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올린 소나타 3번 에드바르드 그리그, Violin Sonata in c minor No.3 Op.45감상에 한계를 지적하기도 한다. 〈바이올린 소나타 3번〉에서도 그리그 음악의 특징이 여지없이 드러난다. 베토벤을 염두에 둔 듯이 C단조 조성을 택하고, 25분...은 “전 세계적이면서도, 지극히 사적이며, 그리그의 내면 깊숙이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것들이 혼합되어 녹아들어 있다”며, 이를 “그리그다움...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2중주
- 제작시기 :
- 1886년 가을~1887년
- 작곡가 :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 초연 :
- 1887년, 라이프치히
- 출판 :
- 1887년
- 헌정 :
- 프란츠 폰 렌바흐
- 구성 :
- 3악장
- 편성 :
- 바이올린, 피아노
-
뮤직 플레이어 MAF Music Player MAF저작자, 앨범 제목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MP3 파일 포맷에는 매우 제한적인 오디오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어 음악 작곡의 의도, 배경, 가사, 음악에 대한 구체적인 저작권 정보 등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뮤직 플레이어 MAF는 이러한 오디오 정보에 대해 보다 풍부한 표현을 통해 더욱...
-
낭만을 노래한 피아노의 시인, 프레데릭 쇼팽 Frēdēric François Chopin시를 유독 좋아했다. 그의 대표작인 네 편의 발라드(Ballade)는 미키에비치의 애국시에서 받은 영감을 음악으로 옮긴 것이다. 네 곡 중에서 가장 격렬한 곡은 제1번으로, 〈콘라드 왈렌로드〉라는 서사시에서 영감을 받았다. 하지만 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것은 아니다. 시가 뿜어 내는 강렬한 에너지를 음악...
- 출생 :
- 1810년 03월 01일
- 사망 :
- 1849년 10월 17일
- 국적 :
- 폴란드
- 대표작 :
- 피아노 협주곡, 녹턴, 야상곡, 마주르카, 왈츠, 폴로네에즈 등
-
연례악 宴禮樂전승 과정 연례악은 왕실에서 연주되었던 음악을 지시하기 때문에 조선조 궁중음악뿐 아니라 고려와 그 이전 왕조에서 연주된 음악까지 아우른다. 다만, 고려 이전의 연례악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어 구체적으로 알 수 없을 뿐이다. 연례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고려시대부터 알 수 있다. 주로 『고려사』 「예지」와...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생각하기가 아니라 자각하기 생각을 많이 할수록 행복할까?아니다. 음악을 들으며 베토벤의 소나타라고 생각하는 순간, 혹은 처음 만나는 여자를 보고 첫사랑을 떠올리는 경우처럼, 구체적이어야 할 지각 경험이 그러한 음악의 지식으로 대체되고, 음악이 울리는 현재의 공간이 과거의 기억과 느낌으로 채워질 수 있다. ‘나는 지각한다’에서 지각이 순수한 현재를 향한다면...
-
근대 바이올린 협주곡의 창시자, 안토니오 비발디 Antonio Vivaldi겨울〉이라는 제목 외에 각 계절의 모습과 풍광을 묘사한 소네트(정형 서정시)를 붙여 '음(音)으로 그린 풍경화'를 만들었다. 제목이나 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묘사적인 기법을 사용한 것도 비발디 음악이 갖는 특징이다. 〈사계〉에 보면 이런 묘사적인 대목이 많이 나오는데, 비록 〈사계〉뿐만 아니라...
- 출생 :
- 1678년 03월 04일
- 사망 :
- 1741년 07월 28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기악곡 〈사계〉, 성악곡 〈스타바트 마테르〉 등
-
공연예술과음악, 무용, 연극 등을 의미합니다. 공연예술과에서는 연출극작전공과 배우를 길러내는 뮤지컬전공 및 연극영상전공으로 나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뮤지컬연기, 실용음악(연주, 보컬 등), 댄스(발레, 뮤지컬댄스 등)을 배우게 됩니다. 학과특성 공연예술은 공간의 제약과 공연 시간의 제약이 있고, 일회적인 예술입니다...
- 분류 :
- 대학교 > 예체능계열
-
테레사 베르간사 새장 속의 로지나에서 자유로운 영혼의 카르멘으로베르테르》를 성공적으로 소화하자 욕심은 조금 더 진척되었다. 이때 에딘버러 페스티벌의 감독 피터 다이아몬드(Peter Diamond)가 보다 구체적인 조건으로 출연을 제안했다. 일단 음악적으로는 도전할 만하다 싶었다. 악보 검토를 하고 직접 세비야 지방을 여행해 집시들을 만나 보니 그들도 마찬가지의 인격체였고...
- 출생 :
- 1935년 03월 16일
- 국적 :
- 스페인
- 대표작 :
- 로시니 《세비야의 이발사》, 로시니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 비제 《카르멘》, 《스페인 노래집》
- 성부 :
- 메조소프라노
-
영상(제1·2집) 클로드 드뷔시, Images Book Ⅰ&Ⅱ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제2곡 ‘황폐한 사원에 걸린 달’(Et la lune descend sur le temple qui fut) 역시 4/4박자의 렌토로 시작하는 곡이다. 화성을 선율처럼 취급하고 있으며 조용한 명상풍의 분위기가 사원을 연상시킨다. 이 곡을 헌정 받은 평론가 루이 라루아가 특별히 극찬한 곡이기도...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04~1905년(1집), 1907년(2집)
- 작곡가 :
-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 초연 :
- 1906년 3월 국민음악협회 연주회, 리카르도 비녜스 연주(제1집) 1908년 2월 세르클 뮤지칼의 연주회, 리카르도 비녜스 연주(제2집)
- 출판 :
- 1905년(1집), 1908년(2집)
- 헌정 :
- 제2집 제1곡 알렉상드르 샤르팡티에, 제2곡 루이 라루아, 제3곡 리카르도 비녜스
- 구성 :
- 제1집 3곡, 제2집 3곡
- 편성 :
- 피아노(독주)
-
금보가 금부가, 琴譜歌이어서 차츰 세상이 어지러워짐에 따라 남녀가 서로 히히덕거리는 올바르지 못한 음악만이 성행하는 것을 탄식한 것이다. 이본에 따라 후세에 음악이 타락한 구체적 사례를 보여주는 다음 부분이 빠진 것도 있다. “미래(未來)에 여락(女樂)되야/음란(淫亂)을 일사마셔/청루주사(靑樓酒肆)에/갑밧 물건(物件)되여/이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이끈 베네치아 악파의 거장, 지오반니 가브리엘리 Giovanni Gabr..큰 영향을 미쳤다. 가브리엘리의 기악음악은 1597년에 출판된 〈종교 교향곡〉, 1615년, 그가 죽은 후 제자들이 수집해서 출판한 〈칸초나와 소나타집〉에 들어...에 수록된 〈소나타 피아노와 포르테(Sonata piano e forte)〉는 인쇄된 악보에 각 성부마다 특정한 악기를 구체적으로 지정한 최초의 기악 앙상블로...
- 출생 :
- 1557년경
- 사망 :
- 1612년 08월 12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종교 교향곡〉, 모테트 〈교회 안에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