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차원 격자 속의 입자 Particle in a one-dimensional lattic..페니 모델은 유한한 주기적인 전위장벽들로 구성된 단순하고 이상적인 양자역학적 시스템이다. 이 모델의 결과로 주기 격자(periodic lattice)에서 전자의 양자...주기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퍼텐셜(potential)이 주기적인 모양이 된다. 슈뢰딩거 파동방정식과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얻은 해로부터 에너지 허용 영역과...도서 위키백과
-
드 브로이-봄 이론 De Broglie–Bohm theory, ボーム解釈해석방법 중의 하나이다. 봄 해석의 다른 이름으로는 파일럿 파동 이론, 봄 역학, 드 브로이-봄 이론, 인과률적 해석 등이 있다. 봄 해석에서는 여러 가지 가능...가이드 함수(guiding function)를 통하여 파동함수로 정의된다. 파동함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드 브로이-봄 이론은 루이...도서 위키백과
-
클라인-고든 방정식 Klein–Gordon equation, クライン-ゴルドン方程式장은 슈뢰딩거 방정식처럼 단입자의 확률 진폭으로 해석할 수 없는데, 이는 이 방정식이 시간에 대하여 2차 편미분 방정식이어서 음의 에너지가 존재하고, 또 확률 흐름을 보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파인먼-슈튀켈베르크 해석(Feynman-Stückelberg interpretation)에 따라, 시간에 대해 앞뒤로 전파하는 입자에...도서 위키백과
-
데이비슨-거머 실험 Davisson–Germer experiment, デイヴィソン=ガーマ..데이비슨과 레스터 거머가 한 실험으로, 전자같은 입자들이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드브로이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파동-입자 이중성의 증거는 역사적으로 양자 역학과 슈뢰딩거 방정식의 발달에 중요하였다. 1924년 루이 드 브로이는 모든 물질이 광자의 파동-입자 이중성을 보인다는 제안을 담은 논문을 발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