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주 성산동 고분군 Ancient Tombs in Seongsan-dong, Seongju전시관에는 고분군에 대한 역사적 전시와 함께 어린이 체험실이 있어 놀이와 체험을 즐길 수 있다. 경상북도 성주군 성산일대에 있는 성산가야지배층의 무덤들이다. 성산의 정상에는 성산산성이 있고 주변에 70여기의 가야 무덤들이 분포하고 있다. 1호 무덤은 높이 3.6m, 지름 13.6m로 내부구조는 앞트기식돌방무덤...도서 위키백과
-
달성죽곡리유적 達城竹谷里遺蹟문산리산성 내에서도 1기가 확인되었다. 적석단 남쪽에 연접해 삼국시대의 고분이 축조되어 있었다. 이 유구는 기존의 적석단 일부를 이용해 후에 축조된 고분으로서 망실된 적석단 석재 일부를 석실의 벽석으로 이용하고 있다. 고분은 적석단 상면을 잡석으로 봉토를 덧씌운 것과는 달리, 적갈색 점토로서 봉토를 밀봉...
- 시대 :
- 고대/삼국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 성격 :
- 무덤군
- 유형 :
- 유적
- 면적 :
- 1호분(남북 길이 39m, 동서 너비 32m, 높이 9m)
- 소재지 :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죽곡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
충청남도의 성 목록사용 중. 세성산성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화성리 테뫼식 석성 280m 백제 일봉산성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용곡동 마안형 토성 300m 백제 성산산성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관서리 토성 600m 백제 사산성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동리 복합식 토석혼축성 1,405m 백제 청당동산성 충청남도 천안...도서 위키백과
-
능주 이릉부리(爾陵夫里), 綾州능성의 옛 이름 이릉부리는 큰 읍성(邑城) 또는 지형상의 분지라는 뜻을 가진다. 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에 있어 삼국시대 나주와 무안 지역을 방어하는 군사적인 요충지로 금오산(金鰲山)ㆍ성산(城山)ㆍ천태산(天台山) 등지에는 옛 산성이 있었다. 조선시대 나주와 순천(順天)을 연결하는 도로망이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의흥 구산현(龜山縣), 義興뜻에서 의흥으로 고쳤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이 대구·영천·의성·안동을 연결하는 군사·교통상의 요지였으므로 1689년(숙종 15) 화산산성(華山山城)을 축조하였고, 성산(城山)·팔공산(八公山)에는 옛 성이 있었다. 승목산(繩木山)·포지현(甫只縣)·토을현(吐乙峴) 등에는 봉수가 있어 경상도의 남북지방을...
- 시대 :
- 조선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상북도 군위군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대한민국의 사적 (1960년대)66호 김해 분산성(金海 盆山城)(Bunsanseong Fortress, Gimhae) 경남 김해시 가야로405번안길 210-162 (어방동) 김해시 1963년 1월 21일 지정 67호 함안 성산산성(咸安 城山山城)(Seongsansanseong Fortress, Haman) 경남 함안군 함안읍 괴산리, 가야읍 광정리 569 함안군 1963년 1월 21일 지정 68호 강진 고려청자 요지...도서 위키백과
-
춘천시의 유물·유적·관광봉의산성(鳳儀山城,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6호)이 있다. 조선 인조 때 세워진 관아건물 문소각(聞韶閣)의 내삼문인 위봉문(威鳳門,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호)과 문루인 조양루(朝陽樓,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호)가 있는데, 현재 위봉문은 봉의동 강원특별자치도청 앞에, 조양루는 우두산 기슭에...
-
이사룡 李士龍개설 본관은 성산(星山). 할아버지는 수문장 이유문(李有文)이며, 아버지는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위한 공으로 무과에 오른 이정건(李廷建)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40년(인조 18) 청나라가 명나라를 치기 위하여 조선에 원병을 청하자 포사(砲士)로 징발되었는데, 금주(錦州)에서 명장(明將) 조대수(祖大壽)와 대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12년(광해군 4)
- 사망 :
- 1640년(인조 18)
- 경력 :
- 칠포만호, 성주목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의사(義士)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성산(星山)
-
호계 호측현(虎側縣), 虎溪된다. 이 지역은 문경에서 남쪽으로 영남의 여러 곳과 연결되는 길목에 있어 교통상·군사상 중요한 몫을 하였다. 문경으로 넘어가는 신원(新院)과 면정(免廷)의 산정에는 산성이 있었고, 북쪽의 선암산(禪巖山) 봉수는 남쪽의 성산(城山) 봉수와 연결되었다. 대체로 문경을 지키는 전초기지의 성격을 가졌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상북도 문경시
- 분야 :
- 지리/인문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