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황 니콜라오 4세 Pope Nicholas IV, ニコラウス4世 (ローマ教皇)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제2차 리옹 공의회에 동방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이 참여하도록 그를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에게 사절로 보냈다. 교황에게는 동서방 교회의 재일치를 이루고자 하는 원대한 소망이 있었다. 그래서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총장 보나벤투라는 교황의 사절단과 동행할 네 명...도서 위키백과
-
바티칸시국과 한국과의 관계한국은 1967년 1월에 주 스위스 대사관이 겸임했다가 1974년 4월에 주 바티칸(교황청) 대사관을 개설했다. 바티칸시국은 1954년 4월에 서울에 상주 교황 사절을 두었다. 1947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에 교황 비오 12세가 패트릭번 주교를 교황 특사로 한국에 파견했으며, 1948년 12월 12일에 한국이 유엔으로부터...
-
교황 갈리스토 3세 Pope Callixtus III, カリストゥス3世 (ロ..초창기에 알폰소 보르자는 레리다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그 대학교의 법학 교수가 되었고 바젤 공의회(1431–1439) 등에서 아라곤 군주의 사절로 활동하였다.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아라곤의 알폰소 5세 국왕과 화해하는데 도움을 준 공로로 그를 추기경에 서임하였다. 교황 니콜라오 5세의 선종 후 개최된 콘클라베...도서 위키백과
-
-
-
보니파시오 8세의 필리프 4세정책을 주도했다. 필리프는 이 정책을 추진하면서 교황의 다른 대적자들에게 지원을 받았는데, 그중에는 분쟁 초기에 보니파시오의 명을 받아 교황사절로 프랑스로 파견된 후 교황을 배반한 프랑스 추기경 장 르무안(요한네스 모나쿠스)이 있다. 파리의 루브르에서 열린 왕과 그의 고문들의 비밀회의에서는 보니파시오가...
-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Saints Cyril and Methodius새로운 교황인 하드리아노 2세는 그들의 입장에 동조해 슬라브어를 예배에서 사용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키릴로스가 죽자 교황 하드리아노는 메토디오스를 로마 교황 사절 겸 시르미움의 대주교로 슬라브족에게 파송했다. 메토디오스의 교회 관할구역은 모라비아 전지역이 포함되었다. 로스티슬라프의 조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