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황 젤라시오 1세 Pope Gelasius I, ゲラシウス1世 (ローマ教皇)
    몇 가지 이견이 있다. 《교황 연대표》에서는 그를 ‘아프리카 태생(natione Afer)’이라고 기록한 반면에, 젤라시오 1세 본인은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보낸 서신에서 자신을 ‘로마 태생(Romanus natus)’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 문구를 반달족의 침입이 있기 전까지는 서로마...
    도서 위키백과
  • 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 List of Greek Orthodox Patriarchs o..
    예루살렘 주님 무덤 성당에 위치해 있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루살렘 주교를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승격시켰다. 이우베나리오스 (451–458) 아나스타시우스 1세 (458–478) 마르티리우스 (478–486) 살루스티오스 (486–494) 엘리아스 1세 (494–516) 요한네스 3세 (516–524) 페트로스 (524–552) 마카리오스...
    도서 위키백과
  • 교황 하드리아노 2세 Pope Adrian II, ハドリアヌス2世 (ローマ教皇)
    교황과 마찬가지로 루트비히 2세의 간섭을 받는 것을 용인하였는데, 오르테의 주교 아르세니우스와 그의 조카이자 로마 교회의 도서관장 겸 문서관리인 아나스타시우스의 조언을 많이 따랐다.sfn 하드리아노 2세는 사제품을 받기 전에 스테파니아라는 이름의 여인과 혼인하여 딸을 한 명 낳았는데, 교황으로 선출된 후...
    도서 위키백과
  • 대립교황 Antipope, 対立教皇
    366–367 교황 다마소 1세 에울랄리우스 에울랄리우스 418–419 교황 보니파시오 1세 라우렌시우스 라우렌시우스 498–499 501–506 동로마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지지를 받음 교황 심마코 디오스코루스 디오스코루스 530 교황 보니파시오 2세 테오도루스 테오도루스 687 교황 세르지오 1세 파스칼리스 파스칼리스...
    도서 위키백과
  • 두러스 Durrës, ドゥラス
    뒤라키움을 자유 도시(Civitas libera)로 만들었다. 기원전 4세기, 뒤라키움은 로마의 속주 에피로스 노바의 수도가 되었다. 430년 무렵 이후에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가 되는 인물이 여기서 태어났다. 이 세기의 끝 무렵, 뒤라키움에 심한 지진에 찾아와 도시의 방벽을 파괴했다.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시벽을 재건...
    도서 위키백과
  • 젤라시오 Gelasius
    兩性論)을 옹호, 주장한 ≪에우티케스 및 네스토리우스 박론(駁論)≫(Adversus Eutyches et Nestorium)이 있다. 그는 이 이원론(二元論)적인 입장에서 아나스타시우스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양권론(兩權論)으로 정식화하였는데, 즉 제권(帝權)과 성권(聖權)을 구별하였고 그래서 동로마제국의...
  • 요안니스 리도스 John the Lydian
    멘 리두스(Lydus)에서 나타나듯이 서기 490년 리디아의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이른 시절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입신양명하려 고향을 떠났고, 아나스타시우스 1세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기 동방 대관구의 고위직들에 올랐다. 552년에, 그는 유스티아누스의 신임을 잃고 관직을 상실했다. 사망 시기는...
    도서 위키백과
  • 카스텔산텔리아 Castel Sant'Elia, カステル・サンテリーア
    산타나스타시오, Sant'Anastasio)다. 1120년에 세워졌으며, 응회암으로 된 세 개의 정문이 있고 꽃, 동물, 괴물 장식들로 되어있다. 내부는 1개의 신랑(身廊)과 고대 기둥을 재사용하여 구역을 나눈 2개의 통로로 되어있다. 애프스(Apese) 아래에는 성 아나스타시우스와 성 논노수스의 석관이 안치되어있다.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텔메소스 Telmessos
    구성원이었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더에 의해 점령되었다. 8세기에 텔메소스는 아나스타시오폴리스로 개명하였는데 이는 당시의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아나스타시우스 2세를 기념한 것이다. 그러나 그 이름은 오래가지 못하였다. 10세기에는 항구의 입구의 섬의 이름인 마크리라 불리게 되었다. 유적은 페티예에 위치...
    도서 위키백과
  • 518년 518, 518年
    남량(南梁) 천감(天監) 17년 북위(北魏) 희평(熙平) 3년 / 신귀(神龜) 원년 남량(南梁) 무제(武帝) 17년 북위(北魏) 효명제(孝明帝) 3년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5년 고구려(高句麗) 문자명왕(文咨明王) 28년 백제(百濟) 무령왕(武寧王) 18년 가락국의 문신 김무력 7월 9일 - 아나스타시우스 1세, 비잔티움 제국 황제.
    도서 위키백과
  • 교황 펠릭스 3세 Pope Felix III, フェリクス3世 (ローマ教皇)
    무려 35년간이나 지속되어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사이에 처음으로 심각한 분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489년 아카키우스가 죽자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동서 교회 분쟁을 종식시키려 하였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펠릭스 3세는 《헤노티콘》을 부가한 황제를 파문하지는 않았으나, 황제에게 보낸...
    도서 위키백과
  • 카바드 1세 Kavad I, カワード1世
    카바드 1세는 집권 후 에프탈에게 공물을 보냈으며, 예전에 페르시아에게 지급되었던 이민족 방어 보조금을 로마에 신청하였다. 하지만 로마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그 제안을 거절하였으며, 동방의 두 나라가 전쟁으로 서로 쇠약해지길 기대하였다. 그러나 카바드 1세는 에프탈과 연합하여 동로마 제국에 선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아나스타시우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