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회 선법 Gregorian mode, 教会旋法
    교회 선법은 그레고리오 성가를 표현하는 데 쓰이는 선법이다. 교회선법은 서양의 중세 및 르네상스시대의 음악을 지배한 음조직이다. 중세의 종교음악은 모두 4가지의 정격선법(政格旋法), 즉 도리아(Doria), 프리지아(Phrygia), 리디아(Lydia), 믹솔리디아(Mixo-lydia)와 4가지의 변격선법(變格旋法), 즉 하이포...
    도서 위키백과
  • 오르가눔 Organum, オルガヌム
    오르가눔(Organum)이란 중세 초기의 다성음악이다. 9-13세기경의 가장 초기의 다성음악으로,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성부를 붙여 동시에 부른다. 9-10세기의 가장 오랜 것은 병행 오르가눔이라 하며,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락(정한가락)과 제2의 성부(오르가눔 성부)가 1음표 대 1음표의 스타일...
    도서 위키백과
  • 음악 音樂, Music
    아니라면 독서는 노래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음악적 · 문화적 유산 현대적 필요에 적응될 수 있는 과거의 음악은 확실히 신뢰할 만하다. 많은 그레고리오 성가들은 매우 단순하다. 오늘의 전례에 참여하는 회중들은 그레고리오 성가를 쉽게 부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민족 공동체들의 음악 재능은 전체 교회를...
  • 모테트 Motet, モテット
    반주를 첨가한 양식으로 독일어 가사를 갖는 종교적 다성합창곡이었다. 중세의 모테트는 13세기 초기의 노트르담 악파에 의하여 제 모습을 갖췄지만, 그레고리오 성가를 정한가락으로 하였고, 각기 다른 가사를 갖는 2성부가 함께 노래되었다. 이것을 2중 모테트라 한다. 상성부의 가사는 처음에는 그레고리오 성가의...
    도서 위키백과
  • 단순 성가집 單純 聖歌集, Simple Gradual
    하기 위해서이다. 「단순성가집」에는 작은 성당의 전례 회중이 「로마 전례 성가집」에 나오는 성가들의 화려한 네움즈들을 정확히 노래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레고리오 성가의 경건하고 뛰어난 예술적 특질을 보존한, 더욱 쉬운 곡들이 수집되어 있다. 그래서 소수의 신도들이 쉽게 노래하면서 전례 의식을 거행할 수...
  • 암브로시우스의 찬가 Ambrosian hymns
    암브로시우스의 찬가(Ambrosian hymns)는 라틴 예배식 초기 찬가들의 모음이다. 초기 기독교 시대, 그레고리오 성가가 로마 교회의 전례음악으로 제도화되기 이전에는 각 지역마다 독자적인 방언적 성가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밀라노 교회에서 쓰고 있던 '암브로시우스의 성가'이다. 밀라노 교회의 주교...
    도서 위키백과
  • 서양 중세 음악 Medieval music, 中世西洋音楽
    어려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네스크 정신을 가장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 즉 그리스도교적 중세를 대표하는 교회당 양식의 이미지와 그레고리오 성가나 초기 다성음악(多聲音樂), 트루베르나 미네젱거 등 통속음악과의 내적인 연결을 그대로 보아넘길 수는 없다. 로마네스크라는 용어는 영어의 '로마적...
    도서 위키백과
  • 레지나 챌리 Regina caeli, レジーナ・チェリ
    우리를 위하여 하느님께(Deum) 기도해 주시기를 간청한다. Regina caeli의 그레고리오 성가그레고리오 성가를 바탕으로 탄생한 몇 가지의 다성음악을 소개한다. 그레고리오 성가 Regina caeli 팔레스트리나의 Regina caeli 빅토리아의 Regina caeli Regina caeli, laetare, alleluia: Quia quem meruisti portare...
    도서 위키백과
  • 성가대 聖歌隊, Choirs [Music]
    처음에 이 단어는 성무일도를 그레고리오 성가로 노래하는 남녀 수도자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도원 성가대의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대원들, 예를 들어 수도원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중에서 소프라노 소년을 영입하기도 하였다. 나중에는 성직자가 아닌 직업 성가대원들이 큰 주교좌성당의...
  • 미사곡 Mass (music), ミサ曲
    가사는 키리에의 부분만이 그리스어이고, 그 밖에는 모두 라틴어로 노래된다. 본래의 전례용(典禮用) 미사곡으로서 가장 오랜 것은 단선성가(plain song)이며, 후에 그레고리오 성가가 되었다. 13세기경부터 대위법의 발전에 따라 미사곡은 다성양식(폴리포니)으로 쓰게 된다. 기욤 드 마쇼의 《노트르담 미사곡...
    도서 위키백과
  • 입당송 Introit
    1세 교황이 입당송들을 적었거나, 모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정보로는 그 교황이 어떤 노래를 작곡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선율의 관점에서, 입당송은 성가대를 위하여 준장식(semiornato) 형태로 작곡되었다. 멜리스마 선율은 둘 또는 세개 음표를 넘기지 않았다. 각 음절의...
    도서 위키백과
  • 로마 가톨릭 음악의 최고봉, 지오반니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팔레스트리나에게 미사에 사용되는 음악을 모은 책인 《그리두알레》를 다시 쓰는 임무를 부여했다. 팔레스트리나는 곧 작업에 착수했으나 중간에 재정 문제로 중단되고 말았다. 이 작업은 그가 죽은 후, 다른 사람들에 의해 완성되었다. 1614년에 나온 메디치판 《그라두알레》가 바로 그것인데...
    출생 :
    1525년경
    사망 :
    1594년 02월 02일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미사곡 〈교황 마르첼리 미사〉, 모테트 〈스타바트 마테르〉 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