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순동복연둔리숲정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마을 앞에는 1600년경에 둔동보가 조성되면서 마을을 보호하고자 인공으로 만든 숲이다. 동복천을 따라 물가에 심어진 아름드리 수양버들 나뭇가지가 동복호수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 같은 장관을 연출하여 2002년 ‘아름다운 마을 숲’에 선정되었다. 느티나무, 서어나무, 검팽나무, 왕버들로...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둔리 46-3
  • 홍양저수지(빼뽀저수지)
    홍양저수지는 1945년에 준공된 홍성군에서 제일 큰 저수지로 금마면에 위치하고 있다. 모양이 고구마처럼 길쭉하고 주변에 수양버들이 우거져 있어 경관도 아름답다. 홍양저수지는 현재도 농업용수 보호구역이며 어종이 풍부하여 낚시터로도 인기가 많다. 저수지 수변을 따라 4.3km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대략...
    위치 :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 함평천수변공원
    엑스포 공원과 연결되어 있어 엑스포 공원에 주차하고 주차장을 지나면 수변공원과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은 물가에 조성된 공원으로 다른 곳보다 수양버들이 많이 있는 곳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수목들이 있어 사계절 다른 모습으로 여행객들을 부르는 곳이다. 봄에는 파릇한 새싹들과 함께 노란 유채꽃이 가득...
    위치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수호리
  • ‘충혼’의 수양벚꽃 마중하는 호젓한 꽃길
    현충탑까지 이어지는 겨레얼마당 주변으로 벚꽃이 연분홍빛 수를 놓는다. 현충원에서는 나라를 위해 꽃잎처럼 스쳐간 선열의 의미를 되새기며, 요란하거나 북적이지 않게 봄을 음미할 수 있다. 특히 수양벚나무는 수양버들처럼 양 옆으로 길게 가지를 늘어뜨리는 것이 특징이라 다른데서 만나기 힘든 모습을 연출한다.
  • 노량진제1동 鷺梁津第1洞
    노량진제1동 동명은 노량진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노량진동은 백로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수양버들이 울창하여 노들나루라 하였다고 한다. 1947년 6월 서울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가 실시될 때 영등포구 노량진동회가 설치되었고,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노량진제2동 鷺梁津第2洞
    노량진제2동 동명은 노량진동이 분동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노량진동은 백로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수양버들이 울창하여 노들나루라 하였다고 한다. 1947년 6월 서울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가 실시될 때 영등포구 노량진동회가 설치되었고,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노량진동 鷺梁津洞
    노량진동 동명은 白鷺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수양버들이 울창하여 노들나루라 하였다고 한다. 노량진동은 조선시대 말까지 경기도 과천군 하북면 신촌분리・옹점리・옹막리・고등리 지역이었으며,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와 동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한 경기도 구역획정...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노량진동 鷺梁津洞
    노량진동 동명은 백로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수양버들이 울창하여 노들나루라 하였다고 한다. 1947년 6월 서울시령 제2호로 동회제도가 실시될 때 영등포구 노량진동회가 설치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실시되면서 동회가 폐지되고 노량진동이 설치...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도둑에게 빼앗긴 아내 찾기」
    뒤, 어딘가에 배를 댄 총각은 배꾼들에게 석 달 열흘이 지나도 자신이 돌아오지 않거든 알아서 돌아가라고 하고서 길을 떠났다. 총각이 마을에 들어가 우물 옆 수양버들에 올라가 앉아 있으니, 처녀의 종이 물을 길으러 왔다. 총각이 수양버들 잎을 뜯어 떨어뜨리자 종이 나무 위를 올려다봤다. 총각을 발견한 종은 총각...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황오색나비 노랑오색나비
    한다. 암수 모두 참나무 등의 수액에 잘 모이며, 암컷은 잎 윗면에 한 개씩 산란한다. 2~4령 애벌레 상태로 식수 줄기의 갈라진 틈에서 월동한다. 식수 수양버들, 갯버들, 호랑버들(버드나무과) 변이 오색나비와 마찬가지로 자색형과 황색형이 있다. 뒷날개 윗면의 흰색 대의 폭과 굴곡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형으로 구별...
    분류 :
    네발나비과(Nymphalidae) > 네발나비아과(Nymphalinae)
    학명 :
    Apatura metis Freyer, 1829
    분포지역 :
    한반도(제주도 제외), 유라시아 대륙
    출현시기 :
    6~10월 〈연 1~3회 발생〉
  • 버드나무속 Willow, ヤナギ
    나무속은 말피기목 버드나무과의 한 속이다. 전 세계적으로 3500여 종의 식물이 속해 있다. 모식종은 흰버들(Salix alba)이다. 한국에는 아래의 종이 서식한다.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L.) 매자잎버들 (Salix berberifolia Pall.) 긴잎매자잎버들(Salix berberifolia var. brayi Trautv. ex Herder) 쌍살버들...
    도서 위키백과
  • 감전 야생화 단지 甘田 野生花 團地
    주요 시설로는 하우스 2동, 관리사 1동이 있다. 야생화는 벌개미취 등 62종 100만 여 본이 있으며, 수생 식물은 노랑어리연꽃 등 10여 종, 무궁화 2,250주, 수양버들 250주가 식재되어 있으며, 강물의 범람을 고려하여 물에 강한 60여 종의 야생화가 전시되어 있다. [현황] 감전 야생화 단지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9건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수양버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