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대영 정간(貞簡), 成大永
    갑과로 급제하여 동부승지·사간원대사간을 지냈다. 그뒤 1887년에 이조참의와 성균관대사성, 1892년 대거승지(對擧承旨), 1895년 관세사장(管稅司長), 1897년 중추원의관, 1902년에는 궁내부특진관과 독옥보관(讀玉寶官) 및 장례원경(掌禮院卿)·부묘도감제조(祔廟都監提調)를 지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출생 :
    1829년(순조 29)
    사망 :
    미상
    경력 :
    동부승지, 사간원대사간,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대거승지, 관세사장,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독옥보관, 장례원경, 부묘도감제조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창녕(昌寧)
  • 이혁유 정간(貞簡), 李奕蕤
    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가 되었다. 문벌귀족가문에서 성장하였으나 교만하지 아니하여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무신정변에도 화를 입지 않았다. 그러나 만년에 천첩을 얻어 가도를 문란하게 하였고, 죽은 뒤에는 자손간에 재산을 둘러싼 송사가 계속되었으므로 비난을 받았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192년(명종 22)
    경력 :
    직문하성(直門下省), 참지정사(參知政事),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인주(仁州, 지금의 인천시)
  • 정간 晶桿體, crystalline style
    거의 대부분의 이매패류 및 복족류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 소화관 속의 반투명한 젤라틴모양의 봉상체(棒狀體). 소화효소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그 공급의 주체이다. 여과섭식(濾過攝食)을 하는 조개류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 정간 King Jeonggan, 王基 (高麗)
    4일)은 현종의 넷째 아들로, 고려 전기의 왕족, 문신이며 추존 제후왕이다. 생전의 작위는 개성국공(開城國公), 평양공(平壤公)이었다. 훗날 왕으로 추존되고 정간(靖簡)의 시호를 받았다.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본명은 왕기(王基)이다. 1021년(현종 12년) 8월 25일, 현종과 원혜왕후의 아들로 연덕궁에서 태어났다...
    도서 위키백과
  • 장백정간
    장백정간(長白正幹)은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함경북도의 지형을 두만강 유역과 동해안 유역으로 갈라놓은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장백정간을 이루는 산은 『산경표(山經表)』에서 장백산(長白山)·마유산(馬踰山)·거문령(巨門嶺)·계탕령(契湯嶺)·차유령(車踰嶺...
    도서 위키백과
  • 정간 鄭幹鎔
    인물 정보 정간용(鄭幹鎔, 1922년 5월 9일~2003년 8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7·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전남 완도군 약산 초등학교 일본 경도 평안중학교 졸업 동경 일본대학교 법과 졸업 전남 서중 교사 전남 완도군 수산고등학교 교감 민주공화당 완도지구당 사무국장 민주공화당 전남지구 조직부장 선거...
    도서 위키백과
  • 정간보 井間譜
    음의 길이를 나타낸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정간보는 세종이 직접 창안한 것으로 보이고, 그 시기는 대략 1445~47년으로 추정된다. 세종 때의 정간보는 32정간이 1행(行, 角, 장단)이고 1정간은 1박(拍)에 해당하며 각 정간에는 율명(律名)의 첫자만을 기록하여 음고를 나타냈다. 〈세종실록〉 악보 중 〈정대업 소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화태 和泰
    악보 1행에 노랫말 2구씩 총 6행에 걸쳐 부른다. 음악은 제1강에서 시작하는 당악(唐樂) 양식이며, 노랫말 1구(악보 반행)마다 6대강째에 박(拍)을 친다. 장단은 32정간 2행 단위로 세 번 반복된다. 선율은 남려궁 평조, 즉 탁남려〔㑲〕 · 탁응종〔㒣〕 · 태주〔太〕 · 고선〔姑〕 · 유빈〔蕤〕의 5음 음계이다...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정간보 강보(腔譜), 井間譜
    필요했던 이유는, 조선 개국 초에 대대적으로 궁중음악을 정비하면서 수많은 악곡을 단시간에 제정하고 정착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세종식 정간보는 1행이 32정간이며, 1행은 다시 2~6개의 소행(小行)으로 나뉘어 현악 선율, 관악 선율, 장구, 박(拍), 노랫말, 노래 선율 등을 적어 넣을 수 있게 했다. 선율은 율명(律名...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발상 發祥
    이루어져 있는데 태조가 잠저(潛邸:왕이 되기 전)에 있을 때 꿈에 신인(神人)으로부터 금척(金尺)을 받았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발상의 11곡은 모두 32정간(井間) 외 정간보에 율자보(律字譜)로 기보되었으며, 장고보(杖鼓譜:장고 악보) 및 악장의 가사가 총보(總譜) 형식으로 기보되었다. 각 악장의 4언 1구에 박...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세종 연간
    성격 :
    국악곡, 무곡(舞曲)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만대엽 慢大葉
    금합자보』의 만대엽이 가장 오랜 것이며, 그 원형으로 추정된다. 이 『금합자보』의 만대엽은 오늘날의 가곡처럼 5장과 여음을 갖춘 형식을 보여주는데, 한 정간(井間)을 한 박(拍)으로 한다면 각 장의 길이와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1장 32박 ‘오ᄂᆞ리 오ᄂᆞ리나’, 2장 29박 ‘ᄆᆡ일에 오ᄂᆞ리나’, 3장 51박 ‘졈므디도...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백두대간 白頭大幹
    국토를 상징하는 산줄기로서 함경도·평안도·강원도·경상도·충청도·전라도에 걸쳐 있다. <산경표(山經表)>에 보면 한국의 산맥은 1개 대간, 1개 정간, 13개 정맥의 체계로 되어 있고, 이러한 산경개념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선의 굵기 차이로 산맥의 규모를 표시했는데 제일 굵은 것은 대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정간(coffer)
장백정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