉을 경계로 남북의 지질...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함경남도의 자연환경
    동서지역을 연결하는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 하천은 장진강과 그 지류인 부전강이 북부내륙 쪽으로 흘러 압록강에 합류하며, 동해 쪽으로는 북대천·남대천(단천)·남대천(북청)·서대천·성천강·금진강·금야강이 흐르고 있으나, 길이가 짧고 하도가 곧으며 유속이 빠르다. 광포를 비롯해 하포·대인호·현금연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강릉 월화거리
    춘향전의 모티브이기도 한 이 ‘남대천 월화정 설화’는 ‘월화거리’로 재탄생되어 천년전 설화가 아닌 오늘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사랑이야기로 다시 채워지고 있다. 사랑의 「성지(聖地)」 로 다시 태어난 월화거리! 월화거리는 지금, 사랑이다. 남대천 월화정 설화’는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이야기로, 신라...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금성로11번길 9
  • 학성군 鶴城郡
    마천령산맥을 분수령으로 동해로 유입되는데, 임명천(臨溟川)이 이 군의 북부를 동남류하며, 그 밖에 갈파천(葛波天)·쌍포천(雙浦川)·한천천(漢泉川)·남대천(南大川) 등이 성진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하천 하류에는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양은 양토·사양토 등으로 이루어져 비옥하다. 해안선은 북부...
    성격 :
    행정구역, 군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877.95㎢
    소재지 :
    함경북도 서남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연어 자전거길
    연어 자전거길은 연어가 회귀하는 남대천을 따라 양양 읍내에서 출발해 하구까지 갔다가 되돌아오는 길로 전국에서 유일하다. 거리는 9km정도이고 대부분 평지여서 초보자와 노약자도 어렵지 않게 완주할 수 있다. 코스를 도는 동안 양양의 상쾌한 공기와 남대천이 흐르는 경치를 마주할 수 있는데다 매년 10월 연어축제...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남문리
  • 해수욕장 해빈(海濱), 海水浴場
    백사장, 끝없이 펼쳐지는 수평선의 조망이 매우 좋다. 동해안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사빈들이 발달하는 곳은 양양에서 강릉 사이이다. 이곳의 모래들은 양양 남대천(南大川) · 연곡천(連谷川) · 사천(沙川), 강릉 남대천 등에서 주로 공급되고 있으며, 이들 하천에서 유출된 모래는 연안류를 따라 남쪽으로 흐르면서...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황해남도의 자연환경
    서부 평풍산에서 발원하여 황해북도와의 경계를 따라 북류하면서 구월산과 지남산 줄기로부터 흘러나온 서강과 합류, 대동강 본류에 유입한다. 서부는 남대천(장연남대천)이 불타산맥의 북쪽 계곡을 동서방향으로 흘러 서해에 유입하며 남부에는 광탄천과 화양천이 경기만에 흘러든다. 남동부는 예성강이 황해북도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신포시 新浦市
    앞면을 가로막아 방파제 구실을 하는 마양도(馬養島)가 있고, 마양도 이외에도 신도, 대구단과 같은 작은 섬들이 분포하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북동부에 남대천(북청)이, 남서부 시계(市界)에는 홍원군을 사이에 두고 관개용수와 음료수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동대천(신포)이 흐르고 있다. 이 밖에 시에는 양화만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면적 :
    43㎢(면적)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명주가 溟州歌
    명주가>와 관련된 전승설화의 내용은 대체로 일치한다. ≪강릉김씨파보≫에 전하는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중엽 강원도명주(지금의 강릉) 남대천(南大川) 남쪽 연화봉 밑에 서출지(書出池)라는 연못이 있고, 그 못가에 박연화(朴蓮花)라는 예쁜 아가씨가 살고 있어 날마다 못가에 나와 고기에게 밥을 던져...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김무월랑
    창작/발표시기 :
    신라 진평왕
    성격 :
    가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남대천 낚시
황해(Yellow Sea)
장연군
삼천군
길주군
참수리 미성숙 개체(2011.1.23. 강원 양양 남대천)
참수리 어린새(2006.1.14. 강원 강릉 남대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