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만년 풍작에 도전한다 - 벼 도열병 균 유전자 완전 해독명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도열병을 막기 위한 벼 품종 개량이 활발하게 연구돼 왔다. 최근에는 첨단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유전자 조작을 통한 품종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문제는 도열병에 저항성을 갖는 벼 품종의 수명은 그리 길지 못하다는 점이다. 도열병에 강한 품종을 만들어...
-
신비한 유전의 세계 - 언어유전자만들어 유창하게 대화를 한다. 무엇 때문일까? 일본·한국·중국 등 6개국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 침팬지 게놈 프로젝트’ 에서는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자 구조가 무려 98.75%나 같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적 차이가 1%에 불과하다. 그 1%의 차이가 무엇이기에 사람...
-
-
유전자변형식품 국가별 심사 체계 비교주요 국가별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체계 주요 국가별 유전자변형식품 관련 사이트 • 국제기구 - WHO https://www.who.int/topics/food_genetically_modified/en/ - FAO http://www.fao.org/food/food-safety-quality/gm-foods-platform/en/ - OECD http://www.oecd.org/science/biotrack/ • EU - EC https://ec...
-
하루 만에 사람 유전자를 복제한다?178227&cat=36&post_type=news&paged=1 --------------------------------------------------------------------------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자들이 세포의 유전자복제 과정을 모방해 하루 만에 새로운 인간 유전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성공을 거둘 경우 인위적으로 미생물 유전자를 제작해...
-
유전자 치료의 현주소는?인체 DNA를 수정하여 질병을 고치는 유전자 치료가 지난 30년 간의 답보상태에서 벗어나 이제 임상 치료의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는 12일자에 심각한 의학적 증상에 대한 여러 성공적인 유전자 치료법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심·폐·혈액...
-
-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 위원회유전자변형식품등 안전성 심사 최초로 수입 또는 생산되는 유전자변형식품은 '유전자변형식품등 안전성 심사위원회'를 통하여 안전성을 확인한 후 수입 및 판매가 허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초 승인 후 10년이 경과된 품목에 대해서는 재심사를 통하여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유전자변형식품...
-
세균 유전자 언제든지 억제할 수 있는 바이오 도구 개발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팀은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 모두를 포함한 다양한 박테리아에서 표적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규 sRNA 도구를 개발했다. 박테리아는 우리 일상에서 김치, 된장, 술 등 식품에 활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대사 공학을 통해 플라스틱, 영양제, 사료, 의약품...
-
단백질 서브유닛 백신 합성항원 백신, protein subunit vaccines정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감염 예방을 위해 개발되는 백신의 한 종류. '합성항원' 백신, '단백질 재조합' 백신, '유전자 재조합' 백신이라고도 한다. 바이러스의 전체가 아닌, 무해한 상태의 단백질 일부가 들어 있다. 바이러스나 세균은 인체 내에 들어와 인체의 세포를 공격하거나 증식하는데, 이를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