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기 백목(白木), 黃芪방광염, 배농, 배뇨통, 보기, 보음, 보중익기, 보폐·청폐, 부종, 붕루(혈붕), 비염, 빈혈증, 산전후통, 산후증, 산후허로, 생기, 생인손,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수종, 식욕부진, 신장병, 악창, 안면창백, 알레르기, 양궐, 열독증, 열성하리, 오한, 오한발열, 옹종, 옹창, 원기부족, 월경불순, 위하수, 위한, 유방동...
- 학명 :
- Astragalus membranace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바위틈, 높은 산 중턱,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
- 생약명 :
- 황기(黃耆)
- 키 :
- 1m 정도
- 과 :
- 콩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뿌리 10∼20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자주황기
-
미나리 수영(水英)대장증후군, 구토, 당뇨병, 대장염(궤양성대장염), 대하증, 동맥경화, 등창, 류머티즘, 번갈, 변혈증, 보혈, 볼거리, 부종, 붕루, 비만증, 서리, 서증, 소변불통, 수종, 숙취, 습진, 식욕부진, 신경통, 신부전, 심장병, 심장열, 안질, 암(췌장암), 양기부족, 열독증, 열성하리, 오심, 요혈, 원기부족, 월경불순(자주색...
- 학명 :
- Oenanthe javanic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연못가·무논·습지에 재배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잎·줄기
- 생약명 :
- 수근(水芹)
- 키 :
- 20~50cm
- 과 :
- 미나릿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9~10월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그늘에서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잎·줄기 15~25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
고삼 교괴, 苦蔘담, 담궐, 당뇨병, 독감, 독두병, 두통, 류머티즘, 명목, 목적동통, 발 부르튼 데, 발열, 배뇨통, 변비, 복수, 복중괴, 비열, 삼눈, 색맹, 서리, 소갈증, 소변불통, 소화불량, 숙취, 습담, 습비, 습진, 시력감퇴, 식도염, 식욕부진, 신경통, 악창, 알레르기, 연주창, 외상소독, 요통, 요혈, 위경련, 위염, 윤장, 은진...
- 학명 :
- Sophora flavescen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씨
- 생약명 :
- 고삼(苦蔘)·고식·능랑·수괴·잠경(岑莖)·지괴(地塊)
- 키 :
- 80~100cm
- 과 :
- 콩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겨울~이듬해 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매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뿌리 1~3g
- 주의사항 :
- 장복해도 좋으나 허약한 사람은 신중히 쓴다.
- 동속약초 :
- 회화나무
-
국화 절초(節草), 菊花거담, 건선, 건위, 고혈압, 냉병, 네프로제, 대하증, 동맥경화, 두설, 두통, 발열, 변비, 보신·보익, 부인병, 비뉵혈, 비색출수, 살갗이 튼 데, 선창, 소변불통, 수족궐랭, 식욕부진, 신경통, 심기불녕, 심번, 심장병, 안신, 안질, 애, 외이도염, 위한, 은진, 음극사양, 음낭습, 이롱·난청, 정신피로, 종기, 종독...
- 학명 :
- Chrysanthemum morifoli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
- 번식 :
- 꺾꽂이·분주
- 약효 부위 :
- 온포기·꽃
- 생약명 :
- 국화(菊花)
- 키 :
- 1m 정도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개화기 전(꽃봉오리)
- 취급요령 :
- 그늘 또는 불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꽃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 품종
-
은행나무 백과엽(百果葉), 銀杏나무관상동맥질환, 뇌빈혈, 뇌졸중, 담, 당뇨병, 대하증, 두통, 말초혈관장애, 매독, 몽설, 배뇨통, 백태, 보신·보익, 보양, 보폐·청폐, 빈뇨증, 설사, 성욕감퇴, 소변불통, 수렴제, 식체(두부), 신경쇠약, 실신, 실음, 심계항진, 심기증, 심복통, 심장병, 애역, 야뇨증, 오장보익, 요도염, 울화, 위경련, 위산과다증...
- 분류 :
- 낙엽 침엽 교목
- 학명 :
- Ginkgo bilob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인가 부근, 가로수 식재
- 번식 :
- 씨(은행)
- 약효 부위 :
- 잎·씨·햇순(1년생 가지)
- 생약명 :
- 백과(百果)
- 키 :
- 40~60m
- 과 :
- 은행나뭇과
- 채취기간 :
- 9∼10월(씨), 9월∼이듬해 5월(햇순)
- 취급요령 :
- 날것(씨) 또는 그늘에 말려(잎·햇순)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쓰고 떫다.
- 독성여부 :
- 열매와 씨에 약간 있다.
- 1회 사용량 :
- 잎·햇순2∼6g, 씨(은행)5∼12개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택사 澤瀉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간경변증, 감기, 강장보호, 고혈압, 골절번통, 당뇨병, 두통, 발열(신열), 방광염, 보신·보익, 부종, 서증,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습진, 신장결석, 신장기능강화, 신장염(만성신장염), 심장병, 위하수, 유즙분비부전, 이뇨,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종창, 창종, 해수, 해열, 현훈증
- 학명 :
- Alisma canaliculat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연못가, 습지, 무논, 논두렁, 밭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
- 생약명 :
- 택사(澤瀉)
- 키 :
- 40~130cm
- 과 :
- 택사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10월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뿌리 8~1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개미취 자영(紫英)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호흡기·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각혈, 간염(A형간염), 거담, 기관지염, 담, 보폐·청폐, 소갈증, 소변불통, 스트레스, 암(폐암, 피부암), 윤폐, 이뇨, 인후염·인후통, 진통, 창종, 천식, 토혈, 폐농양, 해수, 해열, 허약체질 소아질환: 경풍
- 학명 :
- Aster tataricus
- 분포지역 :
- 중북부지방
- 자생지역 :
- 야산 습지, 습윤한 초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
- 생약명 :
- 자완(紫菀)
- 키 :
- 1.5~2m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이듬해 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쓰고 약간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갯쑥부쟁이·참취
-
복수초 장춘화(長春花), 福壽草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뿌리에 독성이 있어 먹으면 체내에 남는 맹독성 식물이다. 심장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복용을 신중히 해야 한다. 효능 주로 신경계·운동계의 각종 진통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심제, 변비, 소변불통, 신경쇠약, 심계항진, 심기증, 심내막염, 심신허약, 심장병, 심장판막증, 이뇨, 진통, 창종
- 학명 :
- Adonis amurensi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나무 그늘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
- 생약명 :
- 복수초(福壽草)
- 키 :
- 10~30cm
- 과 :
- 미나리아재빗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4~5월(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쓰다.
- 독성여부 :
- 있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뿌리 0.5~1.5g
- 주의사항 :
- 2회 이상 복용을 금한다.
- 동속약초 :
- 가지복수초
-
위성류 적양(赤陽), 渭城柳쓰기도 한다. 꽃은 정류화(檉柳花), 나뭇진은 정유(檉乳)라고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호흡기·신경계·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감기, 고혈압, 기관지염, 소변불통, 습진, 신경통, 이뇨, 종독, 중독, 취한, 풍습, 해수
- 분류 :
- 낙엽 활엽 소교목
- 학명 :
- Tamarix chinensis
- 분포지역 :
- 중부 이남
- 자생지역 :
- 인가 부근에 식재
- 번식 :
- 꺾꽂이·씨
- 약효 부위 :
- 열매·잔가지
- 생약명 :
- 우사류(雨師柳)
- 키 :
- 5m 정도
- 과 :
- 위성류과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열매·잔가지 15∼20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노간주나무 두송(杜松)비해 잎과 열매가 길고 크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비뇨기 질환을 다스리며, 해독제로도 한몫을 한다. 관련질병: 간질, 감기, 고혈압, 관절염, 담, 소변불통, 수종, 신경통, 신장병, 위통, 유즙분비부전, 이뇨, 중독, 취한, 탕화창(화상), 통경, 풍, 풍습, 해수, 해열 소아질환: 경풍
- 분류 :
- 상록 침엽 교목
- 학명 :
- Juniperus rigid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기슭 양지(특히 석회암 지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덜 익은 열매
- 생약명 :
- 노가자(老柯子)
- 키 :
- 8~10m
- 과 :
- 측백나뭇과
- 채취기간 :
- 10월경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덜 익은 열매 2~3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긴노간주·서양노간주·해변노간주
-
감국 금정(金精), 甘菊냉병, 네프로제, 누안, 담, 동맥경화, 두창, 두통, 등창, 적면, 명목, 발열, 배뇨통, 복랭, 복통, 비뉵혈, 비색출수, 비장종대, 비창, 빈혈증, 산후발열, 소변불통, 습비, 습진, 시력감퇴, 식체(술), 심번, 심장마비, 심장병, 악창, 안검연염, 안구통증, 안질, 애, 열광, 열독증, 오장보익, 위한, 유종, 음극사양, 음랭...
- 학명 :
- Chrysanthemum indicum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 길가
- 번식 :
- 분주
- 약효 부위 :
- 온포기·꽃
- 생약명 :
- 감국(甘菊)
- 키 :
- 60~90cm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9~10월(개화기)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꽃 5~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산국화·국화
-
더위지기 백호(白蒿)준다. 관련질병: 간염, 개창, 과식, 곽란, 구고, 구창(口瘡), 구창(灸瘡), 냉병, 다한증, 담, 담낭염, 담즙분비, 방광허랭, 보간·청간, 비색출수, 생인손, 소변불통, 소화불량, 수족궐랭, 안태, 열병, 온신, 위염, 위한, 음부질환, 이뇨, 자궁허랭, 지방간, 출혈, 피부노화방지, 한습, 해열, 황달 소아질환: 소아대변청
- 분류 :
- 낙엽 활엽 관목
- 학명 :
- Artemisia iwayomogi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들, 산기슭 양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한인진(韓茵蔯)
- 키 :
- 1m 정도
- 과 :
- 국화과
- 채취기간 :
- 6~7월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매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 2~4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개사철쑥·맑은대쑥·사철쑥·참쑥·털산쑥·흰사철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