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인문 인수, 金仁問
    으로 삼아 신라로 쳐들어왔으나, 문무왕이 형식상 사죄사(謝罪使)를 보내어 사태를 수습했다. 만년 그뒤 계속 당나라 수도에 머물렀고 679년 진군대장군 행우무위위대장군(鎭軍大將軍行右武威衛大將軍), 690년(신문왕 10)에 다시 보국대장군 상주국 임해군 개국공 좌우림군장군(輔國大將軍上柱國臨海君開國公左羽林軍...
    출생 :
    629(진평왕 51)
    사망 :
    694(효소왕 3)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에조 정벌의 영웅,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 坂上田村麻呂
    무인으로 꼽히는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는 50대 간무 천황 시대에 에조를 정벌하고 구스코의 난을 평정한 영웅이다. 그는 생전에는 국가를 수호하는 대장군으로 존경받았고, 죽은 후에는 국가에 위태로운 일이 있을 때마다 그의 묘가 흔들린다는 등 국가의 수호신으로서 수많은 전설을 만들어 냈다. 그는 758년 사카노...
    출생 :
    758년
    사망 :
    811년
    국적 :
    일본
  • 정중부의 난
    따라 정치기강이 문란해지고 국가재정이 낭비되었으며, 백성들로부터의 착취가 가중되었고, 무인들에 대한 천대도 극에 달했다. 그리하여 1170년 8월 무인인 대장군 정중부는 의종이 문신들과 보현원에 가게 되었을 때 이의방·이고와 함께 거사를 일으키기로 모의했다. 왕이 보현원에 가는 도중 5문 앞에서 시신들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유존혁 劉存奕
    4대 집정자인 최의(崔竩)를 죽이고 왕정복고를 이룩했던 사건을 말한다. 이때 세운 공로로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 同力輔佐功臣]에 책록(策錄)되었고, 대장군(大將軍)으로 승진한 것으로 보인다. 1270년(원종 11) 6월 장군 배중손(裴仲孫)을 비롯한 장수들이 강도(江都) 정부의 개경 환도(開京還都) 및 원종(元宗...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이지순 李至純
    명종 23)에 김사미(金沙彌)와 효심(孝心)이 각각 운문(雲門: 현, 경상북도 청도군)과 초전(草田: 현, 울산광역시)에서 난을 일으켰을 때, 장군(將軍)으로서 대장군(大將軍) 전존걸(全存傑)의 지휘 아래 난을 진압하기 위하여 파견되었다. 『고려사』에서는 이의민이 신라 부흥에 뜻을 두고 경주 출신인 반적(叛賊)들과...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김인문 인수(仁壽), 金仁問
    을 함락시킬 수 있었다. 665년에 숙위하던 김문왕이 죽자, 제5차로 당나라에 가서 이듬해 당나라 고종(高宗)을 따라 태산에 가서 봉선을 했으며, 그 때 우요위 대장군(右요衛大將軍)이 되었다. 666년에는 삼광(三光)·한림(漢林)과 숙위를 교체하고 귀국하여 이적(李勣)의 고구려 정벌을 위해 신라측이 협조할 사항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629년
    사망 :
    694년
    경력 :
    대당총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평양성 함락
    직업 :
    장수, 외교관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신숭겸 고려 초기의 장군
    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기병대장으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918년에 고려를 개국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개국공신 1등에 봉해지고, 대장군이 되었다. 927년(태조 10) 견훤이 이끄는 후백제군과 공산(公山:지금의 경북 달성군 팔공산) 동수(桐藪)에서 전투가 벌어졌을 때 대장군으로 군사를...
    출생 :
    미상
    사망 :
    927(태조 10)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본관 :
    평산(平山, 지금의 황해도 평산군)
  • 무신 정권을 세운 사람들, 이의민 vs 최충헌
    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무술인 택견의 원형으로, 두 사람이 손을 맞대고 서로 겨루는 무술이에요. 의종은 심심하여 이 무예를 무신들에게 시켰는데, 대장군 이소응이 부하 장수와의 대결에서 맥없이 져 버렸어요. 이때 젊은 문신 한뢰가 득달같이 달려 나와 백발이 성성한 이소응의 뺨을 냅다 갈겨 버렸어요...
  • 고질묘지 高質墓誌
    이품(二品) 막리지(莫離支)였으며, 부친 고량(高量)은 삼품(三品) 책성도독(柵城都督) 위두대형(位頭大兄) 겸 대상(大相)이었다. 고질은 삼품 위두대형 겸 대장군이었는데, 고구려와 당의 전쟁 때 형제를 이끌고 당으로 귀화하였다. 당에서 669년부터 690년대 초까지 명위장군(明威將軍) 행우위익부좌랑장(行右衛翊府左...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묘지명
    유형 :
    유물
    크기 :
    가로 88㎝, 세로 88㎝
    재질 :
    제작시기 :
    700년
    분야 :
    역사/고대사
    소장/전승 :
    중국 낙양(洛陽) 천당지재(千唐誌齋)
  • 이군 二軍
    보인다. 2군은 친위군으로 왕의 근시(近侍)를 담당했는데, 동일한 기능을 가진 집단을 둘로 나눈 이유는 불분명하다. 2군에 소속되어 있는 상장군(上將軍)과 대장군(大將軍)을 각각 ‘근장상장군(近仗上將軍)’, ‘근장대장군(近仗大將軍)’이라 불렀고, 장군은 ‘친종장군(親從將軍)’, 중랑장(中郎將) 이하는 ‘근장...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아시카가씨의 집권
    갓 수립된 교토의 정부를 크게 당황케 하였다. 가마쿠라 함락 소식을 들은 다카우지는 마음 속으로 ‘드디어 좋은 기회가 왔다.’고 외치며 자신이 정이대장군이 되어 도키유키를 토벌하겠다고 조정에 청원하였다. 그러나 고다이고 천황은 이를 거부하고 8월 1일 나리나가 친왕을 정이대장군에 임명하여 호죠씨 토벌을...
  • 장자방전 張子房傳
    패(沛)에서, 항우가 오(吳)에서 각각 군사를 일으킨다. 특히 항우는 지략가 범증(范增)을 얻은 뒤 초나라 회왕(懷王)의 후손을 임금으로 세우고, 진나라의 대장군 장한(章邯)과 싸워 항복을 받는다. 이에 회왕은 항우와 유방을 각각 노공(魯公)과 패공(沛公)으로 삼은 뒤, 동서로 진나라를 공격하여 먼저 함양(咸陽)에...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산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방어대장군
진서대장군
삼한벽공도대장군목상
남원 서천리 당산 진서대장군
〈마징가 제트 대 암흑대장군〉을 한국식 코믹스 버전으로 각색한 이세호 작가의 『마징가 제트, 그레이트 마징가와 합동 작전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