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합성과 대사기능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세포질에는 단백질 합성의 기능을 하는 소포체(小胞體), 물질수송에 관여하는 골지체, 철, 구리, 글리코겐, 외부로부터 유래된 이물질의 소화에 관여하는 리소좀이 존재한다. 간의 주된 기능은 단백질...
외부 핵막, 두 개의 지질 이중층 막으로 구성된다.서적 인용 막 사이의 공간을 핵 주위 공간이라고 한다. 보통 10~50정도의 nm 폭을 가진다. 외부 핵막은 소포체 막과 연속적이다. 핵막에는 물질이 세포질과 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많은 핵 공이 있다. 라민(lamin)이라고 하는 중간 필라멘트 단백질은 내부...
요나트와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리보솜은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고, 세포 안에서 소포체에 결합되거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1년 라마크리슈난은 인도 구자라트에 있는 바로다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학위를 받고, 1976년...
경우, 단백질에 따라 번역 동시 전위(번역과 전위가 함께 일어남)와 번역 후 전위(단백질 번역 후 전위를 실시함)의 두 가지 방식으로 수송 될 수 있다. 소포체, 골지체, 엔도솜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단백질은 번역 동시 전위 경로를 사용한다. 이 과정은 단백질이 여전히 리보솜 상에서 합성되는 동안 신호 인식 입자...
전체 막 중에서 원형질막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이하이며, 대사기능은 세포내막, 즉 세포소기관들의 막에서 일어난다. 세포소기관들로는 골지체·글리오시솜·리소좀·미토콘드리아·소포체·엽록체·페록시솜·핵 등이 있다. 세포소기관들의 막은 각기 고유한 단백질과 지질의 구성비를 가지며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
모세포로 분화된다. 뼈모세포는 골성조직이라고 하는 무기질 없는 뼈의 유기질 성분을 만드는데, 골성조직은 뼈모세포의 골지체에서 만드는 뮤코 다당체와 소포체에서 만드는 콜라겐 섬유의 2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뮤코 다당체는 골성조직의 기초성분이고 콜라겐 섬유는 콘크리트 속에 있는 철근과...
세포의 내부기관에 관한 많은 연구를 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발견은 미토콘드리아의 단편으로 생각되어온 마이크로솜(microsome)이 실제로는 세포소기관인 소포체의 일부분이며 많은 리보핵산(ribonucleic acid/RNA)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그 구조체는 이어서 리보솜으로 명명되었다. 그는 1952년 미국...
한다. 근육 섬유의 세포질은 ATP·인산·효소 등으로 이루어진 용액성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금속원소는 칼륨이며 나트륨이나 마그네슘도 소량 가지고 있다. 칼슘은 근소포체 내에서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으며 신경충격으로 유도되는 원형질막의 탈분극에 의해 분비되어 근수축을 일으킨다. 또한 근육 섬유의 세포질...
핵물질이 세포질에 퍼져 있으나, 진핵세포는 핵막이 있으며 핵물질과 세포질이 핵막으로 구분된다. 또한 잘 발달된 염색체(유전물질을 포함하는 기관)·미토콘드리아(세포 내 에너지 변환 기관)·골지체(분비 기관)·소포체(관 모양의 세포 내 수송계)·리소좀(세포 내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소화기관) 등을 가지고...
사진 3), 아민은 이곳에 저장되어 있다.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주면 세포가 흥분하여 과립이 입을 벌리고 그 내용물이 방출된다(사진 4). 수질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 골지체라는 단백질합성공장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아민을 만드는 데에는 필요하지 않은 설비다. 1970년대, 면역조직화학의 발달에 의해 부신 수질세포...
리보솜은 소포체에 붙어 있기도 하고 따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지름은 약 200Å 정도이고, 구성 성분은 약 40%가 단백질, 60%가 RNA이다. 4개의 RNA 분자와 70여 종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다란 부분과 작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세포의 총 RNA 중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를 시스터나 층상 구조라고 부른다. 즉, 시스터나 란 골지체를 이루는 각각의 주머니를 가리킨다.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소포체를 타고 이동해서 골지체까지 와서 변형이 되고 포장이 되고 분비가 된다. 이렇게 분비된 단백질은 시스터나에 농축되어 있다가 시스터나 주위에 있는 작은...