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은 자신의 주장에 반대하는 쪽을 분개 학파( School of resentment)라고 정의한 뒤 그들에 속하는 집단으로 페미니즘 문학비평가, 마르크스 문학비평가, 라캉주의자, 신역사학자, 탈구조주의, 기호학자들을 예로 들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단테 알리기에리 제프리 초서 미겔 데 세르반테스 미셸 드 몽테뉴 몰리에르...
루이 알튀세르, 장 보드리야르, 시몬 드 보부아르, 엘렌 식수, 질 들뢰즈,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펠릭스 가타리, 뤼스 이리가레, 쥘리아 크리스테바, 자크 라캉,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자크 랑시에르, 모니크 위티그. 미국의 학자들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주디스 버틀러, 가야트리...
도출해냈다. 또한 생물체들이 자신만의 기호 세상에서 적응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것에 대한 연구인 생물기호학도 있다. 롤랑 바르트 자크 데리다 테리 이글턴 움베르토 에코 미셸 푸코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 자크 라캉 존 로크 유리 로트만 찰스 윌리엄 모리스 장자크 나티에 찰스 샌더스 퍼스 토머스 세벅 전거 통제
베크 움베르토 마투라나 위르겐 하버마스 윌리엄 라보프 윌리엄 푸트 화이트 이매뉴얼 월러스틴 이븐 할둔 이폴리트 텐 일리야 프리고진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자크 엘륄 장 보드리야르 장 지글러 장 피아제 장자크 루소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제1대 패스필드 남작 시드니 웹 제인 애덤스 제프리 C. 알렉산더 조나단 H...
라후어(Lahu)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중국 윈난성 라캉라후족 자치현의 공용어이다. 중국 밖에는 타이, 미얀마, 라오스 등지에서 사용한다. 사용인구는 약 57만명에 달하며, 주로 라후족들이나 윈난 성 소수민족들 사이에도 쓰인다. 중국에서 공식적 지위를 갖고 있는 것과 달리, 타이, 미얀마, 라오스등...
주체에 대한 신뢰, 곧 이성적 주체로서의 자기 확신이라는 근대적 믿음에 종지부를 찍는 일에 해당된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이론적 틀은 단지 정신의학의 영역에 그치지 않고 라캉, 마르쿠제, 지젝 등 중요한 계승자들에 의해 심화되어,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들을 성찰케 해주는 유효한 시각을 제공해주고 있다...
벨로캉은 벨로키우키우니 왕조에서 클리푸니 왕조로, 103호 왕조로 교체된다. 벨로캉은 고대 수메르어로 여기에 그곳이 있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라숄라캉 - 벨로캉 연방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도시 지울라캉 요뒬루바이캉 - 벨로캉 연방 도시들 중 곡물을 제일 많이 생산하는 도시. 카마일캉 리비우캉 - 연지벌레의...
그의 저작들은 퀴어학의 학문적 정립에 도움을 주었다. 그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데, 퀴어 수행성, 실험적 비판적 글쓰기, 마르셀 프루스트, 비-라캉 정신분석학, 아티스트 북, 불교와 교육학, 실반 톰킨스와 멜라니 클라인의 정동 이론, 직물과 질감을 다룬 물질 문화 등이다. 그는 여성주의학과 미셸 푸코...
독일어 구 Herrschaft und Knechtschaft에서 온,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정신 현상학의 유명한 구절에 대한 일반적인 이름이다. 그것은 널리 헤겔의 철학적 제도의 핵심 요소로 간주되고, 매우 많은 후속 철학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주인의 담론 (자크 라캉) 헤겔주의와 청년 헤겔주의 주인-노예 도덕 역사철학
선구자로 꼽히게 되었다. 태국 귀국 후인 1957년에 다시 전국 미술전에서 금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미술품 복구가로서도 활동하여 라마 1세 시절 건립된 왓 라캉의 삼장각(三藏閣) 복구 작업에 종사하는 등 수많은 사원의 복구에 힘썼다. 1991년 시리랏 병원에 입원하여, 1993년 뇌혈관염으로 사망하였다. 태국 쁘라닛...
경우가 많지만, 동성에게도 물론 사용된다. 원인에 관해서는 여러 심리학자가 가설을 제기하고 있지만 아직 정설로 인정된 것은 없다. 정신분석가인 자크 라캉은 '가족 복합'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남자 아이는 처음 모친에 대해서 성애(性愛)를 향하려고 하지만 그때 모친이 실제로는 부친을 보고 있는 것을...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느끼는 아웃사이더들(eccentrics)은 사실 고통스런 마음을 털어내고 현실로 돌아가는 데에 실패한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은 자아가 동일시의 결과라는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벗어나, 자아는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에서(in the coming-into-being of the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