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언더우드 원두우, Horace Grant Underwood1890년 뉴욕대학교에서 명예신학박사, 1912년 명예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884년 7월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의 임명에 따라 이듬해 감리교 목사인 H. G. 아펜젤러와 함께 한국에 입국했다. 1886년 한국 최초의 고아학교(고아원)를 설립했는데 이 학교가 경신학교의 전신이다. 1887년 9월 새문안교회를 설립했다. 1889년...
- 출생 :
- 1859. 7. 19, 영국 런던
- 사망 :
- 1916. 10. 12, 미국 애틀랜틱시티
- 국적 :
- 미국
-
이상준 李尙俊많이 불렸다. 그가 1929년에 발행한 『조선속곡집』의 수록곡들이 이화전문학교가 발행한 『조선민요합창곡집』(메리영, 안기영(安基永) 편곡)에 다수 들어있다고 1932년에 경성 지방 법원에 메리영과 안기영, 아펜젤러(Alice R. Appenzeller) 3인을 대상으로 한국 최초의 음악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참고문헌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협성회 協成會개설 배재학당 학생이 중심이 되어 대중계몽을 목적으로 조직한 단체이다. 1895년(고종 32) 12월말, 12년 만에 귀국한 서재필(徐載弼)이 아펜젤러(Appenzeller, G.A.)의 초대로 1896년 5월 21일부터 매주 목요일마다 배재학당에서 세계지리·역사·정치학 등의 특강을 하였다. 이때 강의에 자극을 받은 13명의 학생이...
- 시대 :
- 근대
- 설립 :
- 1896년
- 성격 :
- 계몽단체, 학생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화보육학교 梨花保育學校자연과학·도화·수공·동화·실습 등을 주당 32시간 교육하였다. 유희는 리듬과 춤 외에 놀이 개념이 강조된 것이었다. 교장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장인 아펜젤러(Appenzeller,A.R.)가 겸임하였다. 교수진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전문가들이 많았으며, 브라운리(Brownlee,C.)·벤플리트(Vanfleet,E.) 등의 선교사와 미국...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15년
- 성격 :
- 근대교육기관, 교원양성기관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1년 3월
- 분야 :
- 교육/교육
-
-
임배세 임을선(林乙仙), 林培世학당 대학부 교사로 지냈으며, 정동교회 주일 학교에서 찬양 지도, 오르가니스트, 여자 절제회 지도자, 유사(有司)를 지냈고, 1923년에는 앨리스 아펜젤러(Alice Appenzeller, 1885-1950)와 함께 성만찬 위원 2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주요 활동 임배세는 1920년 음악인들과 함께 음악회를 열고 연구할 목적으로 한양...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안종후 安鍾厚인적 사항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1889년(고종 26) 8월 10일 출생하였고, 1905년(광무 9) 선교사 아펜젤러(H. G. Appengeller)의 전도를 받아 기독교에 입교하여 수원 지역에 감리교를 전파하였다. 3 · 1운동 이전부터 천도교 김성열(金聖烈), 제암리 교회 권사였던 홍원식(洪元植)과 함께 구국...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교 추인(秋人), 鄭喬때 독립협회 간부 17명과 함께 검거되고 독립협회는 해산당하였는데, 이 때 태(笞) 40에 처해졌으나 이에 불복, 상소하여 무죄로 석방되었다. 그 뒤 아펜젤러(Appenzeller, H.G.)의 보호로 배재학당으로 피신,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난 뒤 귀가하였다. 그 해 10월 제주군수가 되고, 1906년 학부참서관(學部參書官)을...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56년(철종 7)
- 사망 :
- 1925년
- 경력 :
- 수원판관, 독립협회 서기, 학부참서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애국계몽운동가
- 대표작 :
- 대동역사, 홍경래전, 가곡선, 대한계년사, 동언고략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수촌교회 水村敎會등을 통해 세계에 널리 알려져 일제를 궁지에 몰아 넣었으며, 일제의 통치 정책의 변화에도 영향을 끼쳤다. 방화로 전소된 예배당은 1922년 4월 아펜젤러(H. D. Appenzeller)와 노블(W. A. Noble)의 지원을 받아 초가 8칸으로 신축되었으며, 1932년 현재 위치로 다시 이전되었다. 1953년 3월에는 목조 예배당(20평)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