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자문 뒤풀이」 千字文 뒤풀이[개설] 「천자문 뒤풀이」는 천자문에 있는 글자의 뜻을 활용하여 어울려 놀면서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다. 이를 「천자풀이」, 「천자 뒤풀이」 등이라고도 한다. 「천자문 뒤풀이」는 본래 판소리 「춘향가」의 한 대목이었는데, 민요화된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꼬리따기」[개설] 「꼬리따기」는 아이들이 꼬리따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자 동요(童謠)이다. 언어 유희요는 노랫말의 언어 자체가 놀이의 대상이 되는 노래를 말한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실려 있다. 이는 공저자들이...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거미야 거미야 왕거미야」 거미야 거미야 王거미야소리’라고 하는 메나리토리에 해당하는데, 이 「모심기 소리」를 부산 지역에서는 ‘등지’라는 명칭으로 일컫는다. [내용] 거미의 줄 타는 모습에 주술적 언어유희와 남녀의 사랑이 어우러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보자에 따라 사설의 내용이나 노래의 길이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설은...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한성옥시각 언어가 갖는 힘과 가능성에 대한 막연한 믿음은 있었지요. 그 믿음에 대한 탐구를 위해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하던 미국 유학 시절, 어린이를 위한 한국에 관한 책이 도서관에 한 권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따라서 초등학교에서는 한국에 관한 프로젝트를 제대로 다룰 수 없었던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
교향곡 2번 Symphony No.2 in D major희극 전통 안에서 성취된 혁명 2악장 라르게토는 달콤한 악센트가 베토벤의 언어 안에 새롭게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악장이다. 〈교향곡 1번〉에서 베토벤은...3악장에 ‘스케르초’라는 이름을 붙인다. 3악장은 문자 그대로 ‘농담’같은 유희적인 3박자 계열의 음악을 들려준다. 마지막 악장의 열정적이면서도...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교향곡
- 제작시기 :
- 1801~1802년
- 작곡가 :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초연 :
- 1803년, 빈의 안 데어 빈 극장, 베토벤 지휘
- 출판 :
- 1804년
- 헌정 :
- 리히노프스키 후작
- 편성 :
- 플루트2,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호른2, 트럼펫2, 팀파니, 현5부
-
-
크눌프 Knulp단순한 언어, 그리고 작품 속에 그려진 전원적인 풍경에 찬사를 보냈다. 헤세는 『크눌프』에서 그의 작품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고독한 방랑자의 모습을 사실적이면서도 아름답게 그려 냄으로써 결코 젊음이 충동과 낭만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이야기하고 있다. 줄거리 크눌프는 시인이자 노래하는 사람으로, 그...
- 원제 :
- Knulp
- 발행일 :
- 2004년 11월 20일
- 지은이 :
-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 옮긴이 :
- 이노은
- 출판사 :
- 민음사
- ISBN :
- 978-89-374-6111-8
- 페이지 수 :
- 156쪽
- 시리즈 번호 :
- 세계문학전집 111
-
점복 복서, 占卜일으키는 언어와 행동으로써 신을 접하는 점법이다. 그러고 나서 그 신과 암호나 판에 박힌 관용구 또는 어떠한 형용어구로써 의사를 교환한다.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권2)에 보면, 무녀가 능히 귀신어로써 지나간 일이며 장차 닥쳐올 일들을 모두 알아맞힌다고 하였다. 또, 성현(成俔)도 『용재총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식파루를 노래한 고전 문학 息波樓를 노래한 古典 文學파도를 멈추게 하는 피리인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는 국조 고사를 결합시킨다. 그래서 곧 이 피리를 구해 불어야 동쪽 왜인의 근심을 멈출 수 있겠다고 언어유희를 하고 있다. 그 피리가 자라는 곳은 부산(浮山)인데, 이 또한 부산(釜山)과 동음이의(同音異義)[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의 언어유희다. 다음은 이원진이...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