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하였다. 겔만은 이 공로로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스트루민스키는 쿼크가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기 위하여 다른 양자수를 지녀야 하는 사실을 지적하였고, 이에 따라 한무영과 난부 요이치로, 오스카 월러스 그린버그가 이 양자수가 SU(3)을 따르는 "색"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마디수 사이의 관계에 의해, 낮은 n+l 값을 가지는 오비탈이 높은 n+l값을 가지는 오비탈보다 먼저 채워진다. 이 때 n과 l은 각각 주양자수와 각운동량양자수를 말하며, l=0, 1, 2, 3은 각각 s, p, d, f 오비탈과 같은 의미이다. 두 오비탈의 n+l 값이 같은 경우에는 n값이 작은 오비탈이 먼저 채워진다. 반대로 말하면...
이므로, a|n\rangle\propto|n-1\rangle 이다. 마찬가지로, a^\dagger|n\rangle\propto|n+1\rangle 임을 보일 수 있다. 즉, a는 N의 양자수를 1 감소시키고, a^\dagger는 N의 양자수를 1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a^\dagger를 생성 연산자(生成演算子, a를 소멸 연산자(消滅演算子,lang)라고 부른다. 그 비례 상수는 다음과...
흡수하는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어떤 원자가 존재하는지 추론할 수 있다. 이때 분석할 수 있는 원자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는데, 분석하는 원자의 스핀 양자수가 자기장을 걸었을 때 에너지 차이가 존재하는 형태의 스핀 양자수 형태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원자량 12의 탄소(12C)는 자기장을 걸어도 에너지 차이가...
계열은 1885년에 스위스 수학자 요한 야코프 발머에 의해 밝혀진 실험식인 발머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수소의 가시광선 스펙트럼은 들뜬 상태 양자레벨에서 양자수 n=2로 전이되면서 전자에 의해 광자가 방출되는 410 nm, 434 nm, 486 nm, 656nm의 네 개의 파장으로 나타난다. 400nm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갖는 자외선...
2002, "On the world's numerical recipe . Longing for the Harmonies: Themes and Variations from Modern Physics. W W Norton. ISBN. 저널 인용저널 인용저널 인용저널 인용저널 인용저널 인용 암흑물질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 양자수 솔리톤 홀 효과 웹 인용 2004년 노벨상 수상자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입자물리학에서 B − L("bee minus ell")은 중입자수(B)와 렙톤수(L)의 차이를 의미하는 물리량이다. 이 양자수는 일부 대통일 이론에서 광역/게이지 U(1) 대칭의 전하이며 U(1)B − L라고 부른다. 바리온수 따로, 렙톤수 따로와는 다르게 이 가상의 대칭은 키랄 이상이나 중력 변칙을 통해서도 붕괴되지 않기 때문에...
렙톤 섞임이란 약력에 의하여 중성미자의 맛깔이 바뀌는 현상이다. 양자장론에서는 일반적으로 양자수가 같은 입자는 섞일 수 있다. 중성미자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이론에 따르면, 중성미자는 질량 고유기저와 맛깔 고유기저가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질량을 가진 중성미자는 시간에 따라 맛깔이 바뀌게...
산란 길이는 낮은 에너지에서의 산란 진폭의 절댓값이다. 크기가 대략 r인 퍼텐셜에 의한 산란을 생각해 보자. 부분파 방법에 따라, 산란되는 파동을 각운동량 양자수 (l,m)에 따라 전개할 수 있다. 이 때, 입사하는 입자의 드브로이 파장이 r보다 매우 크다면 (즉, 입사하는 입자의 운동 에너지가 \hbar^2/2mr^2...
입자 정보 케이온(kaon) 또는 케이 중간자(K meson)는 입자물리학에서 기묘도(strangeness) 양자수에 따라 구별되는 네 가지 중간자 상태 중 하나를 일컫는다. 1947년에 조지 로체스터(George Rochester)와 클리포드 버틀러(Clifford Butler)가 우주선 관측에서 발견되었으며, 월슨의 안개상자 안에 V모양의 비적을...
있을 수 없다. 즉, 두 개의 동일한 페르미온의 전체 파동 함수는 페르미 입자의 바뀜에 대해 반대칭이다. 이를 원자 안의 전자에 적용하면 두 전자가 같은 양자수를 가질 수 없다. 하나의 전자에 대해 n, l, ml이 같다면, ms는 반드시 반대의 스핀을 가져야 한다. 페르미-디랙 통계 Pauli's own account of the...
또는 초중성입자(超中性粒子)는 표준 모형의 무색 중성 보손의 초짝입자다. 최소 초대칭 표준 모형에서는 총 4종 (포티노, 지노, 힉시노 2종)이 있으며, 양자수가 같으므로 질량 고유기저로는 서로 섞인다. 질량 고유기저에 따른 기호는 χ̃01, χ̃02, χ̃03, χ̃04. χ̃01이 가장 가볍고, χ̃04가 가장 무겁다. 많은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