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상필 사익(士翼), 柳相弼무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811년(순조 11)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개천군수로 임명되어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상을 받았다. 다른 죄로 인하여 더 승진하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러 있다가, 다시 선치에 힘썼기 때문에 승진하여 1826년에 황해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33년에는 양주목사를 지내고...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82년(정조 6)
- 사망 :
- 미상
- 경력 :
- 우포도대장, 총융사, 훈련대장, 형조판서, 배왕대장(陪往大將)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홍경래의 난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이승건 자강(自强), 李承健우봉(牛峰). 자는 자강(自强). 이주(李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이길배(李吉培)이다. 아버지는 감찰 이기(李圻)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유강(柳江...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가 되었다. 1482년 주서에 이어 중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1485년 헌납이 되었다. 1486년 지평...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52년(문종 2)
- 사망 :
- 1502년(연산군 8)
- 경력 :
- 성균관전적, 호조좌랑, 동부승지, 우승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자사화, 중종반정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
대한통의부 大韓統義府신언갑(申彦甲), 실업부장 변창근(邊昌根), 교통부장 오동진, 참모부장 이천민(李天民) 등이 선출되었다. 지방 행정은 각 현에 총감(總監) 사무소를 설치해 총감 이하 임원을 두었다. 총감은 1,000호의 장(長)으로 지방 형편에 따라 1구(區)를 100호 내지 200호로 했으며, 4, 5구의 관할 구역으로 나누어 구장(區長)을...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윤심 현통(玄通), 尹深김신국(金藎國)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0년(현종 1)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가 되었고, 봉교·지평·부교리·부수찬·이조좌랑 등을...형세를 자세히 살펴 방비를 철저히 할 것과 먼 곳을 살필 수 있게 누대가 있는 배의 건조를 주장하였다. 1672년(현종 13) 헌납으로 있을 때, 사복시정(司僕...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3년(인조 11)
- 사망 :
- 1692년(숙종 18)
- 경력 :
- 경기도관찰사, 도승지, 강화유수, 개성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박이장 숙빈(叔彬), 朴而章박식(朴埴)이고, 아버지는 승지 박양좌(朴良佐)이며, 어머니는 성산배씨(星山裵氏)로 별좌(別坐) 배은(裵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가학(家學)을...殿參奉)으로 나갔으나 곧 사직하고 돌아와 학문에 몰두하였다. 1586년 별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교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7년(명종 2)
- 사망 :
- 1622년(광해군 14)
- 경력 :
- 이조정랑, 홍문관부응교, 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용담집(龍潭集), 정서절요(程書節要), 육경여해(六經蠡海)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순천(順天)
-
석도 席島만, 갑 등이 발달되어 있어 썰물 때 간석지가 드러난다. 서쪽과 북서쪽을 향한 해안에는 계절풍에 의해서 두껍고 넓은 사빈이 발달되어 있고, 돌출한 곶(串)에는 높은 해식애가 발달하였으며, 특히 북서쪽으로 향한 해안에는 10m 내외의 비교적 높은 해안사구가 발달하였다. 석도에 있는 산에는 소나무, 참나무, 떡갈...
- 성격 :
- 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7.955㎢, 둘레 42.42㎞, 높이 132m
- 소재지 :
- 황해남도 과일군 석도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소록도 녹도, 小鹿島개설 고흥반도 남단의 녹동항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400m, 배로 10분 거리에 있는 섬이다. 남쪽의 거금도(居金島)와 인접하여 있다. 동경 127°07′, 북위 34°31...높이 118m)로 되어 있다. 해안선의 드나듦이 많아 깊숙한 만(灣)과 돌출한 갑(岬)이 교대로 이어진다. 북서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 해안이나...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남해찬가 南海讚歌주갑(六周甲: 306년)이 되는 임진년(1952)에 다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조국의 현실과 그러한 가운데서도 파쟁에만 여념이 없는 정치인들의 각성을 촉구하기 위하여 이 작품을 쓴다고 하였다. 따라서 작가의 현실의식이 가장 첨예하게 반영된 작품으로, 작가가 이 시집을 당시의 국회의원 전원에게 무상으로 배부...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용호
- 창작/발표시기 :
- 1952년, 1957년(재판)
- 성격 :
- 서사시, 서사시집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함경남도의 자연환경송도갑·백안단 등이 형성되어 있으나, 해안선의 드나듦이 비교적 단조롭고 석호가 발달해 있다. 해안선 길이는 455.82㎞이며, 마양도·화도 등 64개의 섬들이 흩어져 있다. 기반암의 대부분이 시생대 화강암·편마암이며, 남부에 고생대 석회암과 퇴적암이 분포한다. 그밖에 신흥군·북청군·이원군 일대에는 중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