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위법 無爲法평가 부파불교 교학을 특징짓는 개념인 무위법은 대승불교로 이어져 대승의 초기 경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유부의 실유사상(實有思想)에 대한 중관학파의 비판적인 공 사상과 유가행파의 유식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승불교에서 주장하는 2무위설(二無爲設)과 4무위설, 6무위설, 8무위설은 부파불교의 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실제 실실제(實實際), 實際자'라고 하는데, 이는 법성(法性)을 증득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깨달음을 증득한 지위'가 실제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관학파(中觀學派)의 대표적 논서인 『중론(中論)』에서는 "열반이라는 실제, 그리고 세간제(世間際)라는 두 영역은 털끝만큼의 차이도 없다"라고 설하여 생사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진공묘유 眞空妙有내용 불교의 근본 교리 가운데 하나인 공(空)은 이 세계의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음을 표방하는 개념이다.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용수(龍樹)는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緣起)가 바로 공의 뜻임을 천명하였다. 연기는 이 세계의 만물이 다양한 인(因)과 연(緣)의 조합에 의해 생기하는 것이지, 고정 불변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교학연구 敎學硏究영상은 허구가 아니라 고유한 본성을 지니는 실재라는 유상유식(有相唯識)의 입장이다. 원측은 장안의 서명사(西明寺)에서 《성유식론》을 강의함으로써 서명학파(西明學派)를 형성했는데, 그는 현장 문하인 기(基, 632~682) 일파로부터 배척을 받았다. 그것은 원측이 신유식과 중관을 융합하려고 한 반면, 기일파는...
-
대승불교 大乘佛敎용수의 중관사상은 바로 이 팔부중도관(八不中道觀)에 잘 드러나 있다. 이 입장은 일체제법의 무자성(無自性:영원한 자성이 없음)을 강조하는 반야공사상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유식사상(vijñanavādin)은 소승불교의 교학적 약점을 보완하고, 용수의 반야공사상이 지나치게 허무주의적 경향으로 흐르게 된 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