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군자 四君子중국회화에서의 사군자 시문에서의 사군자 대나무는 아름다움 · 강인성 그리고 높은 실용성 때문에 일찍부터 중국인의 생활과 예술에 불가결의 존재로 되어 왔다. ≪시경≫의 <위풍 衛風>에는 주(周)나라 무공(武公)의 높은 덕과 학문 그리고 인품을 대나무의 아름다운 모습에 비유하여 칭송한 시가 있다. 이것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속후회화나무 俗厚─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회화나무는 속후역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소년단 야영소로 가는 길옆에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충적토이고 모래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9℃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751.6㎜이다. 나무는 1840년경에 심은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이는...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 서식지 :
- 함경남도 신포시 속후리
- 성격 :
- 식물, 나무, 회화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21.5m, 뿌리목 둘레 3.18m, 가슴높이둘레 2.6m, 수관 지름 9.7m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170년
-
티치아노가 현대 회화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티치아노(Tiziano, ?1490~1576)의 시대에 들어와 화가들은 나무 패널을 버리고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베네치아 출신의 티치아노는 색상에 있어서는...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다 채우지 못할 정도였다. 그의 작품은 유화를 서양 회화의 주요 산물로 자리 잡게 했다. 그의 작품들 중에서 〈천상과 세속의 사랑...
-
동궐도 東闕圖산과 나무, 연못과 개울을 비롯하여 우물과 장독대, 돌조각과 괴석처럼 작은 물건을 세밀하고 정교하게 묘사했고, 해시계와 측우기 같은 과학시설까지 상세하게 그려 넣었다. 넓은 공간에 복잡하게 자리 잡은 크고 작은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다보는 평행사선부감법(平行斜線俯瞰法...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
성균관 수령 500년 은행나무에 스민 퇴계, 율곡, 다산, 추사의 숨결익히는 곳을 행단(杏壇)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은행나무는 유학(儒學)을 상징하는 나무가 되었다. 서원이나 향교에는 ‘학자수’라고도 불리는 회화나무와 함께 은행나무가 서 있곤 한다.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大成殿)은 은행나무 남쪽에 있다. 공자의 위패를 중심으로 4성(聖)과 제자 10철(哲), 송조 6현(宋朝六賢...
- 문화재 지정 :
- 명륜당 - 보물 제141호
- 건립시기 :
- 조선 태조 7년(1398) 7월 창건
- 면적 :
- 1만 1,673㎡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3번지
-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세상, 피에트 몬드리안 피터르 코르넬리스 몬드리안(Pie..다양하게 변형시키는 시도를 하면서 급격하게 추상주의로 이행한다. 그는 〈나무〉 연작을 그리면서 구성 요소를 점차 단순화했으며, 결국 대상 본질의 기본...몬드리안은 파리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암스테르담 근교에 자리 잡고 추상 회화 작업을 계속했으며, 십자형 구성을 시도했다. 〈구성 No.5...
- 출생 :
- 1872년 03월 07일
- 사망 :
- 1944년 02월 01일
- 국적 :
- 네덜란드
- 대표작 :
- 〈나무〉 연작, 〈구성 No.8〉, 《신조형주의 선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