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재 촬요』 「기장현 지도」 輿載 撮要 機張縣 地圖[개설] 『여재촬요(輿載撮要)』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세계 지지 및 한국 지지인 『여재 촬요(輿載撮要)』에 첨부되어 있는 기장현 지도이다. 『여재 촬요』는 이전의 세계 지리와 조선 지리를 체계화하여, 이후 개화기 지리 교과서의 바탕이 된 지리서이다. 10책으로 된 완질(完帙)과 5책으로 된 것, 1책으로...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여도』 「동래부·기장현 지도」 東輿圖 東萊府 機張縣 地圖[형태 및 구성] 『동여도』는 목판본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와는 다른 채색 필사본 지도로, 22첩으로 되어 있다. 산맥의 묘사에서 『청구도(靑邱圖)』와는 달리 맥으로 표현되나, 『대동여지도』처럼 산악 투영법은 나타나지 않는다. 『청구도』에서 기재되었던 주기는 생략되었다.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學]에...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조선도』 「동래부·기장현 지도」 朝鮮圖 東萊府 機張縣 地圖[개설] 『조선도』는 1800~1822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필사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로, 현재 일본 오사카부립나카노시마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에 영인본이 있다. 영인본에는 채색감이 나타나지 않는다. [형태 및 구성] 『조선도』는 우리나라 전체를 남북 26층, 동서 22판으로 나누어...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청구 요람』 「동래부·기장현 지도」 靑邱 要覽 東萊府 機張縣 地圖[개설] 『청구 요람』은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지도이다. 건곤(乾坤)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구도제, 일본국도, 동방 제국도, 사군 삼한도, 삼국 전도, 신라 구주 군현 총도, 고려 오도 양계 주현 총도, 본조 팔도 주현 총도, 각 군현 지도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청구 요람(靑邱要覽...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동도』[대동여지도]「동래부·기장현 지도」 大東圖 大東輿地圖 東萊府 機張縣 地圖[개설] 『대동도』는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각 22첩을 결합하여 하나의 지도로 만든 조선 전도이다. 『대동여지도』는 1861년(철종 12) 제작된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국 지도로, 여러 본이 채색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영남 지도』 「기장현 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嶺南 地圖 機張縣 地圖[개설]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영남 지도』는 조선 후기의 군현 지도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비변사인 영남 지도(備邊司印嶺南地圖)』와 함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영남도(嶺南圖)』,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광여도(廣輿圖)』 등과 동일한 계열에 속하는 지도이다. 지도 제작 시기는 영조...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1871] 嶺南 邑誌 機張縣 地圖[개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같은 외침을 겪은 이후 조선 정부는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에 대한 실정 파악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1872...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해동 여지도』 「기장현 지도」 海東 輿地圖 機張縣 地圖[개설] 『해동 여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3호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해동 여지도』는 전국 336개의 고을을 그린 조선 후기의 군현 지도책으로 건(乾)·곤(坤)·보(補) 3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건·곤 편은 지도책이며, 보 편에는 각 고을의 지리지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동 방여 전도』 「동래부·기장현 지도」 大東 方輿 全圖 東萊府 機張縣 地圖[개설] 『대동 방여 전도』는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22첩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와 내용이나 구성이 거의 동일한 채색 필사본 지도다. 단 『대동여지도』에서 21첩과 22첩에 나누어 들어 있던 남해안과 추자도, 제주도를 함께 수록하여 21첩으로 구성하였다. 동래부와 기장현 일대는 18첩과 19첩 부분이다...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경상도 읍지』 「기장현 지도」 慶尙道 邑誌 機張縣 地圖[형태 및 구성]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채색 필사본으로 크기는 가로, 세로 35.0×22.6㎝이다.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의 저본은 1786년경에 편찬된 경상도의 각 군 읍지로 여겨진다. 읍의 지리에 대한 파악이 이전의 『여지도서(輿地圖書)』보다 훨씬 상세하고 지도 내용도...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국지도 3』 「기장현 지도」 東國地圖 三 機張縣 地圖[개설] 『동국지도 3(東國地圖三)』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동국지도 3(東國地圖三)』에 수록된 기장현 지도이다. 『동국지도 3』에는 조선 후기 경상도 71개 군현을 그린 채색 필사본의 방안식 군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표지 제목이 ‘동국지도 3’임을 고려할 때 원래...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