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군자 四君子
    중국회화에서의 사군자 시문에서의 사군자 대나무는 아름다움 · 강인성 그리고 높은 실용성 때문에 일찍부터 중국인의 생활과 예술에 불가결의 존재로 되어 왔다. ≪시경≫의 <위풍 衛風>에는 주(周)나라 무공(武公)의 높은 덕과 학문 그리고 인품을 대나무의 아름다운 모습에 비유하여 칭송한 시가 있다. 이것이...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속후회화나무 俗厚─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회화나무는 속후역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소년단 야영소로 가는 길옆에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충적토이고 모래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9℃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751.6㎜이다. 나무는 1840년경에 심은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이는...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257호
    서식지 :
    함경남도 신포시 속후리
    성격 :
    식물, 나무, 회화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1.5m, 뿌리목 둘레 3.18m, 가슴높이둘레 2.6m, 수관 지름 9.7m
    분야 :
    과학/식물
    수명 :
    170년
  • 티치아노가 현대 회화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티치아노(Tiziano, ?1490~1576)의 시대에 들어와 화가들은 나무 패널을 버리고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베네치아 출신의 티치아노는 색상에 있어서는...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다 채우지 못할 정도였다. 그의 작품은 유화를 서양 회화의 주요 산물로 자리 잡게 했다. 그의 작품들 중에서 〈천상과 세속의 사랑...
  • 회화우물골
    종로구 효제동에 있던 마을로서, 회화우물・홰우물・괴천이라고 하는 회화나무가 있는 우물 인근의 마을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홰우물골・괴천동이라고도 하였으며, 종로5・6가동사무소 일대에 해당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동궐도 東闕圖
    산과 나무, 연못과 개울을 비롯하여 우물과 장독대, 돌조각과 괴석처럼 작은 물건을 세밀하고 정교하게 묘사했고, 해시계와 측우기 같은 과학시설까지 상세하게 그려 넣었다. 넓은 공간에 복잡하게 자리 잡은 크고 작은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다보는 평행사선부감법(平行斜線俯瞰法...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선진미술 先秦美術, Pre-ch'n fine arts
    후베이 성 장링[江陵], 후난 성 창사[長沙] 등지에서 출토된 납·청동·나무로 만든 인형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중요한 것은 후베이 성 쑤이 현[隨縣]의 증후...시대 동물조각의 탁월한 성과를 보여주는 유물들도 각지에서 출토되었다. 회화 선진시대의 회화는 초상화가 주류를 이룬다. 서주의 명당(明堂) 벽화에는 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국 , 미술
  • 루이 15세 양식 Louis XV style
    공예가 J.-F. 외뱅, 퐁파두르 부인의 단골이었던 피에르 미종 등이 있다. 이 시기에는 풍부한 장식기법이 발달했는데, 즉 화려한 조각, 다양한 금속장식·나무·금속·진주·상아 등을 사용한 상감조각의 기술과 당시 최고 절정에 달한 중국풍 옻칠가구 등이 대표적이다. 그당시에는 집집마다 여름용과 겨울용 등 최소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회화나뭇골 종로구 수송동
    종로구 수송동에 있던 마을로서, 수송동 79번지에 있던 명종의 첫째 왕자 順懷世子의 궁인 용동궁 동쪽에 회화나무가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윌리엄 블레이크 William Blake
    양말제조업자인 아버지의 다섯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런던에서 자랐으며, 근처 교외의 페컴라이에서 나무에 있는 천사들을 보았고, 들판에서 선지자 에스겔을 보았다는 등 어렸을 때 체험한 환상을 훗날 시로 표현했다. 화가가 되고 싶어 10세 때인 1767년 스트랜드가에 있는 헨리 파스의 미술학교에 다니기 시작...
    출생 :
    1757년 11월 28일, 런던
    사망 :
    1827년 8월 12일, 런던
    국적 :
    영국
  • 성균관 수령 500년 은행나무에 스민 퇴계, 율곡, 다산, 추사의 숨결
    익히는 곳을 행단(杏壇)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은행나무는 유학(儒學)을 상징하는 나무가 되었다. 서원이나 향교에는 ‘학자수’라고도 불리는 회화나무와 함께 은행나무가 서 있곤 한다.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大成殿)은 은행나무 남쪽에 있다. 공자의 위패를 중심으로 4성(聖)과 제자 10철(哲), 송조 6현(宋朝六賢...
    문화재 지정 :
    명륜당 - 보물 제141호
    건립시기 :
    조선 태조 7년(1398) 7월 창건
    면적 :
    1만 1,67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3번지
  • 회화나뭇골 종로구 공평동
    종로구 공평동에 있던 마을로서, 이곳에 회화나무가 있는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괴동・회목동이라고도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구성된 기하학적 세상, 피에트 몬드리안 피터르 코르넬리스 몬드리안(Pie..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시도를 하면서 급격하게 추상주의로 이행한다. 그는 〈나무〉 연작을 그리면서 구성 요소를 점차 단순화했으며, 결국 대상 본질의 기본...몬드리안은 파리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암스테르담 근교에 자리 잡고 추상 회화 작업을 계속했으며, 십자형 구성을 시도했다. 〈구성 No.5...
    출생 :
    1872년 03월 07일
    사망 :
    1944년 02월 01일
    국적 :
    네덜란드
    대표작 :
    〈나무〉 연작, 〈구성 No.8〉, 《신조형주의 선언》 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