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창모양성제 高敞牟陽城祭
    재현, 강강술래 재현, 조선시대 병영문화 재현, 원님 부임행차, 공군의장대 의장사열시범 등이 있었다. ‘개막출정식’은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로서, 군악대 · 취타대 · 농악대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원님의 부임행렬과 호위무사와 전통복장을 입은 주민 등 천여 명이 모여 고창군 실내체육관~군청~터미널~고창...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소가야문화제 小伽倻文化祭
    봉행, 개회식, 성화점화, 군민상 시상이 진행된다. 서제봉행에는 삼헌관이 신명에게 제사를 드리고 군민의 무사안녕을 기원한다. 개막식이 끝나면 태권도와 군악대의 시범,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이튿날 ‘식전행사’에서는 가장행렬이 이루어진다. 가야건국 이야기인 구지봉설화에 따른 6가야 왕의 어가행렬 단원을...
    시대 :
    현대
    성격 :
    문화축제, 지역축제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매년 10월
    장소 :
    경상남도 고성군 일원
    주관처 :
    소가야문화제보존회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종로도서관 鍾路圖書館
    교육청 소속의 공공도서관으로 서울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개관(1920년 11월27일) 당시의 명칭은 경성도서관으로 종로2가 탑골공원 옆 구한국군악대 자리에 이범승(李範昇, 1887∼1976)에 의하여 설립된 사립공공도서관이었다. 이범승은 새로운 지식의 보급과 개발을 위해서는 도서관을 통한 사회교육사업...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공원(社稷公園) 안
    설립 :
    1920년 11월 27일
    성격 :
    도서관, 공공도서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범승(李範昇)
    분야 :
    교육/교육
  • 대구시립교향악단 大邱市立交響樂團
    3월 7일에 결성하여 그해 6월 20일 청구대학에서 창단 연주회를 가졌다. 대구현악회가 성공적인 창단 연주회를 가지게 되자 제2야전군(현 제2작전사령부) 군악대가 협조하여 대구교향악단을 창단시켰다. 대구교향악단은 1957년 12월 19일 국립극장에서 슈베르트(Schubert, Franz Peter)의 「미완성교향곡」 등을 가지고...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색소폰 Saxophone, サクソフォーン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이 있다. 이 가운데 기본음의 높이가 B♭인 소프라노 색소폰과 E♭인 소프라니노 색소폰은 군악대를 위해 고안된 것이다. 색소폰은 군악대의 연주뿐 아니라 대중 음악이나 재즈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간혹 오케스트라에서도 사용된다. 알토 색소폰...
    도서 위키백과
  • 트럼펫 음높이에 숨은 과학
    축전이나 의식 등을 알릴 때 많이 들을 수 있는 팡파르에는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악기가 있다. 바로 팡파르의 시작을 알리는 트럼펫이다. 영화에서 옛날 군악대의 트럼펫 주자들이 연주하는 장면을 보면 그들의 트럼펫은 아무런 장치 없이 길고 밋밋한 관으로 만들어져 있다. 마치 남아공 월드컵에서 응원할 때...
  • 정훈 (병과)
    문화정보, 자료교환, 상호방문 및 군 문화행사 참가 등의 국제 문화활동은 국방외교 활동으로서 국가간의 우호증진, 군사외교 및 국익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군악대 및 의장대 등이 해외 문화행사에 참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방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해외 문화행사에 참가하는 부대는 국익과 군의 위상을...
    도서 위키백과
  • 동재기고개 동적고개
    동작구 동작동 동작파출소 부근에서 군악대가 위치한 곳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동적고개라고도 하였다. 동재기란 흑석동에서 국립현충원으로 넘어가는 한강변 일대에 검붉은 구리 빛 색깔을 띤 돌들이 많았던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옛날 이 고개는 동재기나루로 가는 고갯길이었다. 동재기나루는 동작진인데 현재...
    유형 :
    자연물
  • 취주악 吹奏楽, 管樂合奏
    취주악(吹奏樂)은 관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유럽의 군악대, 미국의 스쿨밴드처럼 서양의 목관악기·금관악기를 주체로 하여 현악기·특수악기·타악기로 편성되어 연주하는 기악(器樂)을 말한다. 과거에는 군대와 국민의 사기를 복돋기 위한 실용음악 위주로 발달했지만 현재는 음악회와...
    도서 위키백과
  • 농배 능배
    동작구 동작동에 있던 마을로서, 현재 지하철 동작터널과 국립현충원 국군군악대가 있는 지역이었다. 약 15가구가 나루터에서 고기잡이와 잡역으로 생활을 꾸려나갔다고 하며, 일명 능배라고도 불렀는데 국립묘지 설치로 폐동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김승일 (성악가)
    대회'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데뷔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서 태어난 그는 1996년 삼일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성악과에 입학, 대한민국 해군 군악대로 복무하면서 호국가요제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으나, 군 전역 후 뒷바라지하던 어머니의 죽음에 따른 죄책감과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인해 2001년 학교를...
    도서 위키백과
  • 시위 제1연대 1st Siwi Regiment
    2대대로 연대를 편성) 1898년 7월 2일, 1개 포병대 추가 편성 1899년(고종 36년, 광무 3년) 9월, 제3대대 추가 편성 1899년 12월 19일, 2개 포병대대 및 1개 군악대 추가 편성 (포병대대는 기존 1개 포병대를 해체한 후 증편한 것임) 1902년(고종 39년, 광무 6년) 9월 12일, 제3대대 및 제2포병대대, 군악대를 시위 제2...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군악대
군악대
군악대
군악대
해군 군악대
구 한국군악대
구 한국군악대
육군 군악대
오스트리아의 군악대
군악대(1900년경)
 우리 나라 육군 군악대의 시가 행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