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창손 鄭昌孫
    2등에 책록되었으며 궤장을 하사 받았다. 1458년부터 1459년까지, 1461년부터 1462년까지, 1475년부터 1485년까지 의정부 영의정을 지냈다. 관직은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에 이르렀다.사후 청백리에 녹훈되었다. 광해군과 인조 때의 청백리 이원익의 외가 선조이기도 하다. 본관은 동래이고, 자는 효중(孝仲), 호...
    도서 위키백과
  • 경녕군 Prince Gyeongnyeong
    형제의 정을 생각하여 그를 벌하지 않았으며 이듬해에는 출입을 금한 것을 풀어주었다.1425년(세종 7년) 숭록대부(崇祿大夫)와 1430년(세종 12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 지위에 올랐다. 1433년(세종 15년) 경녕군의 집 기둥에 벼락이 쳐서 세종이 해괴제(解怪祭)를 지내기도 했다.《세종실록》 59...
    도서 위키백과
  • 김국광
    서정을 처리하였고, 예종 사후 원상의 한 사람으로 의경세자의 차남이었던 자을산군 이혈의 즉위를 지지하였다. 1470년(성종 1년) 보국숭록대부로 승진했다가 다시 대광보국숭록대부 우의정으로 승진, 성종의 책봉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좌의정을 지내고 1471년(성종 2년)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이 되고 광산...
    도서 위키백과
  • 목첨
    공로로 순충보조공신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고 사천군에 봉해졌다가 목장흠이 다시 익사원종공신 1등의 서훈을 받자 다시 순충보조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에 추증되고 사천부원군에 추봉되었다. 1546년과 1556년 두 번 과거에 급제하였다. 본관은 사천...
    도서 위키백과
  • 황 (성씨) Hwang (surname), 黄 (朝鮮人の姓)
    黃君瑞)는 고려에서 자헌대부(資憲大夫) 판강릉대도호부사(判江陵大都護府使)를 지냈고, 조선의 명재상 황희(黃喜)의 아버지이다. 사후, 조선에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로 추증되었다. 영의정부사는 영의정의 이전 명칭이다. 4세조 황희(黃喜)는 조선에서 영의정 18년, 좌의정...
    도서 위키백과
  • 정1품 正一品
    貴妃)·숙비(淑妃)·덕비(德妃)·현비(賢妃) 및 외명부(外命婦)의 공주·대장공주(大長公主) 등이 있었다. 조선의 정1품의 품계 문산계 종친 의빈 상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현록대부顯祿大夫 수록대부綏祿大夫 하계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흥록대부興祿大夫 성록대부成祿大夫 1865년(고종 2년)에...
    도서 위키백과
  • 김병지 (1830년) 金炳地
    한성부판윤으로 부임하였다. 고조부 : 증 의정부좌찬성 김달행(金達行) 증조부 : 서흥부사 증 의정부영의정 김이중(金履中) 할아버지 : 보국숭록대부 영돈령부사 양관대제학,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영안부원군 김조순(金祖淳), 아버지 : 이조참판 김원근(金元根) 부인 : ? 아들 : 김석규 사위 : 서광범(徐光...
    도서 위키백과
  • 조선의 품계 朝鮮王朝位階
    수 있었다. 구분 품계 상하품 종친 의빈 양반 잡직 토관 문관 무관 문관 무관 문관 무관 당상관 정1품 상 현록대부(顯祿大夫) 수록대부(綏祿大夫)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하 흥록대부(興祿大夫) 성록대부(成祿大夫)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1품 상 소덕대부(昭德大夫) 광덕대부(光德大夫) 숭록대부...
    도서 위키백과
  • 마천목
    도총제(都摠制),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숭록대부(崇祿大夫)로 장흥부원군(長興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사후 세종이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綠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으로 추증하였다.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방송리에 위치한 마천목 묘와 재실이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로...
    도서 위키백과
  • 윤사흔
    같은 해 8월에는 공조판서(工曹判書)로서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겸임하였다. 1466년 지중추부사, 1468년 숭록대부를 거쳐 1469년(예종 1) 보국숭록대부가 되었다. 성종이 즉위하던 1469년 12월 대광보국숭록대부로 승진되면서 행판중추부사로 전임되었다. 성종을 옹립하여 국가를 안정시켰다는 공로로 1471년(성종 2...
    도서 위키백과
  • 원준량
    습독관 재직 시 중시무과에 을과로 급제해 당상관으로 승진했다. 관직은 수경상좌병사(守慶尙左兵使)에 이르렀고, 사후 아들 원균의 임진왜란 당시 훈공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고 평원부원군(平原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경기도 진위현 출신. 출생년대와 출생지는 전하지 않으며, 생일은 12월 18일...
    도서 위키백과
  • 조대림 겸지(謙之), 趙大臨
    봉안시켰으며, 서북면의 농사작황을 보고하였다. 1416년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오르고, 이듬해 4월 경복궁 북동(北洞)에서 있은 삼공신회맹제(三功臣會盟祭)에서...함께 명나라에 다녀오고, 1422년 보국숭록 평양부원군(輔國崇祿平壤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1426년 대광보국(大匡輔國)에 가자(加資)되었고, 1430...
    시대 :
    조선
    출생 :
    1387년(우왕 13)
    사망 :
    1430년(세종 12)
    경력 :
    보국숭록 평양부원군(輔國崇祿平壤府院君)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양(平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