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RNA processing RNA 가공핵내의 mRNA전사로 생기는 세포질 졸(sol)로 이행하여 리보솜에서 번역되기 전에 수식, 즉 가공되는 RN A. 핵내가공의 주요한 특징은 pre mRNA의 인트론의 배열이 스플라이세오솜(spliceosome)에 의해서 잘려나가고 인산디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잘려나간 전사산물이 이어맞춰진다는 것이다.
-
translational control 번역조절 해독조절, 飜譯調節유전자의 형질발현을 번역 단계에서 조절하는 것. DNA의 정보발현을 DNA에서 mRNA로의 전사단계와 mRNA에서 단백질로의 번역단계로 나눈 경우, 전자에서의 전사조절에 대한 후자의 조절을 가리킨다. ( ⇨ autogenous regulation)
-
바이러스 대처하는 원시 생명체의 지혜셈이다. RNAse III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방법은 RNA간섭(RNAi)이다. RNA 간섭이란 RNA 중 일부가 짧은간섭RNA(siRNA)나 마이크로RNA(miRNA)가 전령RNA(mRNA)의 활성을 조절해서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말 그대로 단백질 합성 정보를 담은 mRNA가 이제 막 단백질을 생산하려고 하는데 이를 ‘간섭’해서...
-
심장에 있는 알려지지 않은 작은 단백질들작은 단백질들을 발견했다. 리보솜 프로파일링이라고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서, 그들은 격리된 세포 안 뿐만 아니라, 온전한 사람 심장 조직에서도 리보솜이 어떤 mRNA 부위로 이동했는지를 처음으로 알아낼 수 있었다. 특별한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그들은 그 번역 과정에서 심장에서 어떤 단백질이 생산되었는지 계산할...
-
코로나-19는 왜 전염성이 강할까?일에 도움을 준다. 감염을 막고자 한다면 코로나-19와 숙주 세포의 결합을 방해해야 한다. 미국의 제약회사 모더나가 개발중인 백신 후보물질인 전령RNA(mRNA)-1273이 이런 역할을 한다. 전령RNA(mRNA)-1273은 코로나-19의 유전 정보를 담은 전령RNA를 주사해 그것과 똑같이 생긴 가짜 스파이크 단백질이 우리 몸에서...
-
유전체학 遺傳體學원리란 크릭(Francis Crick)이 제안한 개념으로, 세포에서 유전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즉, DNA에서 새로운 DNA가 복제되고, 그것은 mRNA로 전사되고, mRNA는 tRNA로 이동하여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로 번역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인간의 유전자를 모두 밝혀내면 그로부터 생성되는 단백질의 특징을 파악...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