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위법 無爲法
    평가 부파불교 교학을 특징짓는 개념인 무위법은 대승불교로 이어져 대승의 초기 경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유부의 실유사상(實有思想)에 대한 중관학파의 비판적인 공 사상과 유가행파의 유식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승불교에서 주장하는 2무위설(二無爲設)과 4무위설, 6무위설, 8무위설은 부파불교의 무...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실제 실실제(實實際), 實際
    자'라고 하는데, 이는 법성(法性)을 증득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깨달음을 증득한 지위'가 실제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관학파(中觀學派)의 대표적 논서인 『중론(中論)』에서는 "열반이라는 실제, 그리고 세간제(世間際)라는 두 영역은 털끝만큼의 차이도 없다"라고 설하여 생사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베단타 철학파
    제4부는 고(苦)로부터의 해탈 상태를 다루고 있다. '불타는 연료의 지멸'이라는 제4부의 제목이 시사하는 대로, 가우다파다의 철학적 견해는 불교의 중관철학, 유식학파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의 기본목표 중의 하나는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이 불교관념론자들의 주요이론과 부합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진공묘유 眞空妙有
    내용 불교의 근본 교리 가운데 하나인 공(空)은 이 세계의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음을 표방하는 개념이다.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용수(龍樹)는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緣起)가 바로 공의 뜻임을 천명하였다. 연기는 이 세계의 만물이 다양한 인(因)과 연(緣)의 조합에 의해 생기하는 것이지, 고정 불변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교학연구 敎學硏究
    영상은 허구가 아니라 고유한 본성을 지니는 실재라는 유상유식(有相唯識)의 입장이다. 원측은 장안의 서명사(西明寺)에서 《성유식론》을 강의함으로써 서명학파(西明學派)를 형성했는데, 그는 현장 문하인 기(基, 632~682) 일파로부터 배척을 받았다. 그것은 원측이 신유식과 중관을 융합하려고 한 반면, 기일파는...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원측 圓測
    중관 사상에 대하여도 대립을 화합시키려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중관과 유식을 폭넓게 수용하여 정확한 이해에 힘쓰는 한편 양자의 사상적 대립을 지양하고자...기 일파로부터 비판을 받고 이단시되었다. 그러나 원측의 사상은 계속 이어져 하나의 학파를 이루었는데, 여기에는 신라 출신의 승려들이 주로 참여했다...
    출생 :
    613(진평왕 35)
    사망 :
    696(효소왕 5)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대승불교 大乘佛敎
    용수의 중관사상은 바로 이 팔부중도관(八不中道觀)에 잘 드러나 있다. 이 입장은 일체제법의 무자성(無自性:영원한 자성이 없음)을 강조하는 반야공사상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유식사상(vijñanavādin)은 소승불교의 교학적 약점을 보완하고, 용수의 반야공사상이 지나치게 허무주의적 경향으로 흐르게 된 데...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종세간
    설해진다. 〈제33품 이세간품(離世間品)〉 다음에 〈제34품 입법계품(入法界品)〉이 설해진다. 3종세간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sfnsfnsfnsfnsfn 중관학파와 천태종의 중생세간(衆生世間).cw국토세간(國土世間).cw5온세간(五蘊世間) 남방 상좌부불교의 행세간(行世間).cw중생세간(衆生世間).cw처세간(處世間) 화엄종의...
    도서 위키백과
  • 삼론종 East Asian Mādhyamaka, 三論宗
    p. 122. 《중론》 삼론학은 승랑에 이르러서는 중국 불교의 중요한 종파 중 하나인 삼론종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때부터 삼론종이라는 명칭은 인도 불교의 중관학파(Madhyamika)에 대한 중국측 명칭으로 통용되었다. 삼론종에서 7대상승(七代相承)이라 하며 내세우는 인물은 구마라습(鳩摩羅什).cw승숭(僧嵩).cw법도...
    도서 위키백과
  • 금강승 金剛乘, Vajrayana
    파헤치는 중관 철학을 하나로 결합한다. 내면적 체험을 취급하면서, 금강승의 경전들은 수도자들이 인간이 성취할 수 있는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되는 체험들을 효과적으로 그들 자신 속에서 불러일으키는 것을 돕기 위해 고도로 상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그리하여 금강승은 고타마 붓다가 체험했던 깨달음을 다시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삼교팔종
    실체가 없고 현재의 법만 있다는 주장으로서 소승 내 대중부의 설 현통가실종: 속제는 허구이고 진제는 진실이라는 주장으로서 소승 내 설출세부의 설 제법단명종: 일체 법이 다 공(空)하다는 주장으로서 대승 내 중관학파의 설 응리원실종을 분별해야한다는 주장으로서 대승 내 유식학파의 설 교판 오교십종 불교 둘러보기
    도서 위키백과
  • 백팔번뇌
    백팔결(百八結) 또는 백팔결업(百八結業)이라고도 하는데, 백팔번뇌의 구성방식에 대해서는 3가지 다른 견해가 있다.sfnsfnsfnsfnsfn 첫 번째는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대지도론(大智度論)》 제8권과 대승불교 일반의 논서 《대승의장(大乘義章)》 제6권 등에 따른 것으로, 98결(九十八結)과 10전(十纏)을 합한 것...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