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양 사인암
    변에 병풍처럼 넓은 바위가 직벽을 이루며 위엄을 자랑하고 있는 그곳에 사인암이 자리하고 있다. 사인암은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으로 판상절리와 수직절리가 잘 발달하여 화강암체가 사각기둥처럼 보인다. 이 지역의 화강암체는 상부에 토르를 비롯한 절리가 잘 발달하여 특이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천가...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2길 42
    문화재 지정 :
    명승 제47호(2008.09.09 지정)
  • 물리적 풍화 物理的風化, physical weathering
    동결과 융해 등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암석이 잘게 부서지는 현상을 말한다.기계적 풍화라고도 하며, 암석이 잘게 부서지는 유형에는 입상붕괴, 박리, 절리면 분리, 파쇄 등이 있다. 입상붕괴는 조암광물들의 팽창계수가 다르기때문에 이 차이로 인해 잘게 부서지는 것을 말하며, 박리는 온도변화의 차이로 인해...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장구섬 갑도
    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 사암 및 역암으로 이루어진 2개의 순상형태의 섬(고도 약 8m). 해식애, 해식대지, 타포니, 층리, 절리 발달. 생활쓰레기와 폐어구가 방치. 주변에 양식장.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된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없음. ㆍ주요 해양생물 - 해안무척추동물 총 5...
    면적 :
    795m 2
    좌표 :
    128° 33′ 43.68″ E, 35° 04′ 53.25″ N
    해도번호 :
    206
    지번 :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 산196-1외 1
    소유현황 :
    국유지(국토해양부)
    육지와의 거리 :
    장구항으로부터 0.6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경상남도 ,
  • 석회동굴 石灰洞窟, limestone cave
    계속 녹으면서 동굴은 점차 확장되고 종유석, 석순, 석주와 같은 동굴생성물이 만들어진다. 시간이 지나고 지하수면이 낮아지면서, 지하수는 석회암 내 절리를 따라 흐르게 되어 다양한 모양의 동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로 절리나 층리와 같이 암석 내에 발달한 절리의 방향과 동굴과 지하수면의 상대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흑산도 大黑山島
    보존지구 〈자연공원법〉, 국립공원(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공원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소규모 바위섬 - 규암. 남측해안사면 및 수직절리를 따른 침식으로 북부해안의 여들이 형성 ㆍ주요 육상동물 : 포유류, 양서류 및 파충류 미 발견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무척추동물 10종 출현(연체동물 5종...
    면적 :
    5,035m 2
    좌표 :
    34° 38′ 37.42″ N, 125° 25′ 12.29″ E
    해도번호 :
    346
    지번 :
    신안군 흑산면 사리 산94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전남 진도군 지산면 가학리에서 약 66.5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큰여
    산지관리법〉, 임업용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장축(NE~SW) 약 97m, 단축(W~E) 약 26m의 북동으로 신장된 바위섬 - 수직절리군이 조밀하게 발달 ㆍ주요 육상동물 : 포유류, 양서류 및 파충류 미 발견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무척추동물 14종 출현(연체동물 8종, 자포동물 1종, 절지동물...
    면적 :
    4,198m 2
    좌표 :
    34° 14′ 22.89″ N, 127° 26′ 54.25″ E
    해도번호 :
    2414
    지번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1763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고흥군 봉래면 외초리에서 약 19.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무명도1
    해발고도는 약 20m, 장축의 길이는 대략 135m. - 본 섬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은 유문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루고 있음. - 북서방향으로 발달된 절리에 의해 섬의 서쪽해안에는 해식대가 발달되어 있음. 이곳에서 관찰되는 암맥의 관입방향은 N61E / 50SE(폭: 1.5~2m)이며 차별풍화작용을 보임. - 섬에서 관찰...
    면적 :
    11,920m 2
    좌표 :
    35° 3′ 30.57″ N, 125° 56′ 26.56″ E
    해도번호 :
    3113
    지번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산371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신안군 증도면 방축리에서 약 15.8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조도 鳥島
    삼각형 모양 화강암괴로 남서면이 높은 봉우리 형상을 하고 동북쪽에 암괴가 솟아 있음 - 기반암은 반상변정질 화강암, 기반암상에 잘 발달된 수직 수평 절리가 나타남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동물 35종이 발견되었고, 산호붙이히드라가 출현함. - 해조류는 38종 확인, 조하대 저층에 혹돌잎과 진분홍딱지 우점함 ㆍ주요...
    면적 :
    13,984m 2
    좌표 :
    38° 11′ 53″ N, 128° 36′ 48″ E
    해도번호 :
    134
    지번 :
    청호동 1340
    소유현황 :
    국유지(기획재정부)
    육지와의 거리 :
    청호동 1.4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강원도 ,
  • 한라산 漢拏山
    큰 피해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한라산 정상에는 지름이 약 500m에 이르는 화구호인 백록담이 있으며, 360여 개의 측화산, 해안지대의 폭포와 주상절리, 동굴과 같은 화산지형 등 다양한 지형경관이 발달했다. 또한 난대성기후의 희귀식물이 많고 해안에서 정상까지의 다양한 식생변화가 매우 특징적이고 경관이...
    높이 :
    1,947.3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제주도 , 국내여행 ,
  • 대왕암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大王巖
    의한 관리 현황 : 문화재(문무대왕릉) 〈문화재보호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 등으로 구성된 바위섬(고도 약 5m). 절리에 의해 4방향의 수로가 발달. 수중왕릉.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표기하는 표지석 존재.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된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없음. ㆍ주요 해양...
    면적 :
    1,960m 2
    좌표 :
    129° 29′ 12.69″ E, 35° 44′ 17.27″ N
    해도번호 :
    176
    지번 :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30-1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대본항으로부터 0.6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경상북도 ,
  • 무명도2
    대략 200m. - 본 섬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은 유문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루고 있음. 층상구조를 보이는 암석의 층리방향은 N50W / 40SW이며 대표적인 절리방향은 N18W / 86SW, N68E / 84SE. 북서방향으로 발달된 절리에 의해 남북방향으로 갈라진 인접도서와 분리되어 있음. 하부는 해식애가 발달되어 있으며...
    면적 :
    8,371m 2
    좌표 :
    35° 5′ 38.03″ N, 125° 58′ 41.01″ E
    해도번호 :
    3113
    지번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산372
    소유현황 :
    국유지
    육지와의 거리 :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에서 약 16.4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십이동파도6 병풍도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없음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없음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구성암질은 안산암. 서쪽해안은 주상절리로 길게 구성된 해식애 발달. 동쪽 및 북쪽해안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이며 물리적 풍화에 의한 박리현상 관찰. 동쪽 북단해안에 노치가 발달하고 그 내부에 주상...
    면적 :
    64,701m 2
    좌표 :
    35° 59′ 44″ N, 126° 13′ 16″ E
    지번 :
    옥도면 연도리 170
    소유현황 :
    국유지(기획재정부)
    육지와의 거리 :
    약 38.0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북도 ,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40건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절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