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공위성과 우주선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이 한번 발사되면,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꿀 때 추진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교신과 원격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는 시스템과 과학자 혹은 비행사의 조종에 의한 통제 시스템도 필요하다. 그리고 위성 자체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 에너지 시스템도 필요하다. 모든 우주선에...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우주선은 어디서부터 오는가?
    지속적인 대전된 입자의 흐름이 태양으로부터 전달된다. 이러한 흐름을 태양풍이라고 부른다. 우주선 일부가 태양으로부터 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만, 지구에 다다르는 모든 우주선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것은 아니다. 나머지 우주선들의 근원은 아직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멀리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이 근원...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스타더스트 우주선은 혜성 입자와 행성 간 입자들을 어떻게 획득했는가?
    스타더스트는 입자-획득 모드에서는 반송 캡슐이 열려 있고 팔은 우주선에서 뻗어나와 있다. 팔은 테니스 라켓 같은 형태인데, 에어로젤(aerogel)이 장착되어 있었다. 입자들이 에어로젤과 충돌하면, 입자들은 1초도 되지 않아 시속 1만 6000km의 속도에서 0으로 줄어들며, 매트릭스에 부서지거나 녹지 않고 장착된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스타더스트 우주선과 미션은 어떤 상태인가?
    캡슐이 안전하게 돌아온 이후, 스타더스트는 과학자들이 이 우주선으로 무엇을 할지 계획을 세울 때까지 동면 모드로 두었다. 이 우주선은 딥 임팩트 미션의 목표물이었던 혜성 템펠 1로 보내는 새로운 장기 미션에 배정되었으며, 혜성과 혜성의 충돌 분화구의 새로운 사진과 데이터 수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주선은...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뉴허라이즌스 우주선이 갖춘 장비들은 무엇인가?
    뉴허라이즌스는 일곱 가지 과학 장비를 싣고 있었는데, 그중 하나(the Student Dust Counter)는 학생들에 의해 제작되었고, 이들에 의해 작동될 것이다. 또 REX(전파과학 실험 장비), SWAP(명왕성 주변의 태양풍을 측정하는 장치), PEPSSI(명왕성 대기에서 방출되는 각종 분자들을 탐지하는 장비), LORRI(고해상도...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베네라 우주선은 어떠했는가?
    최초의 베네라(Venera) 우주선의 무게는 630kg이었다. 원통형 몸체에 돔형 머리 부분을 하고 옆에 태양 전지판이 붙어 있었으며 몸체의 한쪽 면에는 우산 모양의 전파 안테나가 달려 있었다. 후속 베네라 미션에 사용된 선체는 크고 좀 더 복잡해졌다. 베네라 4호와 후속 모델은 운반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갈릴레오 우주선의 구성은 어떤가?
    갈릴레오는 미니밴 크기에 깃대가 한쪽 면에 나와 있으며 무게는 2.5톤 정도다. 여러 과학 장비를 비롯하여 두 개의 통신 안테나와 추진 로켓이 실려 있고, 원자력 전지(RTG)를 통해 동력을 공급했다. 갈릴레오에 실린 미니 탐사선은 식기세척기 정도 크기로, 여섯 개의 장착된 장비를 통해 주변 환경을 측정하도록 설계...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우주에서 용변은 어떻게 볼까?
    달! 심지어 플라이투더문 익스프레스호를 타고 간다더군.” “우와, 정말이야?” 은하 고등학교 학생들은 누구나 일주일에 3시간식 우주체험 시간을 통해 우주선 탑승 실험을 하며 우주 여행에 대비해왔지만, 수학여행을 떠나는 날이 되자 긴장을 감출 수 없었다. 우주복을 갖춰 입고 탑승을 기다리는 학생들 사이에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우주 , 과학 일반
  • 우주 탐험, 마젤란 금성 레이더 탐사기, Magellan
    1989년 5월 마젤란 무인 우주선이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에서 발사되어 지구 궤도를 돌며 15개월 동안 비행을 하게 되었다. 비행 목표는 지구에서부터 태양까지 두 번째로 가까운 행성인 신비로운 구름 막에 싸인 금성에 가는 것이다. 1994년 10월 임무를 잘 완수한 후 지구의 관제탑은 마젤란에게 무선 신호를 보내서...
  • 니어 우주선의 구성은 어떻게 되었나?
    니어는 팔각형 프리즘의 형태에, 너비는 1.7m 정도이고, 네 개의 태양 전지판과 1.5m 길이의 고성능 전파 안테나를 갖추고 있었다. 이 과학 장비는 엑스선/감마선 분광계, 근접 적외선 분광사진기, CCD 이미지 감지기가 달린 다스펙트럼 감응성 카메라, 레이저 고도계, 전파 과학 장비 그리고 자기력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유에프오, 실은 X-비행체였다?
    비행체를 연구하면서부터 붙여졌다. 이번 X-37B의 경우, 사실 1957년 러시아에 의한 스푸트니크1호 위성 발사 이후 미 공군이 독자적으로 준비한 군사용 우주선 ‘X-20’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다이나 소어’란 애칭을 가진 이 우주선은 X-37B처럼 삼각형의 날개를 가진 우주비행체로 정찰, 지상 폭격, 적의 위성 공격...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우주 , 과학 일반
  • 우주방사선 은하우주선, cosmic ray
    우주 공간에는 고속의 입자가 날아다닌다. 이들은 주로 초신성 폭발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은하 안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은하우주선이라고 한다. 은하우주선은 87%가 양성자, 12%가 알파입자, 나머지 약 1%가 이보다 무거운 입자의 원자핵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은하우주선 입자는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 공기를...
    도서 원자력사전 | 태그 원자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우주선
2015 SXSW에 참가한 미국 항공우주국
스푸트니크(Sputnik) 1호 모형
오리온 우주선
우주선 화장실
우주선(cosmic ray)
우주선 여행 코너
무인 우주선의 착륙 원리
3D펜으로 만든 우주선 모형
달 탐사 우주선 SMAT-1, 추락인가 충돌인가?
1950년대 전성기를 구가했던 양철 장난감 우주선
1975년 바이킹 계획에 따라 발사되는 우주선
선저우 우주선(오른쪽)이 도킹한 톈궁 1호 가상도
유인우주선 드래곤V2가 지구 궤도를 도는 가상도
슈퍼 카미오칸데를 관리하는 일본 도쿄대학 우주선 연구소(東京大学宇宙線研究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한 우주선 밖의 관찰자가 본 빛의 이동 시간 계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