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황 니콜라오 4세 Pope Nicholas IV, ニコラウス4世 (ローマ教皇)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제2차 리옹 공의회에 동방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이 참여하도록 그를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사절로 보냈다. 교황에게는 동서방 교회의 재일치를 이루고자 하는 원대한 소망이 있었다. 그래서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총장 보나벤투라는 교황의 사절단과 동행할 네 명...
    도서 위키백과
  • 바티칸시국과 한국과의 관계
    한국은 1967년 1월에 주 스위스 대사관이 겸임했다가 1974년 4월에 주 바티칸(교황청) 대사관을 개설했다. 바티칸시국은 1954년 4월에 서울에 상주 교황 사절을 두었다. 1947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에 교황 비오 12세가 패트릭번 주교를 교황 특사로 한국에 파견했으며, 1948년 12월 12일에 한국이 유엔으로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파스칼 2세 Paschalis II
    소년시절에 수도원에 들어갔고, 1080년경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교황 우르바노 2세 때 스페인 교황사절을 지냈고, 1099년 8월 13일 그를 계승하여 교황이 되었다. 파스칼은 제1차 십자군 원정을 촉진하고 그레고리오의 대규모 교회개혁 정책들을 따랐으나, 그의 교황 재위기간은 교황들과...
    출생 :
    ?, 라벤나 근처 비에다디갈레아타
    사망 :
    1118. 1. 21,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우르바노 2세 Urbanus II
    임무를 부여받아 로마를 방문했다. 로마에 있는 동안 그레고리오 7세에 의해 추기경 및 오스티아(로마의 항구도시) 주교로 서품받았다. 1084년 그레고리오 7세의 교황사절이 되어 독일을 방문했다. 그레고리오 7세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의 분쟁으로 기로에 섰을 때는 합법적인 교황에 충성하는 편을...
    출생 :
    1035경, 프랑스 샹파뉴 샤티용쉬르마른 또는 라주리 또는 라니
    사망 :
    1099. 7. 2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레오 7세 Pope Leo VII, レオ7世 (ローマ教皇)
    오도는 위그의 딸 알다와 알베리크 사이의 혼담을 성사시킴으로써 양측의 휴전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레오 7세는 마인츠 대주교 프리드리히를 교황 총대리와 사절로 임명하여 모든 계층의 성직자들의 쇄신을 위해 힘쓰게 하였다. 그가 프리드리히 대주교에게 한 권고 중에는 유대인을 강제로 개종시키는 것은 금지...
    도서 위키백과
  • 교황 갈리스토 3세 Pope Callixtus III, カリストゥス3世 (ロ..
    초창기에 알폰소 보르자는 레리다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그 대학교의 법학 교수가 되었고 바젤 공의회(1431–1439) 등에서 아라곤 군주의 사절로 활동하였다.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아라곤의 알폰소 5세 국왕과 화해하는데 도움을 준 공로로 그를 추기경에 서임하였다. 교황 니콜라오 5세의 선종 후 개최된 콘클라베...
    도서 위키백과
  • 비오 12세 Pius XII
    베를린으로 갔고 비오 11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될 때까지 그곳에 남아 있었다. 1929년말 로마로 소환되어 국무장관이 된 이래 10년 동안 근무한 후, 교황사절로 남·북 아메리카 및 프랑스를 여행하다가 교황에 선출되었는데, 1623년 이래 가장 짧았던 교황선거 비밀회의를 통해서였다. 교황직 이런 경험들은 비오의...
    출생 :
    1876. 3. 2, 로마
    사망 :
    1958. 10. 9, 이탈리아 간돌포 성(城)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요한 23세 Johannes XXIII
    외교관 시절 비오 11세는 후에 베르가모 사제의 뛰어난 대인관계를 기억하고 바티칸의 외교관 임무를 맡겼다(바티칸시티). 그는 1925년 3월 불가리아의 교황사절로 임명받고, 관례대로 로마를 떠나기 전에 대주교로 임명받았다. 그후 10년을 동방 정교회가 압도적인 불가리아에서 소수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이익을 지키는...
    출생 :
    1881. 11. 25, 이탈리아 소토일몬테
    사망 :
    1963. 6. 3,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요한 7세 Pope John VII, ヨハネス7世 (ローマ教皇)
    두었다. 교황과 동로마 제국의 관계는 692년 퀴니섹스트 공의회로 인하여 엇나가기 시작했다.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동방 교회의 주교 두 명을 로마에 사절로 보내어 교황 세르지오 1세가 거절한 퀴니섹스트 공의회의 결정들을 로마에서 회의를 개최하여 심의하게 하였으나, 요한 7세는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돌려보냈다...
    도서 위키백과
  • 보니파시오 8세의 필리프 4세
    정책을 주도했다. 필리프는 이 정책을 추진하면서 교황의 다른 대적자들에게 지원을 받았는데, 그중에는 분쟁 초기에 보니파시오의 명을 받아 교황사절로 프랑스로 파견된 후 교황을 배반한 프랑스 추기경 장 르무안(요한네스 모나쿠스)이 있다. 파리의 루브르에서 열린 왕과 그의 고문들의 비밀회의에서는 보니파시오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훔베르트 Humbert of Silva Candida
    11세기에 교황 레오 9세와 그레고리오 7세의 교회개혁을 증진시켰으나 교리에 대해서는 완고한 입장을 취함으로써 1054년 동방교회와 서방교회가 갈라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프랑스 보주 산맥 무아앵무티에에 있는 베네딕토 수도회 수도원의 수사로서 15세 때부터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능통했고 교회와 국가의...
    출생 :
    1000경, 로렌
    사망 :
    1061. 5. 5, 로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Saints Cyril and Methodius
    새로운 교황인 하드리아노 2세는 그들의 입장에 동조해 슬라브어를 예배에서 사용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키릴로스가 죽자 교황 하드리아노는 메토디오스를 로마 교황 사절 겸 시르미움의 대주교로 슬라브족에게 파송했다. 메토디오스의 교회 관할구역은 모라비아 전지역이 포함되었다. 로스티슬라프의 조카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