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동원 (1884년)평양YMCA 지회등 활동하여 민족주의자로 교육 활동 및 사회 활동 등 전개하여 실력 양성 및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말기(전시체제)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 이후로 친일파로 변절했다. 광복 이후 고당 조만식과 평남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해 활동했으나, 탈퇴 직후 곧바로 월남하여 한국민주당에 참여...도서 위키백과
-
흙중간 단계의 모델 마을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는 작자의 정신적 지주였던 안창호(安昌浩)가 주창한 이상촌(理想村) 건설의 구현이기도 하다. 이광수는 수양동우회와 통속교육보급회의 중심 인물로서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전국적으로 1면 1개의 개량 촌락을 완성하여 농민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것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광수
- 창작/발표시기 :
- 1932년 4월 12일(연재 시작), 1933년 7월 10일(연재 종료)
- 성격 :
- 장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허영숙 가야마 에이코〔香山英子〕, 許英肅유학을 떠났다. 향후 산원(産院)을 경영할 포부를 가지고 1935년 11월 일본 적십자병원 산원에서 조수로 일하며 박사 논문을 쓰며 학위를 취득하려 하였지만,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이광수의 체포 소식을 듣고 유학 1년 6개월 만인 1937년 6월에 귀국하였다. 1938년 6월 근대식 설비를 갖춘 민간 조산 병원인...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선량 金善亮1934년까지 10년간 생계를 지원하였다. 1925년 5월에는 개벽사(開闢社) 안악분사 지사장을 맡았다. 1926년 수양동맹회가 동우구락부(同友俱樂部)와 합하여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로 개칭되고 5월부터 기관지 『동광(東光)』을 발간하기로 하자 발행자금으로 100원을 제공하였다. 1928년 12월부터 이듬해에 걸쳐 서울...
- 출생 :
- 1899년 12월 28일, 황해도 안악(安岳)
- 사망 :
- 1984년 2월 18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수양동우회 사건
- 본관 :
- 김해(金海)
- 주요활동 :
- 1919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3・1운동 참여, 1920년 중국 상하이에서 흥사단 가입, 1922년 화동한국학생연합회 활동, 1924년 수양동맹회 가입, 안악기독청년회 창립, 1928년 황해도 기자대회 참여, 1930년 전조선수재구제회 위원, 1936년 안악고등보통학교설립운동발기회 기본금 부원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흥사단, 화동한국학생연합회, 수양동맹회(수양동우회), 안악기독청년회
-
김영윤 김광, 金永胤수양동맹회(修養同盟會)와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1925년 11월 총회를 개최하여 통합에 관한 결의사항을 승인함으로써 두 단체는 흥사단의 국내 조직으로서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일제는 이들의 영향력을 고려해 수양동우회의 해산을 시도하였고, 결국 1937년 6월 동우회사건...
- 출생 :
- 1893년 3월 9일, 평안남도 평양(平壤)
- 사망 :
- 1947년 9월
- 관련 사건 :
- 동우회사건
- 주요활동 :
- 1914년 신흥강습소 입학 후 학생들의 입교 알선, 1918년 9월 파리강화회의 독립청원대표로 선출, 1919년 2월 대한청년당 조직 후 단장 취임, 1922년 7월 동우구락부 결성, 1925년 11월 수양동맹회와의 통합을 추진해 수양동우회 조직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흥강습소, 대한청년당, 수양동우회
-
김봉성 金鳳成, 金鳳性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 경제학과에서 수학하였다. 1931년 1월 시카고에서 흥사단에 입단하여 통상단원으로 활동하다가 1933년 8월 귀국하여, 9월 수양동우회 선천지부에 가입했고 11월부터 동아일보 선천지국 기자로 일했다. 1934년 안창호의 조카인 안맥결과 결혼하였고, 선천회관 운영을 책임졌다. 1936년 수양동우회...
- 출생 :
- 1901년 3월 3일, 평안남도 강서(江西)
- 사망 :
- 1945년 12월 18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수양동우회 사건
- 주요활동 :
- 1919년 3월 1일 평안북도 선천군 만세시위 주도, 1931년 흥사단 입단, 1933년 수양동우회 가입, 동아일보 선천지국 기자
- 포상훈격 :
- 2005년 건국포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성학교, 흥사단, 수양동우회
-
경성여자청년동맹 京城女子靑年同盟경관에게 압수되었다. 규약에 의하면, 맹원이 될 자격은 만16세 이상 만 26세 이하의 여성으로 제한하고, 일반 청년 여성에게 해방적 의식을 각성하게 하는 수양 기관의 설치와, 출판·강연·강습·연구회 등을 자주 개최하는 등의 사업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이전에 조선여성동우회가 조직되었다. 동우회는 연령에...
- 시대 :
- 근대
- 위치 :
- 서울
- 설립 :
- 1925년 1월 21일
- 성격 :
- 사회운동단체, 여성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26년 12월(중앙여자청년회로 통합)
- 설립자 :
- 박정덕, 허정숙, 보조희 등 16명
- 분야 :
- 역사/근대사
-
동광 東光통권 42호까지 발간한 종합잡지이다. 안창호(安昌浩)가 1913년 미국에서 조직한 독립운동단체 흥사단(興士團)의 정신을 승계하여 1926년 1월에 조직한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의 기관지였다. 이 시기 사회주의운동을 표방하던 잡지들에 맞서, 『동광』은 민족운동지임을 분명히 내세웠다. 편집 겸 발행인 주요한(朱耀翰...
- 성격 :
- 문학잡지
- 간행/발행 :
- 동광사
- 창간일-종간일 :
- 1926. 5. 20 ~ 1947. 9. 1
- 소장/전승 :
- 연세대 학술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