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량 청관 거리 草梁 淸官 거리외국 선원과 미 군함의 병사들이 찾아들면서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관광 상품 거래의 명소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는 러시아의 선원과 보따리 장사들이 이곳을 찾게 되어 일대 성업을 이루었다. 1993년 중국 상하이 시와 부산직할시가 자매결연을 한 것을 계기로, 1999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총...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지섣달에 홍시 구한 효자」 冬至섣달에 紅柿 求한 孝子가져가면 어찌 효도라고 하겠느냐.”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 집 주인은 안 그래도 올해는 저장해 놓은 감이 하나도 안 썩어서 많이 있다고 하며 홍시를 한 보따리 싸 주었다. 효자가 홍시를 들고 밖으로 나오자 기다리던 호랑이가 나와 또 자기 등에 타라고 했다. 그러더니 어느 순간에 집 앞까지 데려다 주고는 가...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창신동 1·2가 昌新洞 一·二街함]’이라는 노점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국제 시장에는 해방 이후 일제가 철수하면서 이른바 전시 통제 물자가 쏟아져 나왔고, 일본인에게 압수한 짐 보따리가 경매를 통해 무더기로 거래되기도 하였다. 이후 6·25 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이곳을 중심으로 미군에서 흘러나온 군수 물자와 온갖 밀수입 상품을 팔았다고...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중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근친상간 이야기」 近親相姦 이야기열심히 일해 돈 모은 지가 일곱 달쯤 되었는데 과부의 배가 불러오는 것이었다. 아들은 어머니가 아이를 배었으니 처녀를 데리고 도망갈 수도 없어서 혼자서 보따리를 싸 도망을 가 버렸다. 그러고 나서 19년이 지난 뒤에야 아들은 비로소 어머니가 자신의 병을 고치기 위해 거짓말을 한 것임을 깨달았다. 후회하며 고향...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시신을 세워서 묻는 명당」 屍身을 세워서 묻는 明堂들어왔다. 아들은 처녀를 돌려보내려고 했지만, 처녀는 말을 듣지 않았다. 그날 밤의 인연으로 자식이 생긴 두 사람은 부부가 되었다. 어느 날은 부인이 보따리 하나를 이고 와서 그 안에 있는 돌덩이를 시장에 가서 팔아오라고 했다. 남편은 부인이 시키는 대로 시장에 가서 돌을 내다 놓고 팔았다. 그를 보는 사람들이...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안창고 프로젝트 雁窓庫 프로젝트잊혀져갈 마을의 골목길을 문화 소통의 통로로 삼아 기억의 보존과 찾아가는 예술을 실천하는 것 등의 테마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아기를 업고 머리에 보따리를 이고 있는 누나와 그 뒤를 따르는 남동생, 화폐 벽화, 마을 주차장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해수욕장에서 놀이를 하는 장면, 소파와 장롱, 새장 등이 구성...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부산 자유 도매 시장 釜山 自由 都賣 市場[건립 경위] 6·25 전쟁 때 북한에서 피난을 온 보따리 상인들이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모여 들면서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곳 상인들이 1968년 12월에 부산 자유 상가를 설립하고, 1969년 9월에 단층 건물의 준공 허가를 얻어 시장을 개장하였다. [변천] 1975년 12월 23일에 부산 자유 시장으로 시장 등록을...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거침없는 우다다학교 거침없는 우다다學校정규 교과와 프로젝트 교과가 있다. 정규 교과는 지식 학습, 예체능 심리 학습, 현장 학습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트 교과는 농촌 봉사 활동, 자원 봉사 활동, 보따리 수업, 참 아름다운 도전, ‘일 더하기 일은? 일!’, 일본 국제 교류 사업, 도보 여행 프로젝트, 인턴쉽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외에 각종 행사가...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