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그레고리 박기석
    1896년 러시아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Никольск-Уссурийск)에서 태어났다. 한국 이름은 박기석(朴基錫)이다.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까지 한인마을 중파타시의 촌장으로 근무하며 신망을 얻었다. 1919년 만세운동 이후 민족운동에 투신하여 황병길(黃炳吉) 등 한인...
    출생 :
    1896년, 러시아
    사망 :
    1929년
    관련 사건 :
    자유시사변, 연해주해방전쟁
    주요활동 :
    1919년 연해주 만세운동 참여, 1921년 서간도 독립단 부대를 인솔 자유시로 이동
    포상훈격 :
    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독립단, 대한의용군
  • 김규식 노은, 金圭植
    지휘하였고, 관할 지역은 포시에트 훈춘구역이었다. 10월 연해주 백위파 잔당을 몰아내는 최후 전쟁에 총사령관으로 참전하여, 니콜스크-우수리스크 전선에서 러시아 적군의 우수리스크를 점령 전투를 지휘하였다. 1922년 11월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 총사령부 편제를 개편할 때 군정위원장 최호림, 기병대장 이범석 등...
    출생 :
    1882년 1월 15일, 경기도 양주(楊州)
    사망 :
    1931년 3월 23일
    관련 사건 :
    후기의병, 대한독립선언서
    본관 :
    김해(金海)
    주요활동 :
    1907년 허위 의병부대에 참가, 1919년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1920년 북로군정서 소속으로 청산리 전투 참가, 1922년 고려혁명군 총사령관, 1925년 신민부 참가, 1927년 신민부 군사부 위원, 1926년 고려혁명당 중앙위원, 1930년 한국독립당 부위원장
    포상훈격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13도창의대진소, 북로군정서, 고려혁명군, 신민부, 고려혁명당, 한국독립당
  • 제88독립보병여단 88th Separate Rifle Brigade, 第88独立狙撃旅団 ..
    동북항일연군 소속의 조선인과 중국인들은 국경을 넘어 소련으로 도피하였다. 1940년부터 1941년초까지 소련으로 망명해온 항일연군들은 보로쉴로프(오늘날의 우수리스크) 근처의 남야영(南野營)과 하바로프스크 동북쪽 70km가량 떨어진 아무르 강변 뱌츠코예(Вятское) 마을의 북야영(北野營) 두 곳에 분산 수용...
    도서 위키백과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행정 구역 Administrative divisions of Pri..
    레소자보츠크(Лесозаводск) 나홋카(Находка) 파르티잔스크(Партизанск) 스파스크달니(Спасск-Дальний) 우수리스크(Уссурийск) 군 아누친스키군(Анучинский) 달네레첸스키군(Дальнереченский) 카발레롭스키군(Кавалеровский...
    도서 위키백과
  • 최재형 (독립운동가) 崔在亨 (独立運動家)
    교육가, 사업가, 독립운동가, 언론가 등 다양한 길을 걸으며 오로지 한인들을 위해 살았고 엄청난 자금을 독립운동에 쏟아부었다. 여건이 나빠진 최재형은 우수리스크의 한 초라한 집에서 지내다가, 1920년 러시아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연해주에 침입한 일본군에 의해 1920년 4월 체포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김문필 金文弼
    1893년경에 태어났으며, 출신지와 성장 배경은 알려지지 않는다. 북간도(北間島)에서 독립군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2월 25일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Nikolsk-Ussurysk에서 결성된 국민회 훈춘 지부는 이광택(李光澤) ・ 황병길(黃丙吉) 등을 중심으로 한민회(韓民會)로 개편되었다. 1920년 구춘선(具春先)을 중심...
    출생 :
    1893년, 미상
    사망 :
    1920년 11월 8일
    주요활동 :
    1920년 한민회 모험대원으로 통신 업무를 담당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한민회(韓民會)
  • 김병수 金炳洙
    吉林省) 훈춘현(琿春縣) 판석구(板石溝)에 거주하면서 독립군으로 활동하다가, 일본군과의 교전중에 사망하였다. 1919년 2월 25일 러시아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Nikolsk-Ussurysk에서 문창범(文昌範) ・ 김철훈(金哲勳) 등이 중심이 되어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를 결성하였다. 대한국민의회는 러시아 거주...
    출생 :
    1889년
    사망 :
    1920년 11월 30일
    주요활동 :
    중국 지린성 훈춘현에서 한민회 일원으로 독립군 활동을 전개, 1920년 11월 30일 일본군과의 교전중에 순국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한민회
  • 나정화 羅正化, 羅正華
    조직하였다. 이를 위해 채덕승과 더불어 단원 60여 명을 모집한 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이동휘(李東輝)와 협의 후 단원을 러시아령 우수리스크에 이동시켰다. 5~6월경에는 룽징촌에 감독자를 두고, 캐나다 장로파의 기독교 신자를 중견(中堅) 회원으로 하여 육도구(六道溝) ・ 동구(東溝) ・ 훈춘 평야 및...
    출생 :
    미상
    사망 :
    1920년
    관련 사건 :
    3・1독립선언 축하 민중대회, 삼도구 전투
    주요활동 :
    1919년 조선독립기성회 회원, 대한국민회 통신반장, 1920년 간북북부총판부 참사
    포상훈격 :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조선독립기성회, 대한국민회, 간북남북총판부
  • 강석기 순서, 姜錫箕
    그해 여름 나철을 대신해 교도들을 인솔하고 백두산 최고봉에 올라가 피를 뿌리며 단군(檀君)에게 구국제천(救國祭天)을 올렸다. 이해 겨울 러시아 우수리스크(蘇王嶺)에 망명 중인 이상설(李相卨, 1870~1917)의 초빙으로 대종교 포교를 위해 러시아 동포 사회를 순회하였다. 1915년 지린성(吉林省) 안투현(安圖縣) 토호...
    출생 :
    1860년 6월 27일, 충청남도 부여
    사망 :
    1931년 2월 13일
    관련 사건 :
    3・1운동, 강철구 군자금 모집 사건
    본관 :
    진주(晉州)
    주요활동 :
    1906년 고향에 천영학교 등 건립, 1909년 대종교의 핵심적 인물로 활동, 1913년 중국 화룡현 청파호로 망명, 1914년 백두산에서 구국제천의식 거행, 1919년 3・1운동에 연루되어 용정 일본영사관에 체포, 회령감옥에 구금, 1920년 서울에서 대종교 남도본사를 재건, 국내 종단 활동, 1922년 9월 태평양회의에「군축회의에의 한국청원서」를 연명 제출, 그해 겨울 아들 강철구의 군자금 모집 사건으로 동대문경찰서에서 조사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박병길 박 바실리 페트로비치, 朴秉吉
    자료의 한계로 정확한 출생시기와 출신지는 확인되지 않지만, 러시아 극동 연해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명은 박 바실리 페트로비치(Пак Василий Петрович)이다.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국비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례(尼港)의 광산기술학교에 입학하였다. 같은...
    출생 :
    미상, 러시아
    사망 :
    1921년 1월 28일
    관련 사건 :
    고려청년동맹, 니항부대, 자유대대
    주요활동 :
    1917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한인회 서기, 1918년 고려청년동맹 조직, 1920년 니항부대 조직
    포상훈격 :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고려청년동맹, 니항부대, 자유대대
  • 한국문화원 Korean Cultural Centers, 韓國文化院
    문화원)JPN - 도쿄(주일 한국문화원). 오사카(주오사카 한국문화원)PHI - 메트로 마닐라 타기그(주필리핀 한국문화원)VNM - 하노이(주베트남 한국문화원)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분원), 사할린한인문화센터(분원)SWE - 스톡홀름(주스웨덴 한국문화원) BRA - 상파울루(주브라질 한국문화원)MEX - 멕시코시티(주멕시코...
    도서 위키백과
  • 극동 연방 대학교 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 極東連邦大学
    대학 설립 1920년: 국립극동대학교로 개편 1939년: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폐교 1956년: 재개교 2010년: 태평양국립경제대학교, 극동국립기술대학교, 우수리스크국립교육대학교와 통합, 극동연방대학교 체육, 스포츠 학부 블라디보스토크 국제 관계 대학 외국어 대학 화학, 응용 생태학 대학 환경 대학 국제 관광·환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6건

우수리스크(Ussuriysk)
이상설 유허비(연해주 우수리스크)
연해주 우수리스크 푸틸롭카 마을 입구
우수리스크의 최재형 집과 기념동판
우수리스크의 최재형 집과 기념동판
얀치헤 부근 지도(1937년 일본군 남 우수리스크 지방 첩보 지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